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감현장> 미방위, 활성단층 보고서 비공개 집중질타 2016-10-05 16:26:24
있다"고 역설했다. 지질학자들은 신생대 제4기(258만8천년 전) 이래 한 번이라도 움직인 적이 있는단층을 활성단층으로 본다. 반면, 원자력 분야에서는 미국의 기준에 따라 Ɖ만5천년내 1차례' 혹은 만년 내 2차례' 지층이동이 발견되는 단층을 활성단층(활동성단층)으로 규정한다. 배 의원은...
"대전에 방사성폐기물 9천950드럼 저장고…내진설계는 미비" 2016-10-05 06:00:14
지질학계가 정의하는 활성단층에 해당된다. 지질학자들은 신생대 제4기(258만8천년 전) 이래 한 번이라도 움직인 적이 있는 단층을 활성단층으로 본다. 반면원자력 분야에서는 미국의 기준에 따라 Ɖ만5천년 내 1차례' 혹은 만년 내 2차례' 지층이동이 발견되는 단층을 활성단층으로 규정한다. 폐기물...
몽골 사막서 ‘106cm 대형 공룡’ 발자국 화석 발견...“티타노사우루스류 추정” 2016-09-30 17:52:37
몽골 과학아카데미 고생물학지질학연구소 공동 연구팀이 몽골 고비사막 남동부에서 길이 106㎝, 폭 77㎝의 공룡 발자국화석을 발굴했다. 이 화석은 약 7천만∼9천만 년 전 백악기 후기 지층에서 올해 8월 21일 발견됐으며 형태상 식물을 주로 먹는 대형 공룡 용각류(龍脚類)의 일종인 티타노사우루스류의 왼쪽 뒷발자국인...
지질연 지진 연구인력, 북한 지진국의 5분의 1 수준 2016-09-27 06:00:55
지질학회 내 지진분과위원회와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한국지구과학회 등 3곳 정도로, 교수 등을 포함한 전문가는 최대 80여명 정도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헌철 박사는 "정부의 예산 지원보다 절실한 것은 지진 전문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라면서 "활성단층 조사의 경우 수십년에 걸쳐 현장 조사가...
"보험사, 독자적 지진 위험 보상 어려워…풍수해보험 확대 필요" 2016-09-25 12:00:31
길지 않지만, 과거 문헌을 조사하거나지질학적 특성 등을 연구해 지역별 지진의 빈도·심도를 추정하고 도시화 수준을 고려해 리스크의 통계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며 "보험사들은 지진 리스크의 통계적특성을 다양한 캣(CAT·대재해 요율 산출)모델에 적용해 합리적인 요율을 산출할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한반도에 대지진 나기 어려워" vs "역사적으로 가능" 2016-09-20 11:25:39
커지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한반도의 지질학적 구조상 규모 6.5 이상 대형 지진은 일어나기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역사적인 근거를 들어 대지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지진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지각이 만나거나 맞물리는 곳에서 생긴다. 한반도는 지질 구조상 일본과...
정부, 북한 5차 핵실험 증거 '제논' 검출 실패 2016-09-15 16:15:45
전 세계적으로 지질학적 정보는 물론 핵물질 이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관측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북한이 핵실험을 했는지 가장 먼저 파악하는 곳 중의 하나였다.원안위는 핵실험을 진행한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가 단단한 화강암 지대인 데다, 지하 700m 아래 깊은 곳에서 실험해 방사성 물질이 공기...
북한 5차 핵실험 증거 '제논' 검출 이번에도 실패…왜? 2016-09-15 15:35:16
세계적으로 지질학적 정보는 물론 핵물질 이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관측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북한이 핵실험을 했는지 가장 먼저 파악하는 곳 중의 하나였다. 원안위는 핵실험을 진행한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가 단단한 화강암 지대인 데다, 지하 700m 아래 깊은 곳에서 실험해 방사성 물질이...
경주 지진 20배 규모에도 원전 끄덕없지만…향후 더 큰 지진 대비는 필요 2016-09-14 07:00:20
하는데 한반도의 지질학적 구조상 응력 축적이 안 되는 환경”이라고 설명했다.일부에서는 7.0 이상의 대형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들어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역사적으로 한반도에서 규모 7.0이 넘는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평가된 사례도 있다”며...
<규모 5.8 지진> 원전 내진 설계 문제없나…전문가 의견 '분분' 2016-09-13 11:44:19
수 있는 응력(땅에 작용하는 힘)이 있어야 하는데 한반도의 지질학적 구조상 응력 축적이 안 되는 환경"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주로 고주파 에너지에 의한 것으로, 지진의 지속 시간이 짧아서 피해 규모가 적을 것으로 예측했다. 지 센터장은 "이번 경주 지진을 비롯해 2007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