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려아연, 황산니켈 생산능력 두 배 키운다 2021-11-24 17:37:22
리튬이온 배터리의 4대 원료인 양극재의 핵심 소재다. 양극재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적정 비율로 배합한 전구체와 리튬을 섞어 만든다. 전구체는 양극재 재료비의 70%를 차지한다. 니켈은 전구체 원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이상이다. 황산니켈은 고순도 니켈에 황산을 첨가해 만든다. 별도 가공 없이 바로 양극재...
[이슈 In] 전기차는 윤리적 소비?…당신이 몰랐던 코발트의 진실 2021-11-19 05:40:00
이온 배터리의 양극재 제조에 필수적인 소재다. 그런데 전세계 코발트 생산량의 70%가량을 차지하는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의 코발트 광산 채굴권을 중국 업체들이 장악하면서 '노예 노동'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 DR콩고에 전세계 코발트 50% 매장…"中업체, 현지 주민 노동착취" 지난해 기준 1인당...
"전기차 주행거리 40% 늘리는 배터리, 딱 2년만 기다리시라" 2021-11-11 14:31:01
스타트업이다.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전기가 잘 통하고 규소보다 100배 이상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어 ‘꿈의 소재’로도 불린다. 장 대표는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IT) 재료과학 석·박사 출신으로 2002년 세계 최초로 그래핀을 발견, 관련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G3가 보유한 그래핀과 배터리...
5배 얇은 투명전극 개발…OLED·태양전지 성능 개선 2021-11-05 17:06:10
이온 2차전지에서 양극재(양극활물질)가 음극재(음극활물질)보다 고도의 기술로 평가받는 이유도 일함수와 관련이 있다. 2차전지 양극재의 주성분인 니켈은 일함수가 5.1eV가량으로 큰 편이다. 한국연구재단은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사진 가운데) 연구팀이 니켈 도핑으로 30~50㎚ 두께의 초박막 투명전극을...
바이러스 막는 갈륨·구리 코팅 섬유 나왔다 2021-10-25 17:08:18
25일 밝혔다. 구리는 살균 효과가 좋은 금속이다. 미생물 등이 구리 이온과 만나면 세포막에 구멍이 나면서 세포 사멸을 촉진하는 활성산소가 그 구멍으로 들어간다. 엘리베이터 버튼 패드 등에 구리 코팅막을 붙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연구팀은 액체 금속인 갈륨을 활용해 구리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높이면서 균일하고...
한국미래기술교육硏, 전기차 폐배터리 관련 신규 사업 발굴 및 시장 선점 방안을 위한 세미나 개최 2021-09-28 14:17:08
구리 등을 습식제련, 황산 용해 등을 거쳐 추출해 사용하는 사업으로써 잔존가치가 없는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환경오염을 줄이면서도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희토류 금속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재사용 역시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로써 전기차에 사용된 배터리를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나 전동킥보드, 캠핑용 전지...
전기차 전환 빨라지자 치솟는 니켈값…주식시장 10대 니켈주는? 2021-09-14 12:01:37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을 늘리는데 니켈은 가장 큰 걱정거리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는 올해 2월말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렇게 밝혔다. 머스크는 이런 우려 때문에 철 함량이 높은 배터리 사용을 확대하겠다고 했지만 다섯달 뒤인 올해 7월 호주의 BHP와 니켈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 계약으로 테슬라가 확보한...
동박에서 충전기까지…전기차 핵심기술 투자 늘리는 SK 2021-05-27 06:01:01
구리를 고도의 공정 기술로 얇게 펼친 막) 제조사 왓슨에 2019년과 2020년 두 차례에 걸쳐 총 3천700억원을 투자했다. 왓슨은 2025년까지 생산능력을 15만t까지 확장할 계획이며 향후 기업공개(IPO)도 검토하고 있다. SKC[011790]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SK넥실리스는 최근 이사회에서 연산 5만t 규모의 이차전지용...
LG에너지솔루션·GM 합작법인, 폐배터리 재활용 나서 2021-05-12 09:00:52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의 코발트, 니켈, 리튬, 흑연, 구리, 망간 알루미늄 등 다양한 배터리 원재료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원재료 중 95%가 새로운 배터리 셀의 생산이나 관련 산업에 재활용이 가능하다. 배터리의 원재료를 재활용하는 하이드로메탈러지컬(Hydrometallurgical) 공정은 기존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번개를 보면 '꼬마요정' 전자의 자유를 생각해보세요 2021-05-10 09:01:24
적어지면서 원자 자체가 전하를 띠는 이온이 형성된다. 이런 이온과 전자를 통칭하여 하전입자라고 하고, 이들이 거시적으로 평형을 이루며 집단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상태를 플라스마라고 한다. 오늘날 반도체 공정의 핵심 기술이다. 전기장을 펼치는 하전입자가 관찰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대론적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