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노동·연금·의료 시스템 흔들 860만이 온다 [60년대생의 은퇴, 축복인가 재앙인가①] 2024-09-16 09:37:22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중고령자들이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월평균 생활비는 부부 기준으로 약 268만원, 개인 기준으로는 165만원에 이른다. 하지만 은퇴 후 근로소득이 사라지면 이를 충당할 다른 소득원이 없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법적으로는 정년이 만 60세로 정해져 있지만 현실적으로...
한푼이 아쉽다…국민연금 깎여도 조기수령 90만명 2024-09-13 16:03:09
소득 공백이 발생하는 셈이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조기연금은 당장 먹고살기 어려운 취약계층이 신청하는 경향이 있다”며 “퇴직 후 재고용 등 노동 개혁과 동시에 국민연금 의무 가입연령(현재 59세)을 올리면 소득대체율이 높아지고 노인 빈곤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기 수령...
"고위험 화학시설 안전기준, 더욱 엄격히 강화해야"…'화학공정 안전 간담회' 개최 2024-09-10 17:50:08
이어진 참석자 토론에서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을 역임한 권혁면 연세대 연구교수는 “안전기준 강화에 따른 비용 손실은 직원들과 지역사회의 안전, 그리고 환경 보호를 위해 반드시 감수해야 할 필요한 투자”라며 “기업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중대재해처벌법 등 사회적 분위기 변화에 따라 종사자와 지역사회의 안전 및...
자동조정 땐 자동삭감?…"전년 받았던 연금만큼 보장" 2024-09-05 18:11:56
도입국 사례를 볼 때 정치권의 영향력에서 100% 자유롭지만은 않았다. 예컨대 독일은 2018년 대연정 출범 당시 2025년까지 자동조정장치 가동을 한시 중단하기로 했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당시 독일 집권당(기독민주·기독사회당 연합)은 대연정을 할 수밖에 없게 되자 진보진영(사회민주당)의...
20대 국민연금 年 8만원씩 더 낼때…50대는 50만원씩 추가 납부 2024-09-04 17:54:53
벌어지는 것이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빼면 기금 고갈 연장 효과는 16년에 불과하다”며 “정부안이 통과돼도 2088년이면 기금이 고갈된다는 것은 이번 개혁만으로 지속 가능성이 완전히 달성된 것은 아니란 의미”라고 지적했다. 황정환/허세민 기자 jung@hankyung.com
"어떤 정부도 하지 못했던 연금 구조개혁…연내 국회 통과시켜야" 2024-09-04 17:50:13
의견도 나왔다. 이강구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정부가 연금 개혁 논의의 공을 지난 21대 국회로 넘기며 비판받았지만, 이번 개혁안에선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하며 개혁 의지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자동조정장치와 같은 구조개혁안은 역대...
4대 연금 의무지출 '눈덩이'…올해 혈세 11조 들여 적자 메꿔야 2024-09-03 18:11:56
개혁안을 발표하는 이유다. 이강구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국민연금은 공무원연금 군인연금과 달리 아직 흑자 상황이지만 기금 고갈이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미래 국민연금 가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현재 세대가 양보하는 방향의 연금 개혁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한국”...30년 뒤에 올 수도 2024-09-03 16:20:09
한국이 30년 내 세계 최고 수준의 고령화를 겪을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그간 겪어본 적 없는 사회 현상이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이상림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3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연 제1차 한일중 인구 포럼에서 '2030 사회 인식과 저출생 정책'을...
"빠르게 늙어가는 한국…경험 못한 결과 온다" 2024-09-03 14:42:41
한국이 30년 내 세계 최고 수준의 고령화를 겪고, 그에 따라 겪어본 적 없는 사회 현상이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이상림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3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연 제1차 한일중 인구포럼에서 '2030 사회 인식과 저출산 정책'을 주제로 이렇게 전망했다. 이...
"官 주도 규제개혁 성공 못해…민간의 눈으로 봐야 성과 나올 것" 2024-09-01 17:48:26
사회가 해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AI 등 첨단 산업 분야는 현재 글로벌 차원에서 확립된 규제가 없습니다. 창업가들은 이런 불확실성으로 인해 오히려 혁신에 장애가 있다고 느낍니다. 불확실성은 신기술 투자의 최대 장애물입니다. 이런 분야는 기준을 확실하고 조속하게 마련해줘야 혁신을 촉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