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혼다 '어코드 하이브리드' 4300만원…당신은 사시겠습니까 2017-01-18 15:11:43
일본 기계공학의 총아로 불리는 혼다 '어코드(accord)'가 2개의 전기모터와 1개의 하이브리드 전용 엔진을 달고 18일 한국에 상륙했다.혼다를 대표하는 중형 세단 '어코드'는 1976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출시됐다. 뛰어난 기본기와 내구성을 바탕으로 발전을 거듭해온 어코드는 지난 40년간 전...
KAIST 강성모 총장·이상엽 교수 '다보스포럼' 참석 2017-01-18 09:47:33
논의한다. 세계경제포럼 글로벌미래위원회(Global Future Council) 생명공학분야 의장인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는 세계 리더들을 대상으로 '세계를 바꾸는 기술 : 생명공학과 뇌공학기술(World Changing Technology : Biotech and Neurotech)' 세션에서 강연한다. 이 교수는 20일 오전(현지 시각)에 있을...
黃권한대행 "'AI 핵심기술' 국가전략 프로젝트 추진"(종합) 2017-01-13 17:14:56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홍윤식 행정자치부 장관, 나경원·김성태·신용현 의원, 김재홍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윤동윤 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 회장, 이부섭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권오경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등 정·재계, 학계 인사 600여 명이 참석했다. jesus7864@yna.co.kr,...
나노구조체로 세포 방향성 조정…"상처·조직 재생에 활용" 2017-01-13 07:00:19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 및 뇌 공학과 김필남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홍남 박사팀은 13일 잘 디자인된 기울어진 나노섬모 구조체를 이용해 세포의 움직임을 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 과정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세포는 놓여있는 바닥면의 형상을 인식해 자신의 방향성을 정하는...
뇌 연구법에 근본적 결함?…뇌과학·인공지능 학계에 파문 2017-01-13 04:00:00
인간의 뇌를 이해하겠다는 것은 연목구어(緣木求魚)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뇌과학 방법론에 대한 조심스럽고 진지한 성찰이 없는 한, 현재의 '빅데이터'식 연구는 별다른 진전이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 논문 저자들의 주장이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 전기공학·전산학과의 박사후 연구원인 에릭...
[스타트업 리포트] 네오펙트 반호영 대표 "게임하며 재활하는 스마트치료기, CES서 인정받았죠" 2016-12-13 17:57:59
우주공학을 전공하고 삼성전자에서 일했다. 이후 콘텐츠 사업에 도전했지만 실패했다. 새 사업을 구상하던 중 가족력인 뇌졸중을 생각해냈다. 반 대표의 아버지는 그가 대학생 때 뇌졸중으로 세상을 떠났다. 친척도 여러 명 뇌졸중 후유증으로 오랜 기간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센서와 빅데이터라는 신기술로 장애를...
'도구의 인간'...도구의 원숭이도 있다 2016-10-20 23:15:00
행동과 같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허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은 “카푸친 원숭이가 만든 석기는 인류가 만든 초기 단계인 ‘외날도끼’ 또는 ‘외날찍개’라고 불리는 형태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이스라엘 하이파대 연구진은 영장류...
맛 이야기(음식에 숨겨진 맛있는 과학) 출간 `화제` 2016-10-19 09:23:05
위해 뇌과학을 도입한다. 익숙하지 않은 뇌과학 분야의 용어를 알기 쉽게 풀며 쉽고 재미있게 맛을 설명한다. 이 책은 음식에 관심 있는 사람들, 요리사를 꿈꾸는 학생들, 음식을 조리하는 셰프들, 또 매일 가족이 먹을 음식을 만드는 주부들을 겨냥하고 있다. 맛의 세계를 제대로 이해하고 또 다른 행복을 발견할 수 있는...
[2016 쇼퍼런스] 로봇공학자 대니얼리 교수 "AI 발전…우린 할일이 많다" 2016-10-14 06:46:12
"AI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인간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인간의 뇌가 움직이는 방식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이 완성됐을 때 AI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 대니얼리 교수의 설명입니다. 또한 대니얼리 교수는 기초 과학에 대한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신전동휠체어 개발한 장애인 교수, 세계 첫 사이보그 대회 출전한다 2016-10-02 19:16:31
더 참여한다.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bci 경주 종목에는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오픈bmi가 출전한다. 공경철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세브란스 재활병원, 벤처기업 sg메카트로닉스로 구성된 팀은 하반신 완전마비 환자가 로봇을 입고 걷는 외골격 로봇 경주에 참가한다.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