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설] "통일, 대통령의 헌법적 책무"…자유 가치 기반한 담론 주도하길 2024-03-01 18:11:34
데 대한 반박이다. 김정은이 ‘두 국가론’을 들고나온 데는 신냉전이라는 유리한 국제정세 기류에 올라타 핵무장을 이뤄나가겠다는 호전성이 엿보이지만, 근저에는 한국 주도의 흡수 통일에 대한 불안감도 있을 것이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김정은이 ‘통일 폐기’를 선언했다고 해서 무작정 따라갈 수는 없다. 두 국가를...
대만 '친중' 국민당 총통후보 "당선시 1년내 中과 대화 회복" 2024-01-05 10:23:50
대만 총통의 '두 개의 국가론'(양국론)을 제창으로 중단됐다가 2008년 마잉주 총통 집권 이후 대화가 재개됐다. 하지만 대만 독립 성향의 차이잉원 총통이 2016년 집권한 이후 두 단체의 대화가 단절돼 현재 상황에 이르렀다. 대만의 차기 총통 선거는 오는 13일 입법위원 선거와 함께 치러진다. 당선인은 오는 5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에 이시욱, 통일연구원장에 김천식 2023-07-20 18:20:54
통일정책실장을 거쳐 2011~2013년 통일부 차관으로 재직했다. 공직에서 물러난 이후 우석대 초빙교수, 세한대 석좌교수,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통일공감포럼 공동대표(2016~2017), 통일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 이사장 등을 맡았다. 저서로 '통일국가론'(2018) 등이 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커버스토리] 뜨거운 감자 '탈(脫)중국'…전략인가 불가피한 선택인가 2023-06-19 10:01:02
국가론은 1960~1970년대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산업화가 가능했던 것은 경제 성장을 최우선 목표로 삼은 정부가 강력한 정책수단을 활용해 경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외국인 투자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중국이 20년 정도 늦게 동아시아 국가들의 방식을 따랐다는 것이죠....
[조일훈의 시선] 문재인, 장하준, 그리고 시장경제의 적들 2023-06-07 17:35:19
전 대통령은 장 교수가 제시한 통 큰 복지국가론에 무척 흥분한 것 같았다. 1인 1표 정치로 시장을 몰아내면 국민 삶을 구석구석 살피는 빅브라더 정부 건설이 가능하다고 여겼기 때문일 것이다. 자유시장론을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맹폭하고 있는 장 교수는 놀랍게도 ‘결과의 평등’까지 내달렸다. 그는 “인생의 경주...
中대만사무판공실 "'92 공식' 수용해야 양안 민간교류 가능" 2023-02-23 15:26:36
출신의 리덩후이 대만 총통이 '두 개의 국가론'을 제창한 걸 계기로 해협회와 해기회 간 대화도 중단됐다. 이어 2008년 국민당 출신의 마잉주 총통 집권 이후 대화가 재개됐다. 이후 두 단체는 해운, 항공, 우편 분야 협력 등 경제 분야에 대한 12개 협정을 체결하며 양안의 교류·협력 확대를 주도해 왔다....
[천자 칼럼] 윤건영의 어설픈 국가론 2022-12-14 17:58:42
게 ‘국민국가론’이다. ‘국민이 국가의 주인’인 민주주의 체제는 국가 폭력과 절연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국민국가에서도 유서 깊은 국가의 강제성은 여전하다. 국민이라는 불특정 다수를 선동과 제도의 폭력으로 결집하는 포퓰리즘과 전체주의의 무수한 사례가 그 증좌다. 국민을 참칭하는 기술이 세련돼졌을 뿐이다....
[커버스토리] 12월 초까지 대입 논술…생글 커버스토리 훑어라 2022-11-21 10:01:01
로크, 토머스 홉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국가론은 대표적인 것들입니다. ⑤ 큰 정부, 작은 정부: 상경계 대학 논술에서 단골로 출제되는 주제죠. 애덤 스미스와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작은 정부, 큰 정부를 논할 때 반드시 등장합니다. 애덤 스미스는 자유로운 시장경제와 정부 개입의 최소화를 주장했고, 케인스는 정...
[사설] 임기 마지막까지 촛불 타령으로 자화자찬한 문재인 2022-05-09 17:34:58
이뤘다며 ‘대한민국 선도국가론’까지 폈지만 얼마나 공감할지 의문이다. 특히 “나라다운 나라를 요구한 촛불 광장의 열망에 우리 정부가 얼마나 부응했는지 숙연한 마음이 든다”고 말한 대목에서는 “끝까지 촛불 타령이냐”는 반문이 절로 나온다. 문 정부는 지난 5년간 ‘촛불의 염원’에 부응했는지는 몰라도 조금...
[커버스토리] 정부는 권력 남용하고 타락하기 쉽기 때문에 권력 나누고 제한해야 개인의 권리 보호되죠 2022-05-09 10:00:26
아리스토텔레의 《정치학》, 플라톤의 《국가론》이 보이는 공통점이죠. 정치는 공공선(public good)을 실현하는 공공 영역이기 때문에 개인들은 그것에 복종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런 주장을 근대적 민주주의로 극복하려는 시도가 미국에서 벌어졌습니다. 미국 독립과 미국이 만든 최초의 성문헌법이 그 증거입니다.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