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논&설] 아이슬란드 '여성 파업'과 한국의 저출산 2023-10-26 16:17:56
차지한 국가다. 임금과 교육, 의료 등의 분야에서 남성의 권익을 1로 봤을 때 여성의 권익 수준을 말하는 지수가 올해는 0.912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146개국 중 지수가 0.9를 넘는 나라는 아이슬란드가 유일했다. 한국은 이 조사에서 105위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한국은 성평등 문제와 관련된 국제적 조사에서 여전히...
여성들, 24시간 파업 나선다...여자 총리도 참여 2023-10-23 16:45:08
파업으로 아이슬란드에서는 이듬해 남녀고용평등법이 의회를 통과했다. 그로부터 5년 뒤에는 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라는 유럽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자 세계 최초의 민주적으로 선출된 여성 국가 지도자가 배출됐다. 40개 단체가 뜻을 모은 이번 파업의 조직자들은 1975년 파업 이후에도 여성 평등권 보장을 위한 핵심적인...
아이슬란드 여성들이 48년만에 파업에 나선 이유는 2023-10-23 15:56:48
논 바이너리(Non-binary·남녀라는 이분법적 성별 구분에서 벗어난 제3의 성 정체성을 지닌 사람)들이 성별 임금 격차 해소와 성폭력 근절 등을 요구하며 48년 만에 처음으로 하루 일정의 전일 파업에 나설 예정이라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2일(현지시간) 했다. 가디언은 수만 명의 아이슬란드 여성과 논바이너리들이 오는...
中 대도시 사회초년생 22% 저축 180만원 미만…12%는 '무일푼' 2023-10-20 21:13:08
꼽혔다. 이번 조사 응답자의 남녀 비율은 4대 6이었으며, 주링허우(1990년 이후 출생자)와 주링우허우(1995년 이후 출생자) 비중이 70%를 차지했고 4대 도시(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와 성도(省都)급 도시 거주자가 90%에 달해 대도시 청년들의 저축 실태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현지 매체들은 평가했다. 작년 말...
[책마을] "남녀 임금 격차가 줄지 않는 핵심 이유는 육아 부담" 2023-10-13 18:07:07
왜 요즘에도 남녀 임금 격차가 사라지지 않는지에 집중한다. 미국 기준으로 1970년대 이후 가파르게 좁혀지던 임금 격차는 2005년 이후 개선 정체에 빠졌다. 일각에선 직종을 이유로 든다. 예컨대 남성은 의사, 여성은 간호사로 더 많이 일하기 때문에 임금 격차가 발생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하지만 골딘의 계산에...
"저출산 극복 위해선 복지 혜택 받는 노인들이 가진 것 일부 내놔야" 2023-10-12 18:15:18
10년간 남녀 임금 격차를 추적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과 임금이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밝혀냈다. 최근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클로디아 골딘 미국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의 연구에서 자녀 출산이 남녀 임금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 것과 비슷한 내용이다. 한 교수는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
"韓저출산 해결하려면…기성세대·기업 변해야" 2023-10-10 18:29:50
교수는 남녀 간 임금 및 직장 내 지위 격차를 200년이 넘는 데이터를 추적해 증명해냈다. 특히 남녀가 아이를 낳고 기르면서 생기는 임금 격차에 주목했다. 육아는 항상 여성이 맡아야 한다는 편견이 ‘부부간 공평성’을 깨면서 임금 차이를 만들어냈다는 논리다. 골딘 교수는 한국의 저출산 문제 원인도 여기에서 찾았다....
"육아는 여성 몫이라는 기성세대 편견이 韓 저출산 원인" 2023-10-10 18:29:39
간 임금 격차를 평생 연구한 것도 경제학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의 결과다. 다음은 이날 간담회에서 나온 일문일답. ▷연구 주제를 통해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입니까. “종종 가정에서 일어나는 일이 노동시장의 임금과 직업 차이에 반영됩니다. 예를 들어 로스쿨을 졸업한 두 명의 남녀 변호사가...
[사설] 여성친화적 기업문화 주창한 노벨상 수상자의 저출산 해법 2023-10-10 18:01:08
어렵기 때문에 전근대적인 남녀의 역할 구분이 명확한 사회에서는 소득을 극대화하기 위해 주로 여성이 저임금의 시간 유연성이 높은 일자리를 택했고, 이는 여성과 남성의 임금 격차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이런 환경에서 고학력 여성들은 아이 낳기를 꺼리고, 이 경향이 지속되면 저출산 사회로 진입한다. 따라서 저출산...
'한국 출산율' 정확히 맞힌 노벨경제학 수상자…그의 조언은 2023-10-10 02:30:43
흐름에 따라 성별에 따른 소득과 고용률 격차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피고 그러한 차이의 원인을 규명해냈다. 특히 남녀가 아이를 낳고 기르면서 생기는 임금 격차에 주목했다. 육아는 항상 여성이 맡아야 하는 편견이 ‘부부간 공평성’을 깨면서 임금 차이를 만들어냈다는 논리다. 골딘 교수는 한국의 저출산 문제의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