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척 산골 절터서 승단이 쓴 통일신라 청동인장 2점 출토 2017-12-05 09:17:31
유사하다"며 "'범응관아'라는 명문은 문헌과 금석문을 통틀어 처음 확인된 용어인데, 통일신라시대 승단 조직과 국가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인장에는 '만'(卍) 자처럼 획을 여러 번 구부린 추상적 무늬가 새겨졌다. 청동인장은 인장사 연구에 매우 ...
'세계 섬, 해양문화 미래비전'…제주학대회 개막 2017-11-02 17:10:01
금석문 탁본전 등이 개최된다. 대회 막바지인 25∼26일에는 제주대와 도내 일원에서 '민요자료의 아카이브와 자원화 방안'이란 주제로 학술행사가 진행된다. 제주학은 선사 이래 탐라시대를 거쳐 내려온 제주의 지리적 바탕 위에 형성된 인문·사회·자연과학 분야를 대상으로 학문적 체계를 정립하고, 통합학문의...
서울 도봉서원터서 탁본만 전하던 10세기 고려 비석 출토(종합) 2017-10-27 13:42:02
9년(1668) 신라 이후의 금석문 탁본을 모아 엮은 책인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탁본이 실렸으나, 88자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 이번에 발굴된 비석 조각에는 281자가 새겨져 있는데, 그중 256자가 판독됐다. 그중에는 '견주도봉산영국사'(見州道峯山寧國寺)라는 글자도 있었다. 견주는 경기도 양주의 옛...
서울 도봉서원터서 고려사 미스터리 풀어줄 비석 출토 2017-10-27 08:10:25
현종 9년(1668) 신라 이후의 금석문 탁본을 모아 엮은 책인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탁본이 실렸으나, 88자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 이번에 발굴된 비석 조각에는 281자가 새겨져 있는데, 그중 256자가 판독됐다. 그중에는 '견주도봉산영국사'(見州道峯山寧國寺)라는 글자도 있었다. 견주는 양주의 옛...
'세계 섬, 해양문화 미래비전은'…제주학대회 열린다 2017-10-25 17:31:12
금석문 탁본전 등이 개최된다. 대회 막바지인 25∼26일에는 제주대와 도내 일원에서 '민요자료의 아카이브와 자원화 방안'이란 주제로 학술행사가 진행된다. 박찬식 제주학연구센터장은 "매년 가을에 열리는 제주학대회는 제주다움을 발굴하고, 제주 사람들의 정체성 확립과 로컬리티의 지평을 확산하는 계기를...
19세기 조선과 청의 문인은 어떤 글을 주고받았나 2017-08-28 11:22:52
이 책에는 장요손뿐만 아니라 조선의 금석문을 연구해 서적을 편찬한 유희해(劉喜海), 청나라 최고의 경학자 완원(阮元)의 아들인 완복(阮福) 등 61명의 서신이 담겼다. 출판사 사람들이 펴낸 신간 '북경편지'(北京便紙)는 해린척소의 국내 첫 완역본이다. 편지 원문을 싣고 번역 원고와 주석, 15개 이본(異本)의...
중국 고대사 기록된 갑골문, 국립한글박물관서 전시된다 2017-08-17 10:06:09
만들어진 서화, 금석문 탁본 등을 들여와 전시할 계획이다. 유호선 국립한글박물관 학예연구관은 "국내에 들어올 유물과 전시 구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전시실을 채우려면 100점 내외는 돼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지난해 11월 중국 문자박물관, 일본 역사민속박물관과도 협약을 체결한 바...
고문헌에 나타난 신라 왕경의 모습은…경주서 학술세미나 2017-08-09 09:44:36
= 고문헌과 금석문, 목간 등에 남아 있는 신라 왕경 자료를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모색하는 학술 행사가 열린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11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신라 왕경 연구 기초자료 학술세미나를 연다고 9일 밝혔다. 여호규 한국외대 교수와 전덕재 단국대 교수는 '삼국사기'에...
"신라가 생각한 통일에 고구려는 없었다…삼국통일론은 허구" 2017-07-18 18:23:21
직접 쓴 금석문, 원효나 최치원 등 신라인의 글을 모은 문집, 고구려와 백제 유민의 묘지명,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모두 살폈다. 조사 결과, 신라가 '삼국 통일'이라고 남긴 기록은 3건에 불과하다. 반면 '삼한 통일'이라는 표현은 11차례 등장한다. 한데 논쟁은 '삼한'이라는 단어에서 발생한다....
[신간] 한국서예문화사·미술의 피부·광야와 도시 2017-06-23 16:31:26
고조선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금석문과 목간 등 각종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한국 서예 흐름을 소개한다. 통일신라 서예가 고구려와 신라, 백제의 필법보다 퇴색했다고 평가하면서도 이후 한국서예사의 기본적인 토대를 이룩했다는 점을 높이 산다. 조선 후기에는 김정희를 비롯해 걸출한 서예가들이 다수 등장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