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재채기'하는 해면…필요 없는 물질 걸러 점액에 섞어 배출 2022-08-11 10:54:30
먹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의 해양생물학자 야스퍼 드 괴이즈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해면이 재채기를 통해 자신의 몸을 정화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를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발표했다. 약 6억년 전부터 지구에 존재해온 것으로 알려진...
"온난화 지역서 사는 도마뱀, 조로증 걸린 새끼 낳는다" 2022-08-10 13:41:09
진화생물학자인 헤르만 오리사올라는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매우 걱정스러운 현상이 확인됐다"며 기후위기가 심각한 지역에 사는 동물이 멸종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태생 도마뱀은 비교적 강인한 종이지만, 파충류 가운데 5분의 1 정도는 멸종 위기에 있다고 본다. 특히 거북과 악어가 생존에 위협을 받는...
범고래 무서워 천혜의 집결지에 못 나타나는 백상아리 2022-06-30 11:30:05
나왔다. '다이어 섬 보호신탁기금'의 백상아리 전문 생물학자인 앨리슨 타우너가 이끄는 연구팀은 약 5년 반에 걸쳐 백상아리 이동 경로를 추적해 얻은 이런 결과를 '아프리카 해양과학 저널'(African Journal of Marine Science)에 발표했다. 저널 발행사인 '테일러 앤드 프랜시스'(Taylor &...
인간 속눈썹 크기 박테리아 발견…"에베레스트 키 인간 만난 격" 2022-06-24 11:29:54
이 연구소의 해양생물학자 장-마리 볼랑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최대 2만㎛(2㎝) 달하는 거대 박테리아를 발견한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를 통해 발표했다. 이 박테리아는 지난 2009년 서인도제도 프랑스령 섬인 과들루프에서 물에 떨어진 맹그로브 잎에 달라붙은 상태로 처음 발견됐다. 평균...
기후변화로 따뜻해진 바다 포식 어류 게걸스럽게 만들어 2022-06-13 16:56:25
스미스소니언환경연구센터(SERC)의 해양생물학자 게일 애슈턴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알래스카에서 티에라 델 푸에고에 이르는 미주대륙의 태평양과 대서양 연안 36곳에서 3가지 실험을 진행해 얻은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선 여러 개의 막대기에 건오징어 미끼를...
나오스 그룹, 해양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보존 위한 운영 지침 발표 2022-06-08 11:11:00
해양의 날을 맞아 해양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운영 지침을 발표했다. 나오스 그룹은 생물학자인 장 노엘 토렐이 피부 스스로 본연의 생물학적 원리를 보강하여 피부 생태계를 보전한다는 혁신적인 접근법인 에코바이올로지를 통해 화장품 산업의 확고한 기성 관념을 뛰어넘어 획기적인 변화를 시도하는...
여긴 어디?…바다거북 장거리 항해하는 건 심각한 방향치라서 2022-05-11 16:25:09
어떻게 찾아갈까. 찰스 다윈 이래 많은 생물학자가 궁금증을 가졌던 질문이다. 1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내비게이션을 장착한 듯 신비로운 여행의 비밀을 찾으려 노력했지만,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는 기대와는 정반대였다. 그레임 헤이스 호주 디킨대 해양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저널...
[장석주의 영감과 섬광] 인류의 진화는 요리본능에서 시작됐다 2022-05-10 17:20:47
것이다. 생물학자들은 영장류가 만든 군집의 크기는 감정 교환 능력과 관련된다고 말한다. 인류가 큰 군집을 이루고 상생하는 무리로 진화한 것은 음식을 나누며 쌓은 우정과 친밀감 덕분이다. 따지고 보면, 식(食)과 생(生)은 하나다. 인류 역사는 곧 식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지만 우리는 식을 생만큼 중요하게 생각하지...
[월드&포토] 에메랄드빛 카리브해 습격한 갈색 해조류 2022-05-02 06:11:41
이 모자반은 해양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멕시코는 지난 2018년 엄청난 모자반의 습격으로 고생한 바 있는데 올해는 그때보다 더 많은 모자반이 밀려올 수도 있다고 AP통신이 전문가들을 인용해 1일(현지시간) 전했습니다. 멕시코 생물학자 로사 로드리게스 마르티네스는 "최근 며칠간 떠밀려온 모자반 양과...
광합성·포식 신종 해양미생물 기후변화 대처 '비밀병기'될까 2022-03-14 19:00:00
광합성·포식 신종 해양미생물 기후변화 대처 '비밀병기'될까 지구온난화로 수온 상승·산성화 때도 생물학적 탄소펌프 유지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광합성을 하면서 포식 활동도 하는 신종 해양 미생물이 기후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비밀병기'로 제시됐다. 호주 시드니공과대학(UTS)에 따르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