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길따라 멋따라] 고즈넉한 숲의 향기 일품인 증평 등잔길 2017-05-13 07:00:01
독서광'으로 알려진 백곡(栢谷) 김득신(金得臣·1604∼1684)의 상을 만나게 된다. 그는 임진왜란 때 진주성 대첩을 이끈 김시민 장군의 손자다. 배운 것도 돌아서면 금방 잊는 '둔재'였다는 그는 책 한 권을 무려 11만 번이나 읽었다고 한다.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애쓴 그의 노력이 어땠는지를 짐작할 수...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3-22 15:00:08
10:28 '조선시대 독서광' 김득신 문학관 내년 11월 착공 170322-0432 지방-0057 10:29 근무환경 개선하고 고용도 늘리고…대구시 참여기업 모집 170322-0439 지방-0058 10:31 현대중노조 '4사 1노조' 추진 대의원 반대로 '제동' 170322-0443 지방-0059 10:33 '철새 군집지역 3㎞이내 닭·오리...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3-22 15:00:07
10:28 '조선시대 독서광' 김득신 문학관 내년 11월 착공 170322-0421 지방-0057 10:29 근무환경 개선하고 고용도 늘리고…대구시 참여기업 모집 170322-0428 지방-0058 10:31 현대중노조 '4사 1노조' 추진 대의원 반대로 '제동' 170322-0432 지방-0059 10:33 '철새 군집지역 3㎞이내 닭·오리...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문화 2017-03-22 15:00:03
170322-0416 문화-0016 10:28 '조선시대 독서광' 김득신 문학관 내년 11월 착공 170322-0423 문화-0017 10:30 [그래픽] 비혼화 거세진다…여성 독신율 2025년에 10% 넘을 듯 170322-0434 문화-0018 10:34 '원나잇 푸드트립2' 첫방송…코요태·이연복 등 출연 170322-0440 문화-0019 10:38 유지태, 채널CGV...
'조선시대 독서광' 김득신 문학관 내년 11월 착공 2017-03-22 10:28:40
6월 1일 공모안을 제출받기로 했다. 김득신 문학관은 증평읍 송산리 군립도서관 인근에 지하 1층, 지상 3층(연면적 1천500㎡) 규모로 건립된다. 사업비는 45억원이다. 군은 오는 6월 당선작을 선정한 뒤 내년 3월 착공, 같은 해 11월 준공할 계획이다. 김득신은 임진왜란 때 진주성 대첩을 이끈 김시민 장군의 손자다. 그는...
[도서관장이 들려주는 책 이야기] 선현들 지혜 담긴 좌우명, 세상의 풍파 견뎌내는 힘 2016-11-10 17:21:05
마라’(김득신), ‘배움은 반드시 의문을 일으켜야 한다. 의문을 일으키지 않으면 아는 것이 실하지 못하다. 의문을 일으킨다는 것은 우물쭈물 망설여 결정하지 못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렇게 하여 옳다는 것을 안다면 이렇게 하면 안 된다는 것도 살펴야만 비로소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이익)《옛...
삼성전자, `미인도` SUHD TV로 상영…간송문화전 내 SUHD TV 영상존 설치 2016-04-19 15:05:06
TV 영상존`을 마련하고 신윤복의 `미인도`와 `단오풍정`, 김득신의 `야묘도추` 등 조선후기 풍속인물화 10점을 상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삼성 SUHD TV는 풍부한 색재현력을 갖춘 최신 퀀텀닷 기술이 적용된 TV로 UHD 영상으로 제작된 문화재들의 미세한 부분까지 전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풍속인물화 UHD 콘텐츠는 1:1...
불화 35억·불상 20억 …고미술에 '뭉칫돈' 2016-03-28 18:21:21
이징의 ‘백응박압도’(白鷹搏鴨圖·3억1000만원)와 긍재 김득신의 ‘종리선인도’(鍾離仙人圖·2억7500만원) 등이 억대 낙찰가 대열에 합류했다.○근·현대미술품 가격보다 낮아고미술품의 ‘최고가 행진’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가격 추세는 박수근 이중섭 김환기 천경...
충북 증평군, 김득신 문학관 건립 2015-12-16 18:42:27
문학관을 건립한다. 문학관은 김득신과 관련한 역사적 자료를 볼 수 있는 전시실, 문학 동호인의 활동 공간인 창작 사랑방, 문학토론방을 갖출 예정이다. 김득신은 17세기 대표적 시인으로 백이전(伯夷傳)을 무려 11만번이나 읽은 것으로 전해져 ‘조선시대 독서광’으로 유명하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혜원 '미인도' 첫 외출…한국 미술 '성찬' 2014-06-29 20:59:09
단원 풍속화의 맥을 계승한 김득신의 ‘야묘도추(野猫盜雛)’, 세 신선이 서로 나이를 자랑하는 장승업의 ‘삼인문년(三人問年)’ 등 교과서에서 자주 본 작품이 즐비하다. 또 추사 김정희가 말년에 초의선사가 보낸 차 선물에 대한 보답으로 쓴 서예 명품 ‘명선(茗禪)’, 고려 문종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