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재발 잦은 뇌종양, 맞춤형 치료 가능" 2015-09-15 18:00:00
학술지 캔서셀 최신호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연구팀은 뇌종양과 관련 있는 유전자 ‘idh1’의 돌연변이에 따라 항암제 ‘테모달’의 부작용 빈도가 달라진다는 사실도 밝혀냈다.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물 이용해 '반도체' 만든다 2015-08-25 10:23:01
온라인판 8월19일 자에 게재됐다. vip 논문으로 선정된 것은 물론 표지논문으로도 게재될 예정이어서 연구결과의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 유기반도체 소재를 '물'에 분산시키고, '물'로부터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실험과정의 모식도(사진=미래창조과학부) 이번 연구의 핵심은...
이용록 영남대 교수, SCI학술지 표지 논문3편 선정 2015-08-24 13:27:45
발표한 논문 3편이 연이어 국제 저명 학술지 표지 논문으로 선정돼 화제다. 유기합성 분야의 권위자인 이용록 교수가 발표한 ‘은 촉매를 이용한 다양한 유형의 아조피라졸 고리화합물 구축’ 논문이 응용화학 분야에서 상위 1.4%에 해당하는 세계적인 권위지 <어드밴스드 신데시스 앤드 카탈리시스>(advanced...
현대아이비티, 약국체인 `국대약방` 통해 중국 진출 2015-08-18 09:12:34
수 있음을 확신한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아이비티의 비타브리드 제품의 원천기술인 유무기 전달체기술은 세계 각국에 특허 등록돼 있다. 또 네이처(Nature)지의 하이라이트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미국화학회지(JACS), 독일화학회지(Angewan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의 표지논문으로 소개된 바 있다.
머리카락 굵기 10만분의 1 '틈새' 열었다 2015-08-06 11:43:00
8월 5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돼 실리게 됐다. 실험실 수준 연구에 머물던 초미세 간극 금속구조체 제작을 넘어서 향후 3년 내 실용화될 것으로 연구진은 전망했다. 강 교수는 "고도의 전문성과 기술력이 필요해 연구실 수준에 머물던 초미세 간극 금속 나노 소재의 개발과 응용에 큰 도움을 주게 됐다"며 "나노바이오 센서...
충남대 이은지 교수팀, 다중층 나노캡슐 개발 2015-08-04 16:08:06
이 논문은 간단한 용액 공정법으로 미국 식품의약품국(FDA)에서 승인받은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해 나노입자를 제조했으며, 신개념 약물 전달 특성을 유도함으로써 나노입자의 바이오 의학 산업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을 크게 높인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연구는 지난 3일 재료분야 학술지인...
'표적DNA 검출' 유전자 진단기술로 메르스 값싸게 검사 2015-07-27 10:29:24
있다"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즈'(Chemical communications, 6월호) 뒷면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scite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3D 바이오프린터로 혈관조직 분포된 뼈조직 만들었다 2015-07-21 09:47:34
7월호 표지논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조직공학이나 재생의학에서는 그동안 줄기세포를 이용한 손상된 조직·장기의재생 가능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으나 재생할 수 있는 조직·장기의 크기가 매우작아 결손 장기를 회복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 이유는 재생하고자 하는 조직의 크기가 커질수록 안쪽에...
ETRI 경기욱 박사, IEEE 젊은과학자상 수상 2015-06-25 08:48:49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에 표지논문으로 게재하는등 지금까지 SCI 학술지에 논문 20여편을 발표하고 국내외에 특허 30여건을 등록했다. 경 박사는 "어떻게 하면 보다 편리한 장치를 만들까 고민하며, 좋은 동료와 함께 늘 새로운 도전을 해온 결과가 인정받게 돼 매우 영광스럽다"며 "...
국내 연구진, 신경·장기 치료용 ‘세포 스티커’ 개발 2015-06-09 12:00:00
하버드대학교의 바이오질병연구소가 함께 진행했습니다. 미래부 관계자는 “손상된 장기와 신경에 자신의 세포로 만든 ‘세포 스티커’를 활용하면 거부반응 없는 효과적인 치료가 기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13일 신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지 표지논문에 발표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