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 아침의 인물] 한힌샘 주시경 선생, 한글 연구의 선구자 2021-10-08 17:16:12
‘한글’이라는 단어를 처음 만든 사람이 바로 주시경이다. 1912년 발표한 《소리갈》이라는 저서에서 한글이라는 표현을 처음 썼다. ‘암클’이라는 비하적 단어나 ‘언문’이라는 한자 단어 대신 순우리말 단어를 고안한 것이다. 국권이 넘어간 뒤에도 활발한 저술·학술 활동을 펼치던 주시경은 39세의 나이에 요절했다....
K팝 팬들 모여라…블립, '내 인생의 한글 가사' 공개 모집 2021-10-08 17:02:57
팬들의 사연을 통해서 '한글 가사'를 얼마나 공감하고 이해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는 '내 인생의 한글 가사'에서 많은 응모를 받은 작품의 가사를 시각화해 전시할 계획이다. '내 인생의 한글 가사' 공모에 모인 사연을 확인한 후 11월말까지 작품을 접수 받는다. 12월 중...
한글로 찌아찌아어 배우는 학생들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2021-10-08 14:48:26
부톤섬 바우바우시는 찌아찌아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안을 채택했다. 찌아찌아족 초등학생들은 학교에서 다른 과목은 모두 인도네시아어로 수업받지만, 주1회 찌아찌아어를 한글 교재로 배운다. 가령, '안녕하세요?'를 인도네시아어로 쓰면 'Apa kabar?'(아빠 까바르)이지만, 찌아찌아어로 쓰면 '마엠...
권재일 한글학회장 "베프보다 우리말 '깐부'가 더 정겹지 않나요" 2021-10-07 18:52:16
한글·한국어의 매력이지요.” 권재일 한글학회장(서울대 언어학과 명예교수·사진)은 최근 세계적인 한류 열풍을 보면서 “역사적으로 무척 감탄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100여 년 전 한글학회 학자들이 목숨을 걸고 지켰던 우리말이 어느새 세계인이 보고 배우는 말이 돼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는 것이다. 그가 이끌고...
[천자 칼럼] '말모이'와 '가나다라' 시집 2021-10-07 17:21:53
한글날을 맞아 한글학회의 국어운동 공로 표창을 받는 문무학 시인은 한글 자모를 집중적으로 다룬 시집 《가나다라마바사》와 《낱말》 《홑》 등을 꾸준히 펴냈다. 한글 자모를 패션이나 디자인, 그림 등에 활용한 사례는 있지만 시로 형상화한 것은 처음이다. 그의 시 ‘겹받침 글자의 풍경 6-ㄼ(넓다/얇다)’을 보자....
[생글기자 코너] 한글의 우수성을 다시 생각해보는 '한글날' 2021-10-04 09:00:11
즉, 한글이 창제돼 세상에 알려진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해 정한 국경일이다. 한글날의 시초는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에 있던 1926년 조선어연구회 즉, 지금의 한글학회가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이라고 정하고 서울 식도원에서 처음으로 기념식을 거행한 데서 비롯됐다. 한글날은 일제에...
보령 고대도, 기독교 순례 테마섬 된다 2021-09-29 17:53:04
서양에 알리는 역할도 했다. 그의 논문 ‘한글에 대한 소견’은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김동일 보령시장은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지닌 고대도를 개신교 선교의 역사가 어우러진 해양문화관광 특화섬으로 개발해 관광명소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보령=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
김범수·이해진·김정주·김택진…해외체류로 국감출석 미지수 2021-09-26 07:01:02
업계 '아군'인 한국게임학회가 김택진 대표의 국감 출석을 종용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코로나 팬데믹을 타고 몰라보게 커진 업계의 위상만큼이나 회사 안팎에서의 많은 잡음에 정치권의 주된 표적이 되고 있다. 다만, 이들이 증인 채택 여부와 상관없이 실제 국감장에 나갈지는 미지수다. 실제로 채택된 증인...
[김재완의 21세기 양자혁명] 양자기술에 도전을 2021-07-07 17:27:08
양자정보과학기술연구회(QUIST)가 발족돼 국제학회를 3회째 열었고, 우리말로 양자컴퓨팅기술을 소개하는 백서도 발간하고 있다. 올해 양자주간에는 고등학생부터 대학원생까지 대상으로 양자컴퓨터를 사용해 프로그래밍하고 발표하는 경진대회인 ‘해커톤(Hackathon)’을 개최, 27개 팀의 70여 명이 각축전을 벌였다. 이...
서울대 총장도 KAIST 총장도…"AI·SW 과목, 대입에 반영하라" 2021-06-30 17:12:56
컴퓨터에서 한글 표기법조차 주체적으로 바꾸지 못한다”고 했다. “과거 영어 과목이 그랬듯, 미래 사회에서 성과를 인정받는 사람은 AI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될 것”이라며 “이번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자손들이 AI를 지배하고 사는 ‘AI자주독립국가’가 되도록 선진국 수준의 정보 교육량을 갖춰야 한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