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제주항공 참사] 항공기 위험성은? "사고확률 낮지만, 안전 당연한것 아냐" 2024-12-31 09:41:50
대형 사고가 남긴 충격이 작지 않은 데다, 앞서 24일 발생한 아제르바이잔 여객기 추락사고 등 세계적으로도 비슷한 소식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미국 CNN 방송은 30일(현지시간) 항공기 이용의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 점검하는 기사를 온라인에 게재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발생한...
제주항공, 운항시간 길고 기령 높아…안전 관련 투자도 '부실'(종합) 2024-12-30 21:42:21
국적 항공사 가운데 항공기 평균 기령(사용 연수)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기술정보시스템(ATIS)에 따르면 제주항공 평균 기령은 14.4년으로 대한항공(11.4년), 아시아나항공(12.3년)보다 2, 3년 많았다. 같은 LCC인 에어부산(9.7년), 진에어(12.7년), 티웨이항공(13.0년)과도 차이가 났다. 법규 위반으로 항공...
푸바오가 항공사 '블루오션'이라고?…"동물 운송 시장 커질 것" 2024-12-30 18:09:46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삼고 항공기 로딩에 대한 세부적인 규정을 정확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화주의 수요에 부합하도록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멸종위기종 동물들도 원활하게 운송할 수 있습니다." ▷이같은 동물 항공운송 시장이 향후 얼마나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시는지요 "살아있는 동물 항공운송 시장은 앞으로도...
참사 하루만에 제주항공 랜딩기어 또 고장…'LCC 불안감' 커져 2024-12-30 17:56:03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LCC들이 확보한 항공기 1대당 정비사는 국토부가 권고한 최소 기준(12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난해 말 기준 LCC들의 항공기 1대당 정비사는 제주항공 11.1명, 티웨이항공 10.4명, 진에어 10.0명 등으로 대한항공(16.5명)과 아시아나항공(16명)에 크게 못 미쳤다. LCC업계 관계자는 “안...
국내 101대…보잉 '737-800' 전수 점검 2024-12-30 17:52:36
가장 많이 운용하는 기체다. 대형 참사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무안공항 활주로 종단 안전구역 끝에서 약 264m 거리에 있는 콘크리트 보강 언덕 형태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을 사고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했다. 당초 공항 외벽에 부딪힌 것으로 알려진 항공기는 외벽 직전에 설치된 콘크리트 언덕과 충돌해 대형...
여객기 참사…흔들리는 LCC 운명은 2024-12-30 17:34:01
<기자> 보잉의 737-800 기종은 중·단거리 전용 항공기로 주로 LCC가 보유하고 있습니다. 항공기술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항공사에서는 101대 정도가 운영되고 있는데요. 제주항공이 39대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고요. 티웨이항공 27대, 진에어 19대, 이스타항공 10대, 에어인천 4대, 대한항공 2대...
[제주항공 참사] LCC 업계 파장은…"이미지 악화 우려" "안전성 점검 계기" 2024-12-30 17:16:07
전날 사고가 난 제주항공 항공기의 경우 최근 1주일 동안 운항 횟수가 38회로 나타난다. 사고 전날 24시간 동안에는 '코타키나발루→무안'(비행시간 4시간 14분), '무안→나가사키'(57분), '나가사키→무안'(59분), '무안→타이베이'(2시간 11분), '타이베이→무안'(1시간 35분),...
대한항공·아시아나 ‘한 몸’ 됐다…LCC 수싸움 ‘치열’ [취재현장] 2024-12-30 16:45:21
보유 항공기는 16대 더 많습니다. 제주항공을 포함해 남은 LCC 7곳은 몸집 키우기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제주항공은 2019년 이스타항공 인수를 추진한 데 이어 올해 4월에는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부문 인수를 추진한 바 있습니다. 국내 리조트 업계 1위인 대명소노그룹이 올해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
[제주항공 참사] 48시간에 13차례 운항 6개국 오가…전세기 무리했나(종합) 2024-12-30 15:30:11
띄우는 항공기 좌석을 지역 여행사에 판매하거나 패키지 상품과 항공권을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기도 했다. 4회 중 2회는 하나투어와 모두투어 등 대형 여행사들이 함께 띄우고, 2회는 Y사가 중심이 돼 모객했다. 참사가 발생한 이번 상품은 후자였다. 지방 소재 공항들의 경우 제주항공 같은 저비용항공사(LCC)의 전세기...
[제주항공 참사] '무리한 운항' 화근됐나…가습기살균제 이은 애경 '안전 불감증' 2024-12-30 14:55:49
비행시간을 항공기 운용 대수로 나누는 방식으로 산출한다. 가용한 비행시간을 최대한 늘려 높은 수익을 꾀한 셈이다. 이는 기체 노후화가 빨라지는 한 원인이 된다. 이렇다 보니 상대적으로 안전 관리는 허술해질 수밖에 없다. 지난 2021년에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종합 안전도 조사에서 최하위(C++) 점수를 받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