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中훠궈 체인, 고학력자 배달원 모집 논란…"취업난에 불안 조장" 2025-02-13 14:55:31
100대 중점대학 지원사업)과 '985'(1998년 5월에 시작된 일류대학 건설사업) 출신의 학사 졸업생은 월 2천위안(약 40만원)의 수당을, 일반 대학 학사 학위 소지자는 월 1천200위안의 수당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 수당은 약 6개월 동안 지급된다. 매출이 높은 하이디라오 매장의 경우 배달원의 월급은 7천위안(약...
KT 작년 매출 상장이후 최대…구조조정으로 영업이익은 50.9%↓(종합) 2025-02-13 14:41:55
천501억원으로 54.5% 줄었다. 4분기 영업손실은 6천551억원으로 전년동기(영업이익 2천656억원)와 비교해 적자전환했다. 이 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6조5천756억원과 7천366억원이었다. 4분기 영업손실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6천965억원을 5.9% 하회했다. KT는 4분기 희망 퇴직 등 인력 구조 개선에 따른...
대만 야당 "사상 최대 초과 세수분 시민들에 현금으로 돌려줘야" 2025-02-13 14:00:43
지난해 '전국세수 통계' 발표에서 5천283억 대만달러의 초과 징수로 전년도 세수가 3조7천619억 대만달러(약 166조4천억원)에 달했다고 공개했다. 이어 2021년 이후 4년 연속 초과 세수가 이뤄져 누적 초과 징수액이 1조8천707억 대만달러(약 82조7천억원)라고 설명했다. 대만언론은 대만당국이 소비 진흥을 위해...
마곡서 오피스 쏟아지자…작년 4분기 서울 오피스 공실률 상승 2025-02-13 09:02:59
1.5%였으나 지난해는 1.2%로 상승폭이 줄었다. 지난해 4분기 서울 오피스의 명목 임대료는 3.3㎡(1평)당 9만7천원으로 전 분기 대비 0.3% 증가했으나 공실률이 높은 프라임급 오피스의 명목 임대료는 평당 12만2천원으로 0.8% 하락했다. 다만 오피스 매매 거래액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활발한 거래 흐름을 보였다....
하나증권 "SK텔레콤, 올해 주가 20% 이상 오를 것…매수 추천" 2025-02-13 08:31:57
밝혔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7만원을 유지했다. 전날 종가는 5만6천원이다. SK텔레콤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연결 기준)은 2천541억원으로 시장 전망치(3천453억원)를 크게 하회했다. 이에 대해 김홍식 연구원은 "대규모 희망퇴직 비용이 반영된 영향"이라며 "이 같은 일회성 비용이 없었다면 3천억원...
[시승기] 넓고 안정적…온 가족이 누리는 전기차 아이오닉9 2025-02-13 08:30:01
만 차량을 움직이고 멈추는 운전법이다. 원페달 드라이빙은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는 장점 말고도 액셀만으로 브레이크만큼의 제동력은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하지만 아이오닉9은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자마자 브레이크를 누를 때와 같은 제동력이 발휘됐고, 앞차와 충분한 거리도 확보했다. 시승을 마치고 광진구...
홈플러스, 7개 멤버십 클럽 회원 155만명…'메가 클럽위크' 행사 2025-02-13 08:29:47
회원 수는 5년 전 대비 5배 이상 증가했다. 무료 멤버십인 데다가 취향에 따른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한 덕분이다. 홈플러스는 메가 클럽위크 행사에서 빵&델리클럽 회원에게 몽블랑제 식빵 3종 구매 시 30% 할인 쿠폰을 지급한다. 주주클럽 회원에게는 화이트·스파클링·로제 와인 100종을 최대 50% 할인하고, 프리미엄...
[팩트체크] 한국만 '현금 없는 사회'로 바뀐다? 2025-02-13 07:20:01
천원이었고, 집·사무실 등에 보관하는 '예비용 현금'은 35만4천원이었다. 응답자의 68.6%는 예비용 현금을 전혀 갖고 있지 않다고 했다. 기업의 현금 사용도 급감했다. 기업의 2021년 월평균 현금지출액은 912만원으로 2천906만원이던 2018년에 비해 68.5% 감소했다. 지급 수단별 지출액을 보면 현금은 1.2%에...
[서미숙의 집수다] 지어놔도 안 팔리는 미분양…다음 주 나올 정부 해법은 2025-02-13 06:01:04
전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7만173가구로, 2012년(7만4천835가구) 이후 12년 만에 처음으로 7만가구를 넘어섰다. 이 가운데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미분양이 5만3천176가구로, 전체 75.8%를 차지한다. 준공 후 미분양은 2만1천480가구로 전년도(1만857가구)의 2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현재 미분양의 절대 수치가 정부가 각종...
지방 미분양 줄여 침체 막는다…정부, 19일 건설 안정 대책 발표 2025-02-13 06:01:04
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는 7만173가구로, 2012년 말(7만4천835가구) 이후 12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특히 짓고도 안 팔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총 2만1천480가구로 2013년 말(2만1천751가구) 이후 11년 만에 가장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