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하루 만에 암 전이·진행 단계 진단, 가천대 길병원 교수팀 세계 첫 개발…2014년 상용화 2013-09-03 17:06:55
생체분해 합금 개발 석현광 kist 생체재료연구단장 "몸 속에서 금속이 저절로 녹아 골절 뼈 복원"▶ 셀트리온 '램시마', 유럽 판매 최종 승인▶ 4년 싸움 '글리벡' 약값 인하 무산▶ 국내 의료기기 기업 영업이익률, 글로벌 기업보다 5.2%p 낮다▶ 美 fda 신약 허가 '다음 선수'는…[한국경제 구독신청]...
줄기세포로 만든 인간 '미니 뇌' 2013-08-29 16:47:30
28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의 과학자들이 ‘미니 뇌’를 만들어 신경질환 연구에 사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뇌는 인간의 생체 조직으로 분화 가능한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들어졌으며 지금까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신경조직 중 가장 발전된 형태로 분류된다. 이 뇌는 전기적인 활동을 하고...
유영숙 前 환경부장관 "22개월만에 장관서 다시 과학자로…고향에 온 느낌" 2013-07-04 17:13:39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 분자인식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다. “심혈관질환같이 고령화 사회에서 급증하는 질병들의 바이오마커(생체지표)를 찾아내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병이 발생한 후에는 환자의 고통은 물론이고 사회적인 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찾아내 예방할 방법을 찾는 것이죠.”...
셀루메드, 혁신기업기술개발사업 주관기관 선정 2013-06-21 11:43:14
‘생체적합용 합성고분자 치료제’를 주도적으로 연구 개발하게 된다. 셀루메드는 수핵 대체재 개발을 위해 오는 2015년까지 2년 동안 연구개발비 5억6000만 원을 지원받게 된다.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김문석 교수팀, 대림대학교 재료공학과 이득용 교수팀과 이번 과제를 공동 수행할 계획이다. 셀루메드는 이번...
셀루메드, 혁신기업기술개발사업 주관기관 선정 2013-06-21 10:27:29
`생체적합용 합성고분자 치료제`를 주도적으로 연구 개발하게 됩니다. 셀루메드는 수핵 대체재 개발을 위해 오는 2015년까지 2년 동안 연구개발비 5억 6천만원을 지원받게 되며, 이번 연구과제는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김문석 교수팀, 대림대학교 재료공학과 이득용 교수팀이 공동 수행할 계획입니다. 셀루메드는...
SK케미칼,` 바이오신약 NBP 601` 글로벌 임상 마지막 단계 돌입 2013-06-10 09:47:57
SK케미칼의 독자적 기술로 개발한 새로운 재결합 분자구조가 사용돼 혈우병과 관련된 인자 중 하나인 제 8인자(factor VIII) 의 안정성과 반감기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재조합 바이오 신약 물질. CSL은 2009년 전임상단계에서 SK케미칼로부터 `NBP601`의 전 세계 판매권을 도입한 후 `CSL627`이란 프로젝트 명으로 작년...
"암 일으키는 DNA 돌연변이 과정 규명" < KAIST> 2013-06-03 10:35:08
과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혀내 암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분자세포 생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분자세포생물학(Journal of Molecular Cell Biology)' 6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세포 내 단백질 분석 성공…혈액암 치료 열쇠 2013-05-05 14:00:05
단백질 분자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의과학대학원 김호민 교수와 하버드대, 콜로라도대 공동 연구팀이 바이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세포 내 프로테아좀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30여개의 단백질이 모여서 만들어진 프로테아좀 복합체는 세포...
"인체장기 간 독성 상호작용 분석"…KIT 사업단 출범 2013-03-25 16:14:21
'다장기 상호연계 독성평가'는 생체가 독성물질에 노출될 때 생기는 장기간 상호연계 작용과 각 장기의 독성물질에 대한 감수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기술이다. 사업단은 분자스크리닝 기술과 오믹스 기술을 접목해 막대한 비용이 드는 기존동물실험 독성평가의 문제점을 개선할 예정이다. 분자...
"단백질의 생체분자 인식 과정 밝혔다"< KAIST> 2013-03-21 15:16:57
홍성철 교수가 공동으로 단백질이 생체 내 분자를 인식하고 결합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생체분자는 생물체를 구성하거나 생물의 구조, 기능, 정보전달 등에 필요한 물질이다. 단백질은 이 생체분자를 인식해 결합함으로써 생명현상을 유지하게 된다. 단백질의 생체분자 인식에 오류가 생기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