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10-14 08:00:09
국제학술지에 논문 게재한 '공부하는 시의원' 171013-0863 지방-0154 16:13 '후백제 왕도의 실체를'…전주시, 후백제 왕성·도성 발굴 추진 171013-0864 지방-0155 16:14 13년 롱런게임 '그랜드체이스' 카카오에서 부활…CBT 시작 171013-0866 지방-0156 16:14 "두드러기 물렀거라" 부여서 '단...
'후백제 왕도의 실체를'…전주시, 후백제 왕성·도성 발굴 추진 2017-10-13 16:13:37
전주시 문화관광체육국 관계자는 "전주시가 후백제의 왕도라고 하지만 그 구체적인 유적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정밀지표 조사를 통해 기초자료가 확보된 만큼 앞으로 더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후백제 역사를 재조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c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충남 당진 합덕제, '세계관개시설물유산' 등재 2017-10-12 09:02:57
전체 규모 24만㎡ 규모의 합덕제는 후백제의 시조인 견훤(867∼936)이 후고구려와의 마지막 일전을 앞두고 군마에게 물을 먹이기 위해 만든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정확한 조성 시기에 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조선시대에는 김제 벽골제, 황해 연안 남대지와 함께 3대 저수지의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한국의...
'당진 합덕제' 세계관개시설물유산 등재…국내 3번째 2017-10-11 01:00:00
수원 축만제가 있다. 합덕제는 후백제왕 견훤이 후고구려와의 마지막 일전을 앞두고 군마에게 물을 먹이기 위해 쌓았다고 전해진다. 충남도기념물 제70호인 합덕제는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 일원에 있는 24만㎡ 규모의 저수지다. 시 관계자는 "2008년부터 추진 중인 합덕제 복원정비사업을 서둘러 마쳐 합덕제를 지역을...
[연합이매진] 나주읍성, 옛 모습 되찾는 호남의 '千年古都' 2017-08-07 08:01:12
뒤 나주 호족 오다련의 딸과 혼인했고, 이 지역을 근거로 후백제를 멸망시켰다. 오 씨는 2대 왕 혜종의 모후인 장화황후가 됐고, 나주는 고려 왕조의 '외갓집'이 됐다. 나주읍성(사적 제337호)은 고려 시대 왜구방어를 위해 쌓은 토성으로 조선 초기 석축성으로 고친 평지 읍성이다. 나주의 진산인 금성산(451m)을...
도시청년 시골서 창업하고 마을공동체 복원…"취업 문제 해결" 2017-07-27 08:05:11
보면 후백제 견훤이 활동한 문경 3개 읍면 자원조사를 거쳐 아트 상품을 개발한다. 자원조사 과정부터 지역 주민과 협력한다. 청년 예술가들이 문화 상품을 제작하고 판매점을 운영한다. 문화관광상품 디자인에 관심 있는 청년에게 교육하고 상품 제작 참여를 유도한다. 청도에서는 젊은 여행객이 소통하고 파티를 할 수...
[숨은 역사 2cm] '술은 독이자 보약'…세조 측근 장군, 취중 실언에 참수형 2017-07-25 08:00:16
술잔치를 벌이느라 견훤이 이끄는 후백제 군대가 경주를 침략한 사실을 눈치채지 못하다가 최후를 맞는다. 거북 모양의 큰 돌에서 물이 나와 천천히 흘러가도록 설계된 포석정에서 경애왕 일행은 유상곡수 연회를 벌이다가 목숨을 잃은 것이다. 유상곡수는 물길을 따라 떠다니는 술잔이 자기 앞에 도착하기 전에 시를 한 수...
'제1회 버그내 연호문화축제' 22∼23일 당진 합덕서 개최 2017-07-18 13:57:05
전시회도 열린다. 후백제 전통의상과 농산물 직거래장터, 연꽃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행사가 연호제 길 일원에서 운영된다. 조선시대 3대 저수지로 유명한 합덕제는 합덕지(合德池) 또는 연호지(蓮湖池)라고도 불렸다. 서기 900년 전후로 후백제 견훤왕이 고려 태조 왕건과 전투하면서 이곳 성동산에 군을 주둔시키고,...
국립익산박물관 11월 착공…미륵사지·왕궁리유적 전시 2017-06-26 15:31:33
10월 개관을 목표로 한다. 국립익산박물관에는 청동기, 백제, 후백제 시대의 유물은 물론 세계문화유산인 미륵사지와 인근 왕궁리 유적에서 출토된 오층석탑 사리장엄구(국보 제123호)와 금동향로(보물 제1753호), 미륵사지석탑 사리장엄구 등이 전시 보존된다. k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
태조 왕건 설화 깃든 '영암 여석산 연못' 관리 안된 채 방치 2017-06-26 10:16:20
여석산은 높이 61m에 불과하지만, 왕건이 후백제를 토벌할 때 그의 군사들이 칼을 가는 숫돌을 캐낸 것으로 알려진 유서 깊은 곳이다. 여석산 돌 재질은 매끄러워 칼과 창을 날카롭게 갈기에 제격이었고 인근이 모두 평야 지대여서 다른 숫돌을 구하기도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왕건과 후백제왕 견훤의 격전을 모티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