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흔들어 주세요' 몸 움직임 이용하는 나노발전기 개발 2016-01-11 07:42:39
있는 나노발전기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와 김대원 박사 연구팀은 11일 고분자 가루를 마찰전기 생산 물질로 사용, 모든 방향의 움직임에서 전기를생산할 수 있는 나노발전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착용형(웨어러블) 소자와 인체 삽입형(implantable) 소자, 무선...
'백금·철 나노합금 촉매'로 연료전지 발전성능 10배 향상 2015-12-07 12:00:45
김두철)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중견석좌교수)과 성영은 그룹리더(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연구팀은7일 백금과 철 나노합금 표면에 탄소원자막을 입히는 방법으로 수소연료전지 촉매의발전성능과 안정성을 크게 높였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ACS,...
바이러스 수직배열로 바이오 발전소자 효율 6배 높였다 2015-11-25 12:01:48
나노발전체는 박테리오파지를 수평 배열한 발전체보다 발전 효율이 약 3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또 M13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조작해 발전 기능을 높인 뒤 발전기를 만들어 발전 효율을 다시 2배 높이는 데 성공했다. 오진우 교수는 "이 연구는 생체이식과 웨어러블이 가능한 차세대 소자에서...
마찰로 전기생산 고효율 나노발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2015-11-04 14:01:24
포스텍 김동성 교수 "접촉대전 나노발전기 저비용·대량생산 가능" 국내 연구진이 마찰전기를 모아 전력으로 재활용하는 접촉대전 나노발전기 제작과정을 단순화한 저비용·고효율·고속생산의 대량생산 공정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팀은 4일 다른 두 물질이 접촉 후 분리될 때...
누르면 전기 생기는 '스펀지 발전기' 개발 2015-08-20 19:53:59
일으키는 방식으로 전기를 얻는 신개념 발전기를 개발했다고 20일 발표했다.이 발전기는 물질을 서로 마찰시켰을 때 나타나는 정전기 현상에서 전기를 얻는 방식이다.연구진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인 유전체를 스펀지 구조의 얇은 막으로 만들고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가량인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신설법인 현황] (2014년 10월9일~2014년 10월15일) 서울 2014-10-17 17:06:00
(후암동,미소가아파트) ▷엘버즈(윤성민·4·기타 발전기 및 전기변환장치 제조업) 서대문구 성산로 565, 지하 109호 (대신동,연세재단y빌딩) ▷와이비엔터프라이즈(오영배·200·신재생에너지 산업) 강북구 삼양로149길 27, 205호 (우이동,파인힐하우스) ▷월드마인인터내셔널(조상용·...
'효율 40배↑' 입는 나노발전기 개발< KAIST> 2014-05-15 10:37:03
수 있는 나노발전기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 연구팀이 유연한 압전박막소재를 이용해 기존보다 효율이 40배 정도 높은 나노발전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나노발전기는 나노 크기(10억분의 1m)의 물질에 미세한 압력을...
"버리는 태양에너지로 전기 생산"<기계연> 2014-02-13 11:30:09
열전 발전기를 고안한 뒤,태양광과 태양열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융합발전시스템을 개발해 냈다. 사막이나 해양 등 태양전지의 효율이 낮은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에 대해 국내 특허를 등록했으며, 국제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맞춤형 수출지원…울산테크노파크의 진화 2013-12-23 21:08:56
안 사장은 울산테크노파크로부터 수직형 풍력발전기 기술을 이전받았다. 이 기술은 기존 날개형 풍력발전기와 달리 도심 공원이나 아파트 옥상에 설치 가능하다. 안 사장은 이 기술로 하루 2㎾의 전력을 생산하는 6m 높이의 소형 에코 풍력발전시스템을 개발해 최근 덴마크 풍력발전회사에 48기(24억원 상당)를 수출했다....
자연계 바이러스 이용해 나노발전기 개발 < KAIST> 2013-12-10 10:22:12
M13이라는 바이러스 유전자를 조작해 압전 효과가 뛰어난 나노발전기를 제작했다. 나노발전기는 나노 크기(10억분의 1m)의 물질을 사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로, 물질에 압력이나 구부러짐 등과 같은 물리적 힘이 가해질 때 전기가 발생하는특성인 '압전 효과'를 이용한다. 이번에 개발된 나노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