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원자력연 방사선 차폐재 상용화 성공 2014-10-20 11:32:13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 머티리얼스'(Advanced Engineering Materials) 지난달 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으며, 지난 9일'머티리얼스 뷰즈'(www.materialsviews.com)에 소개됐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신기루, 카메라 속으로!'… KAIST,테라헤르츠 굴절 광학렌즈 세계 첫 개발 2014-09-24 11:48:33
피직스 레터 applied physics letter’에 9월자 특집 논문으로 실리면서 표지 [제1저자 박상길 박사과정]를 장식했습니다.kaist에 따르면 연구팀의 개발품에서 등장하는 용어 가운데 테라헤르츠파 terahertz wave는 100g (기가=10∧9)hz ~ 30t(테라=10∧12)hz 대역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를 일컫습니다, 또...
신기루 원리로 테라헤르츠파 광학렌즈 개발 < KAIST> 2014-09-24 10:06:02
때문에 비용을 최대 100분의 1수준으로 줄일 수 있으며, 제작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국물리협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Applied Physics Letter) 이달 호 특집논문 및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빛의 속도로 정보 전달" 광자 다이오드 개발 2014-09-18 10:57:35
고석민(제1저자)·공수현(제2저자) 박사과정 학생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 지원사업과 KAIST EEWS 연구센터 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지난 10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생명硏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장에 김운봉씨 2014-07-22 10:06:22
맞춤형 의학 등에 대한 연구로 네이처 표지논문과 다수의 SCI급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점 등을 인정받았다. 센터는 부처별, 연구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생물자원과 생명정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생물연구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대용량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해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달의 산업기술상] 최우수상 - 김태선 바이오메트릭스테크 대표 2014-06-25 03:36:02
기술은 수백피코그램(1pg은 1조분의 1g)의 표지 단백질을 신속하고 재현성 높게 분석하는 신기술이다. 그동안 기술적 한계로 여겨지던 10종 이상의 마커단백질을 수pg/ml 수준까지 검출할 수 있어 단백질 칩을 이용한 각종 연구개발 및 진단 분야의 제품화가 가능해질 전망이다.단백질 칩은 아직까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구부렸다 폈다'…휘어지는 촉각센서 개발< ETRI> 2014-06-12 10:55:40
활용해 표면의 특성을 느끼면서 섬세한 힘 조절까지가능한 로봇 손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재 분야 권위 있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내달호 표지논문으로 출판될 예정이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뇌의 기능적 연결' 볼수 있는 장치 개발"<표준연> 2014-05-27 09:25:05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라며 "이번에 개발한 측정 장치가 뇌의 신비를 풀 수 있는 열쇠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 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저널인 '뉴로이미지'(NeuroImage) 5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효율 40배↑' 입는 나노발전기 개발< KAIST> 2014-05-15 10:37:03
수 있다"며 "발전 효율이 높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 있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지난달 23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강기석·박찬범 공동연구팀, 바이오 배터리 원천기술 개발 2014-04-24 21:49:54
‘생체 기반 군사용 리튬2차전지 전극 소재 개발’ 과제로 진행됐다. 조 박사는 “안전성과 용량면에서 우수해 미래 병사용 전원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 및 응용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최신호의 후면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최승욱 선임기자 s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