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유가·환율 악재에 물가 관리 비상 2022-02-04 17:31:03
알아보겠습니다. 세종시 한창율 기자 나왔습니다. <앵커> 한 기자, 고유가가 우리 경제에 복병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어요. 이런 상황이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게 문제인데, 정부는 어떻게 내다보고 있나요? <기자> 네, 미국 서부텍사스산 원유 가격이 배럴당 90달러를 돌파하며 7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물가 압력에 쌍둥이 적자까지…악재 `수두룩` 2022-02-03 17:56:53
점이 우려스러운 부분입니다. 자세한 내용 한창율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연초부터 한국 경제 성장을 견인했던 수출 환경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수출 증가율은 둔화되고,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무역수지가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우려 사태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이 수입액 증가에...
기초체력 흔들리는 한국경제 2022-02-03 17:24:32
점이 우려스러운 부분입니다. 자세한 내용 한창율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연초부터 한국 경제 성장을 견인했던 수출 환경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수출 증가율은 둔화되고,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무역수지가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우려 사태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이 수입액 증가에...
지난해 선방한 한국경제...올해 불안요인은 2022-01-28 17:08:43
수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세종시 한창율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앵커> 한기자 오늘 산업활동동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생산, 소비, 투자 모두 늘어났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기자> 네. 지난해 전산업생산지수가 2020년보다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위기 첫 해였던 2020년에 지표가...
중대법 시행 강력 드라이브 거는 정부 2022-01-24 17:27:14
철저한 수사를 당부했습니다. 보도에 한창율기자입니다. <기자> "중대재해처벌법을 통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은 고용노동부가 반드시 실현해야 할 시대적 사명이다" 광주 현대산업개발 붕괴사고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대한 명분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정부는 유해·위험 요인을 묵인하거나 방치하면...
중대법 시행했다면 현산 CEO `구속`...정부 강력 경고 2022-01-20 17:27:15
중대재해 예방을 강조했습니다. 보도에 한창율기자입니다. <앵커> 중대재해처벌법은 산업현장에서 사망자나 부상자 2명 이상 등이 발생했을 경우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을 무는 제도입니다. 법 조항 일부가 여전히 모호하게 규정돼 있어 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영계는...
인플레이션 파이터로 나서는 한은 2022-01-14 17:31:37
기준 금리 인상 배경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세종시 한창율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앵커> 한기자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가 1.25%까지 올랐네요. <기자> 네. 기준금리가 1.25%까지 오르면서 코로나19 펜데맥 이전 수준으로 다시 돌아갔습니다. 새해 첫 금리인상이라 시장의 관심도는 높았지만, 이미 지난해...
기재부 해체론에 기름붙는 초과세수 `논란` 2022-01-13 17:59:07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한창율 기자입니다. <기자> 2021년 2차 추경 당시 정부가 예상한 국세 수입 규모는 314조원. 지난해 11월까지 들어온 국세 수입만 323조원에 달해, 이미 정부가 예상한 국세 수입을 뛰어 넘었습니다. [고광효 기재부 조세총괄정책관: 국세수입은 주로 경기회복세의 영향으로 법인세,...
추경 가속화에 채권 금리 출렁 2022-01-07 17:27:57
관련해 세종시 한창율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앵커> 한 기자, 새해부터 추경 논의가 꽤 속도를 내고 있네요. <기자> 네. 이번주 주요 이슈 가운데 추경 얘기를 빼 놓을 수 가 없을 것 같습니다.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이라, 커져가는 소상공인 중소기업들의 피해를 일부라도 보상해...
매년 56만호 공급으로 부동산 안정세 굳히기 2022-01-05 17:31:31
보도에 한창율 기자입니다. <기자> 전국 부동산 시장이 기준금리 인상과 금융당국 대출규제 강화로 소강상태에 들어가자 정부의 공급 대책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과도하게 상승한 주택가격이 일부 조정을 거치더라고, 하향 안정세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책기조를 일관성 있게 추진해 가겠다는 입장입니다. 이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