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탈원전 폐기 상징' 신한울 3·4호기 건설 본격화 2024-09-12 11:53:15
2.4%에서 2038년 5.5%로 확대된다. 현재 원전의 발전 비중은 약 30% 수준이다. 다만 원전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수요지인 수도권까지 전기를 나를 송전망의 안정적 확충과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영구 처분할 수 있는 방폐장 건설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22대 국회 지각 개원식…늦은 만큼 경제·민생 제대로 챙겨야 [사설] 2024-09-02 17:33:06
할 것이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 상속세 부담 완화 등도 마음만 먹는다면 접점 찾기가 어렵지 않다. 정부가 이번주 발표할 국민연금 개혁도 지속 가능한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혹여 민주당은 이런 다급한 현안들을 노란봉투법, 25만원 지원법 등 당 중점 추진 법안들과 연계하는 전략을 펴 발목 잡는...
日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1년…논란은 '현재 진행형' 2024-08-22 06:01:00
계획이었다. 고준위 방사성을 뿜어내는 핵연료 잔해를 꺼내기 위해 로봇 팔을 개발하는 등 여러 시도를 했지만, 원자로 내 구조물이 예상치 못한 퇴적물로 메워져 있는 등 난관을 만나면서 세 차례나 회수 작업 개시를 미뤘다. 도쿄전력은 약 22m 길이의 신축형 파이프 장치를 새로 개발, 원자로 2호기에서 핵연료 잔해를...
[사설] 與, 민주당 해상풍력법 받더라도 고준위 방폐장 서둘러라 2024-08-21 17:37:58
것처럼 ‘신규 원전 건설 반대’를 조건으로 고준위 방폐장법을 처리하는 건 곤란하다. 21대 국회 때 여야가 고준위 방폐장의 저장용량을 40~60년인 원전 설계수명을 기준으로 정하는 쪽으로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보다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면 80년까지 원전 운영기간을 늘리는...
고준위법·간호사법…시급한 민생법안 여전히 산적 2024-08-20 18:08:23
사용후핵연료(고준위방폐물) 중간 저장시설 등을 건설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한 법안이다. 21대 국회에서도 여야가 필요성에는 공감했지만, 통과되지 못했다. 야당은 풍력 사업 절차를 간소화하는 해상풍력법을 고준위법과 연계해 처리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여당은 이에 대해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어서 당장...
전세사기특별법·전력망확충법 28일 국회 처리 2024-08-20 17:56:21
△전세사기특별법 △구하라법(민법 개정안) △육아휴직 확대법 △임금체불 처벌 강화 관련법 △간호사법 등의 조속한 통과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함께 통과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 고준위방폐장법은 다음 정기국회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 저출생 위기 대응을 위한 인구전략기획부 신설 법안 역시 야당이 정부...
[단독 ]여야 정책위의장 회동…"국가 전력망법 본회의서 처리" 합의 2024-08-20 17:40:46
△고준위방폐장법 △인구전략기획부출범법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전력망확충위원회를 설치하고,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는 국가 전력망법 통과에 큰 이견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의무를 다하지 않은 부모의...
원전 필요하지만…국민 53% "우리 동네는 안돼" 2024-08-14 16:58:25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과 관련해 국회 입법 상황에 대해서는 고작 16.3%만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설문 참여자의 54.1%가 적절한 보상과 안전성이 보장된다면 자신의 거주지에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 시설을 짓는 데 찬성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에너지정보문화재단이 여론조사기관...
국민 82% "원전 필요"…53% "거주지역에 원전 건설 반대" 2024-08-14 16:25:31
대다수인 91.1%가 시급하다고 답했으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의 국회 입법 상황에 대해서는 16.3%만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 참여자의 54.1%는 적절한 보상 및 안전성이 보장되는 경우 거주 지역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설을 건설하는 데 찬성할 것이라고 답했다. 국내에서 원전을...
[사설] AI 시대 데이터센터 싹 자르는 '사후 전력 허가제' 2024-08-12 17:35:52
1기를 건설하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을 공개했지만, 탈원전 정책 기조를 고수하려는 거대 야당의 반대가 변수다. 국가 에너지 대계에 좌우가 있을 수 없다. 턱없이 부족한 송배전 선로 건설을 위한 국가기간전력망확충 특별법과 원전 확대에 불가피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법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