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씨줄과 날줄] 외면받는 국사, 멀어지는 애국 2013-06-21 17:45:17
평전’을 썼다. 몇몇 출판사에 원고를 보냈더니 최익현은 드라마적 요소가 없는 인물이며 영웅도 아니라고 퇴짜를 맞았다. 위인전 형식을 벗어나 격변의 구한말 상황을 다룬 역사책으로 썼는데 그래서 더더욱 안 팔릴 거라고 한다. 병인양요, 신미양요, 강화도조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개혁, 을미사변, 아관파천,...
[책마을] 10년 전 거짓말처럼 떠난 장국영 2013-03-28 17:23:00
들려준다.냉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접근한 평전은 아니다. 일방적 구애로 느껴질 만큼 ‘그 시절 장국영’에 대한 사랑이 듬뿍 묻어난다. 저자가 홍콩에서 직접 찍은 사진과 영화 스틸컷, 장국영이 방한했을 때 찍은 사진 등 책에 실린 다양한 화보들이 읽는 재미를 더한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급등주...
[화제의 책] 경제학적 상상력 등 2013-03-21 20:58:01
위한 삶 ○저항인 함석헌 평전=기독교에 뿌리를 두면서도 한국의 전통사상을 비롯해 동서양의 철학을 넘나들었던 사상가이자 민권운동가였던 함석헌(1901~1989)의 삶을 되짚은 평전. 격동의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으면서 선생이 어떻게 반일·반소·반분단·반독재 투쟁의 중심 인물이 돼 불의에 저항했는지를 입체적으로...
메이저리그 124승의 신화...박찬호의 도전을 따라가다 2013-03-08 09:45:42
이뤄낸 박찬호의 평전이 처음으로 출간됐다. 이 책은 국내 최고의 야구전문기자로 손꼽히는 민훈기 기자가 박찬호의 야구 인생에서 의미가 깊은 승리를 통해 우리나라 최초의 메이저리그 투수의 여정을 따라간 책이다. 스포츠지 사상 첫 해외 상주 특파원을 지낸 민 기자는 메이저리그를 비롯해 박찬호와 코리안 빅리거...
마지막 빨치산 삶 다룬 휴먼스토리…박찬두 씨 '장군의 후예' 출간 2013-03-06 16:52:35
3권짜리 평전 《장군의 후예》(작가)를 내놨다. 저자는 황의지의 파란만장한 인생을 통해 비극적인 역사와 이념 갈등의 상처를 고스란히 드러낸다. 황의지는 일제 시기와 6·25, 전후 좌우갈등의 중심에 서 있던 인물. 조선시대 명재상 황희와 명장 황진, 선비 황현의 후예인 그는 태평양전쟁이 막바지로 치닫던 1944년...
[책마을] 떠돌이서 대스타, 노배우서 명감독…그의 삶이 영화다 2013-02-28 16:55:12
평전《클린트 이스트우드》다. 《거장의 숨결~》은 이스트우드의 영화철학을 그의 육성으로 고스란히 담아낸다. “수익이 나지 않더라도 저는 상관없었습니다. 만들고 싶은 영화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용서받지 못한 자’를 만들 때도 이미 서부영화 시대는 지나갔다고 했지만 저는 ‘이건 특별한 이야기이고, 새로운...
[화제의 책] 이노베이터의 탄생 등 2013-02-28 16:53:58
치른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평전. 250명이 넘는 여왕 측근들을 인터뷰하고 미공개 자료들을 참고해 파란만장한 삶을 생생하게 되살려냈다. 여왕이 오래도록 국민들의 지지를 받는 비결을 저자는 ‘겸손의 리더십’에서 찾는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재위 기간 내내 권력이나 부가 아니라 국민의 마음을 얻고자 했으며...
[음악이 흐르는 아침]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제9번 2013-02-26 17:19:55
그의 평전을 읽어봐도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정치 성향이 어쨌든 간에 그의 기질은 선동적인 음악보다 신고전주의적인 간결함에 더 어울렸던 것 같다. 좋은 예가 독일군을 물리친 기쁨을 노래했다는 교향곡 제9번(1945)이다. 유희성이 너무 강하다는 이유로 한때 ‘즈다노프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나 지금은 가장...
[책마을] 모든것의 시작은 민생…백성을 생각하던 네남자 2013-02-14 16:52:31
평전이다. 율곡 이이, 오리 이원익, 포저 조익, 잠곡 김육이 주인공이다. 이들은 선조와 광해군, 인조 때 조정에서 중요한 신하로 인정받으며 백성을 위한 실질적인 제도를 만들고 시행하고 또 좌절했다. 이들로부터 시작된 제도들은 실학자를 거쳐 현실에 큰 영향을 미쳤다.“정사(政事)는 시의(時宜)를 아는 것이 귀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