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대봉동 소공인 집적지구 내 웨딩산업비즈니스센터 개소 2021-11-14 09:48:53
센터에는 3D 프린터, 고속 조각기, 레이저 커팅기·마킹기, 자동사절재봉기 등을 구비한 공용장비실, 고성능 카메라 및 영상장비로 제품을 촬영할 수 있는 셀프스튜디오 등을 구축해 지역 소공인들이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 실습 중심의 교육실, 정보공유와 소통의 공간인 컨퍼런스룸,...
美 FDA, 6개월마다 충전 황반변성 임플란트 승인 2021-10-25 10:30:20
습성은 건성보다 진행이 빠르고 황반 밑에 비정상 혈관들이 생성되면서 출혈을 일으키기 때문에 치료를 서둘러야 한다. 현재 완치 방법은 없고 항체 주사 또는 레이저 수술로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이 있을 뿐이며 방치하면 실명으로 이어진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루트로닉, 프리미엄 제품에 3분기 호실적 예상…목표가↑” 2021-10-19 08:22:08
전년 대비 44.6%, 474.2%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4분기 계절적 성수기 진입 및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 수혜 요인을 고려할 때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최 연구원은 “고마진 레이저 및 고주파(RF) 제품 판매 지속과 함께 ‘더마브이’(혈관치료) 및 ‘아큐핏’(체형관리) 제품 신규 출시에 따른 외형...
달팽이 심박도 잰다…초소형 손가락 꼴 '그리퍼' 로봇 개발 2021-10-14 04:00:00
은 나노선(silver nanowire)과 레이저 공정을 활용해 센서를 소형화함으로써 로봇의 크기를 5㎜ 이하로 줄였다. 은 나노선은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측정 대상에 열 자극도 전달할 수 있다. 연구팀은 개발한 소프트 그리퍼를 이용해 직경 3㎜ 정도의 달팽이알을 터트리지 않고 잡아 열을 가해 부화시키고, 부화...
안구에 생긴 암이 어떻게 간(肝)까지 전이할까 2021-09-16 17:13:49
전이하지 않는 원발성 포도막 흑색종은 종종 레이저 치료로 제거되기도 한다. 그런데 대략 포도막 흑색종의 절반은, 치료 전에 떨어져 나온 암세포 무리가 여러 해 뒤에 간 등에 전이하고, 이런 전이암은 빠르게 치명적인 종양으로 변한다. 가장 큰 의문은, 왜 일부 포도막 흑색종 환자에게서만 치명적인 전이가 생기느냐 ...
큐라클,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후기 비임상시험 진입 2021-09-13 10:23:52
13일 밝혔다. CU03은 항산화, 항염증, 항신생혈관 및 항투과성의 4가지 기전을 갖는 다중 인자 타깃 기반의 경구용 천연물 신약이다. 경구용 천연물 의약품은 안전성과 복약순응도가 우수하며 높은 복용 편의성을 지녔다. 또, 초기 환자에 투여가 가능하며 병용 투여로 Anti-VEGF 무반응 환자도 치료가 가능하다. 기존 안구...
[2021 올해의 브랜드 대상] 가전 부문 2021-08-29 16:46:19
등 활발한 온ㆍ오프라인 마케팅을 펴고 있다. 레이저로 두피 모세혈관 자극…모발 생성 도와의료기기 전문 제조사 원텍의 헤어빔이 ‘2021 올해의 브랜드 대상’ 탈모치료기 부문에서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헤어빔은 10여 년 전 국내에 최초로 개발된 탈모치료 의료기기다. 헤어빔은 미국 식품의약품(FDA)에서 승인받은...
영남대 연구팀, ‘암 전이·재발’ 차단 방법 찾았다 2021-08-26 11:45:56
‘F-TRH’는 근적외선 레이저에 반응해 광열치료로 원발성 암을 제거했다. 이때 암세포의 사멸 과정에서 방출된 암 항원과 나노입자에서 방출된 면역 활성제인 FimH에 의해 암 항원 특이적 면역 활성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면역 반응이 다시 투여된 폐 전이 또는 재발 암의 성장을 완벽하게 차단했다. 연구팀은...
파멥신, 용해도 개선 'ANG-2' 항체 국제특허 출원 2021-08-19 14:04:08
혈관 형성을 저해해 항암 효과가 나타난다. 파멥신은 습성황반변성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레이저 유도 맥락막 신생혈관(laser-induced CNV) 마우스 모델에서 ANG-2 활성화 및 또는 과생성으로 인한 혈관신생 저해 효력을 확인했다. 파멥신 관계자는 "이번 개량 항체의 PCT 출원에 이어 원천 물질의 미국 유럽 중국을 포함한...
심장마비 위험 얼마나 큰지 알려주는 진단법 개발됐다 2021-08-10 17:46:43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플라크가 혈관 내벽에 쌓일 위험을 높이는 대식세포와 단핵구 등의 면역세포를 선별해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정 플라크가 실제로 뇌졸중이나 심장마비를 일으키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연구팀은 동맥경화성 플라크가 혈관 파열과 경색으로 이어지는 염증성 플라크라는 데 주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