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햇볕과 바람처럼… 일상 속 유토피아 2018-02-28 17:49:50
인해 공포에 떨어야만 하는 ‘디스토피아’로 전락한 세상을 뒤로하고 다시 와해된 아르카디아로 돌아간 비트는 역설적이게도 그곳에서 또 다른 희망을 발견한다. 그는 지붕에 비치는 새벽빛에서, 가지 사이를 스치는 바람에서 비로소 낙원을 발견할 수 있는 눈을 갖는다.저자는 꿈꾸던 삶이 무너져도 폐허...
"시쩌둥·종신·개인숭배 쓰지마" 시진핑 '개헌검열' 점입가경 2018-02-28 15:42:09
무더기 검색 금지 전체주의 디스토피아 비판·풍자한 '1984년'·'동물농장'마저 검열 (서울=연합뉴스) 한상용 기자 = 중국 당국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장기집권을 가능케 하는 헌법 개정 추진에 반발한 누리꾼들의 검색어를 광범위하게 검열하고 있다고 영국 가디언이 28일 보도했다. 미국...
1인7역으로 시선 붙드는 액션 스릴러 '월요일이 사라졌다' 2018-02-17 14:00:01
극단적 강제수단을 더해 전체주의적 디스토피아를 상정하고 시작한다. 그렇다고 인류 공통의 위기에 대한 고민거리를 무겁게 던지는 영화는 아니다. 스웨덴 출신 배우 누미 라파스의 1인7역 고난도 연기와 팀플레이 액션, 음모의 실체를 추리하는 묘미에 중점을 둔다. 테렌스 셋맨(윌럼 더포 분)은 자신의 딸이 일곱...
초등 1~2학년 영어수업 금지도 걱정된다 2018-01-18 16:10:44
디스토피아)을 맞는 셈이다. 정책의 디테일 부족은 이렇듯 의도와 동떨어진 결과를 낳는다.당국은 이제라도 수요자 일상에 밀착해 그들의 구체적 욕구를 직시하면서 세밀하게 정책을 만들어가야 한다. 교육정책에는 특히 진보와 보수의 이분법이 통하지 않는다. 학부모 여론이 이 정도라면 초등 1~2학년 방과후 영어수업...
[Global View & Point] 고객들에게 인정받고 싶은가?… 그들의 집단지성과 소통하라 2018-01-11 17:02:43
디스토피아는 존 스튜어트 밀의 의회연설에서 처음 쓰인 단어로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에 반대되는 가상사회를 일컫는다. 컬럼비아대 제프리 삭스 교수가 대표적인 디스토피아 주장자인가 하면 위스콘신대 토머스 하이 교수는 기술 발전이 일자리를 늘린다는 대표적인 4차 산업혁명의 유토피아 지지자다. 유토피아 시대의...
100년 회사의 흥망에 담긴 연금술…소설 '보편적 정신' 2018-01-11 15:52:27
이야기를 풀다 보니 결국 유토피아가 아니라 디스토피아가 되더군요." 회사는 망하지만, 소설의 결론은 결코 디스토피아가 아니다. "인간은 1세기 전이나 1만 년 전이나 크게 변하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상황이나 시대, 조건이 바뀌어도 본질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거죠. 유전자나 물질적인 변화가 있겠지...
고독한 노동자 김동식의 천일야화 같은 이야기들 2018-01-10 11:50:13
이 소설은 인간이 노동으로 질식당하는 디스토피아 세계를 그린다. 어느 날 1만 명의 사람들이 한꺼번에 땅속 세상 '지저 세계'에 납치돼 땅을 파는 노동을 강요당한다. "반기를 꿈꾸고 달려든 사람들은 지저 인간의 손끝조차 건드려보지 못하고 머리가 수박처럼 터져나간"다. 분노하고 저항하던 힘을 모두 소진한...
[신간] 철학자의 개·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 2018-01-05 11:00:18
방진이 옮김. 영국의 미래학자인 저자는 미디어, 교육, 고용, 교통, 예술, 가족 등 10가지 분야에서 디지털 문명의 현재와 미래를 바라본다. 분야별로 현재 진행형인 희망과 위협, 우리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를 소개하면서 우리가 어떠한 길을 가야 할지 고민한다. 원더박스. 368쪽. 1만7천 원....
김태리 "자유 만끽하고 싶던 신입생 시절 연극 동아리 시작했다 연기에 구속" 2017-12-29 17:01:11
전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가 있다면 우리 사회는 디스토피아라고 생각했거든요.”김태리는 지난해 광화문의 촛불집회를 통해 1987년을 간접적으로 느꼈다. 하지만 연희를 표현하려면 더 깊은 역사 공부가 필요했다. 1987년과 관련된 책을 읽고 팟캐스트나 영상도 참고했다. 그는 “무엇보다도 당시를 겪었던 선배...
[다시 읽는 명저] "인간에겐 행복·안정보다 자유가 더 중요" 2017-12-20 18:16:49
3대 ‘디스토피아(사회의 부정적인 측면들이 극대화돼 나타나는 어두운 미래)’ 소설로 꼽힌다. 1932년에 출판된 《멋진 신세계》는 역설적 표현이다. 과학의 진보가 전체주의, 인간의 오만함과 밀착할 때 어떤 비극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1차 세계대전 뒤 파시즘 등장을 지켜본 유럽인의 절망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