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커버스토리] '개발이냐, 규제냐'…갈라지는 AI 진영 2024-01-08 10:01:01
AI 연구소에 “GPT4(최신 챗GPT)보다 더 강력한 AI 개발을 최소 6개월간 중단하라”고 촉구한 게 그런 목소리입니다. 작년 6월 유럽연합(EU)이 위험성이 높은 AI의 개발을 규제하는 법안을 마련하기도 했죠. 양 진영의 주장은 결국 ‘파멸론-이타주의(감속주의)-기술 통제주의’와 ‘낙관론-가속주의-기술 유토피아주의’로...
[2023 서울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세계 최초 동형암호 상용화 성공한 스타트업 ‘크립토랩’ 2023-12-28 16:42:31
말했다. 덧붙여 “올해 4월에는 프랑스에 CryptoLab Research라는 연구소를 설립해 현재 세계 암호학계의 스타로 간주하는 Damien Stehle 박사를 책임자로 모시고 Guillaume Hanrot 교수, Alain Passelegue 박사와 같은 인재를 영입하여 연구와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도...
한국과 닮은꼴 강소국 네덜란드와 '파트너십 확대' 모색 2023-12-10 07:00:02
내 연구중심 대학과 기업 간 활발한 산학 공동 연구를 '슈퍼을의 비결'로 보고 있다. 연구중심 대학 근처에 산업단지가 있고, 산단 내에는 제조 공장뿐 아니라 첨단 IT 기업들의 연구소가 입주해 있다. 이 때문에 첨단소재의 기초부터 응용, 산업 수준의 발전까지 산학연의 유기적인 교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과기정통부, 50개 학회와 '개방형 R&D' 2023-12-07 18:14:25
밝혔다. 새로 구성되는 학회연합회엔 우주, 탄소중립, 기초, 융합, 바이오 등 분야에 걸쳐 50여 개 학회 등이 참여한다. 한국공학한림원,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한국원자력학회, 한국통신학회, 대한수학회, 한국물리학회 등이다. 과기정통부는 연합회와 연중 상시 소통체계를 마련하고 중요한 현안이 있을 때 이곳을 통해...
"나눠먹기 R&D 안돼" 과기정통부, 50여개 학회와 개방형 R&D 한다 2023-12-07 14:30:04
공식화하겠다"고 밝혔다. 새로 구성되는 학회연합회엔 우주, 탄소중립, 기초, 융합, 바이오 등 분야에 걸쳐 50여 개 학회 등이 참여한다. 한국공학한림원,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한국원자력학회, 한국통신학회, 대한수학회, 한국물리학회 등이다. 과기정통부는 연합회와 연중 상시 소통체계를 마련하고 중요한 현안 발생시...
산업 R&D, 해외기관과 협력 강화…"80개 급소기술 빠르게 확보" 2023-12-05 22:41:55
약 1조9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정부는 국제 공동 연구 지원 대상을 선정할 때 무기명 전문가 평가 등 다층 검증을 통해 국제협력이 꼭 필요한 기술을 추려내겠다는 방침이다. 180개 과제 외에도 정부는 맞춤형 인공 장기, 초실감 공간 컴퓨팅 등 기존 주력 산업을 대체할 10대 '게임 체인저 기술'을 확보하기...
반도체패키징 등 180개 기술 국제 공동개발…1조9천억원 투입 2023-12-05 14:00:03
연 2회의 연구 중간 점검을 진행하고, 불성실 과제로 판단되면 지원을 중단하는 등 관리 체계도 강화할 방침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180개 과제 외에도 정부는 맞춤형 인공 장기, 초실감 공간 컴퓨팅 등 기존 주력 산업을 대체할 10대 '게임 체인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025년 사업 착수를 목표로 1조원 규모의...
[커버스토리] 논란의 횡재세 상생용이라는데… 2023-12-04 10:01:01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NIE 포인트1. 횡재세가 법원칙과 조세원칙에 맞지 않는 부분이 무엇인지 정리해보자. 2. 횡재세가 도입되면 기술 혁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보자. 3. 불평등 완화를 위해 증세가 필요하다는 논리의 문제점을 토론해보자. 장규호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danielc@hankyung.com
윤 대통령 "도전적 연구 과감히 투자"…혁신 R&D 과제는 예타 면제 2023-11-27 18:22:57
고성능 연구시설 및 장비를 도입하는 계약에 걸리는 기간을 50일(현재 120일)로 줄이고 연구 성과가 뛰어난 연구자가 더 많은 보상을 받도록 기술료 보상을 60% 이상으로 상향(현재 50%)한다. 글로벌 R&D 분야는 협력 상대국 상황에 맞출 수 있도록 사업 집행 시 예산의 회계연도 이월을 허용한다. 프로젝트 사업 기간과...
"도전적 연구는 실패해도 지원"…정부 R&D 혁신방안 발표 2023-11-27 15:30:00
연합(EU) 연구자 교류프로그램인 '마리 퀴리 프로그램'을 본떠 초기 연구자의 인력교류를 지원하는 한국형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세계 최고 수준 연구기관과 공동연구, 인력 교류할 수 있도록 돕는 '탑티어 협력 플랫폼'도 새로 구축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재외한인 연구자 유치 지원, 개인 기초연구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