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Smart & Mobile] "친구 따라 강남 와…아시아에 업무용 메신저 '잔디' 깔겠다" 2015-07-21 07:00:20
'k-스타트업' 키우는 외국인 열전 (5) 다니엘 챈 토스랩 대표매력 커진 한국 스타트업 한국에서 통하면 아시아서도 통해 처음부터 해외시장 공략 기업 늘어업무에 최적화 된 '잔디' 모든 파일 공유·실시간 의견 교환 고가 그룹웨어 막상 직원들은 외면 보안 취약한 일상용 메신저 사용 [ 최유리 기자 ]...
지리산 청학동 'KT 기가 창조마을'로 재탄생 2015-07-06 21:24:21
입주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애니랙티브의 모바일 전자칠판 솔루션(비터치)을 적용한 결과다. 비터치는 특수 센서가 부착된 펜으로 종이에 글씨를 쓰면 그 동작을 자동으로 인식해 대형 모니터와 스마트폰에서 실시간 구현될 수 있도록 한 원격교육 솔루션이다. ‘기가 서당’에서 애니랙티브의 기술이 처음...
'매직스쿨 제니스', 구글플레이에 나왔다 2015-06-23 09:59:05
스쿨 제니스> 가 가지는 장점 중 하나이다.개발삼팀 문명주 대표는 지난 4월 스타트업을 설립하여 3개월만에 출시하는 첫 타이틀이며 유저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부족한 부분을 업데이트를 통해 채워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빠른 시일에 버전을 선보일 수 있었던 배경은 개발에 대한 열정과 팀웍 덕분이며 이번...
"SK대전혁신센터는 창의성 꽃피우는 독특한 구조" 2015-06-14 21:38:51
교수진은 정부와 대기업이 함께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는 창조경제 정책이 한국의 초기 산업화 모델과 맥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관심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굴테킨 교수는 “정부 주도로 경제발전을 이룬 한국이 정부와 대기업의 협업으로 벤처 육성에 나선 배경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며...
美 와튼 교수진, 대전에서 창조경제의 길을 묻다 2015-06-14 19:35:57
와튼 스쿨 교수진이 우리나라의 창조경제 모델을 연구하기 위해 대전을 찾았습니다. 박상률 기자가 와튼 교수들을 만나봤습니다. <기자> 미국의 와튼 스쿨 소속 교수진 6명이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찾았습니다. 와튼 스쿨 교수진은 미국에서는 보기 드문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모델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인터뷰> 케빈...
美 와튼스쿨 교수진, 대전혁신센터 방문 2015-06-10 16:03:02
대학교 경영대학원 `와튼 스쿨`의 교수진들이 오늘(10일) 오전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찾았습니다. 이번 혁신센터 방문은 와튼 스쿨 내 국제본부가 주최한 국제 세미나 일정 가운데 하나로, 학술 연구차 외국 대학 교수들이 혁신센터를 찾은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번 세미나의 주요 연구대상으로 `창조경제 모델`로...
미 와튼스쿨 교수진, 창조경제 연구차 대전센터 방문 2015-06-10 11:00:33
빠르게 성장했는데 미국에서는 보기 힘든 상황"이라며 "창조경제 분야에서 협력모델이 어떻게 구체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방문한 교수진은 마케팅, 정보통신, 스타트업의 경영관리 등 벤처기업의성장에 필요한 분야를 전공으로 삼고 있다. fusionjc@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애니팡 400억 신화, 나도 한번"…고액연봉·전문직 버리고 모바일로 2015-05-18 20:38:59
업 잇따라해커대부·소셜커머스 3인방 등 거물도 가세 인재 따라 돈도 몰려…'빅뱅' 카운트다운 [ 강영연 / 안정락 기자 ] “로켓을 탈 기회가 생기면 어떤 자리냐고 묻지 마라. 일단 올라타라.”셰릴 샌드버그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가 2013년에 출간한 베스트셀러 ‘린인(lean in)’에서 한...
[人사이드 人터뷰] 영 우 "건물에 역발상 디자인…맨해튼의 '혁신 디벨로퍼'로 통하죠" 2015-05-08 20:51:38
소비공간이 아니라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을 대거 입주시키고, 패션쇼와 영화제를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버려진 대도시 부두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하겠다는 것도 세계에서 처음 시도되는 프로젝트다. 뉴욕시가 쟁쟁한 대형 건설사 대신 우 대표에게 개발을 맡긴 이유다. 미국의 한...
[LGERI 경영노트] 대기업도 스타트업처럼 '먼저 쏘고 나서 겨눠라' 2015-05-08 07:00:52
만들어내기 어려운 스타트업 문화를 구축하면서 조직 안팎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란제이 섬讚?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수는 “거대 기업이 겪는 가장 흔한 문제는 규모와 범위가 커질수록 시스템 및 구조와 프로세스가 복잡해져 결국 실행이 느려지고 리스크 테이킹 능력을 상실한다는 것이다. 그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