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제껏 못본 우주의 심연'…웹망원경 촬영 풀컬러 사진 첫 공개(종합) 2022-07-12 09:21:32
160만㎞ 떨어진 '제2 라그랑주 점'(L2)에 지난 2월 안착했다. L2 안착 직후 웹망원경이 지구에서 약 2천 광년 떨어진 별 모습 등을 찍어 보내와 NASA가 일부 공개한 바 있지만, 정교한 처리 과정을 거쳐 풀컬러로 우주 깊은 곳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공개된 사진은 SMACS 0723 은하단...
"135억년전 초기 우주 관측도 가능"…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2022-07-12 08:06:00
지난해 12월 발사된 웹 망원경은 이른바 제2라그랑주점(L2)에서 지구와 일직선으로 태양을 공전하고 있다. 웹 망원경의 차광막은 궤도에서 항상 태양 쪽을 향하게 돼 있으며 이를 통해 태양, 지구, 달 등에서 방출되는 열을 차단, 열에 매우 민감한 망원경을 보호하게 된다. 또 망원경이 지구와 일직선을 이루기 때문에...
여정 200일만에 풀컬러 우주모습 선보이는 '인류의 눈' 웹망원경 2022-07-12 08:03:14
약 160만㎞ 떨어진 '제2 라그랑주 점'(L2)으로, 지구와 달 거리(36만km)의 4.4배에 달하는 지점이다. L2는 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곳으로, 웹 망원경이 안정적으로 태양 궤도를 돌며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점이다. 태양에서 바라본다면 열에 민감한 웹 망원경이 지구 뒤편에 숨어 초저온...
NASA, 풀컬러 우주 이미지 사진 첫 공개 2022-07-12 08:03:01
160만㎞ 떨어진 `제2 라그랑주 점`(L2)에 안착해 지난 2월부터 지구에서 약 2천광년 떨어진 별과 셀카 등을 찍어 공개한 바 있지만, 이번에 사실상의 첫 결과물로 풀컬러 우주 이미지를 공개한 것이다. 공개된 사진은 SMACS 0723 은하단 이미지다. 은하단 뒤에 있는 천체의 빛을 확대해 휘게 하는 현상을 일으키는 이른바...
[2보] 이제껏 보지 못한 우주의 심연…웹망원경 풀컬러 사진 첫 공개 2022-07-12 08:00:03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구에서 약 160만㎞ 떨어진 '제2 라그랑주 점'(L2)에 안착해 지난 2월부터 지구에서 약 2천광년 떨어진 별과 셀카 등을 찍어 공개한 바 있지만, 이번에 사실상의 첫 결과물로 풀컬러 우주 이미지를 공개한 것이다. 공개된 사진은 SMACS 0723 은하단 이미지다. 은하단 뒤에 있는 천체의 빛...
웹 망원경 돕는 유도센서 이미지마저 "가장 깊은 우주" 포착 2022-07-08 10:42:43
밖 '제2라그랑주점'(L2)과의 통신 대역폭이 제한돼 과학 관측 자료를 전송하는데도 벅찬지라 FGS 이미지는 대개 지구로 전송하지 않고 사장돼 왔다. 하지만 지난 5월 중순 이뤄진 열 안정성 시험 기간에 생성된 이 이미지는 통신 대역폭에 여유가 생기면서 전송할 수 있었으며 웹 망원경의 성능을 미리 보여주는...
웹 망원경 첫 이미지 '감격적 경험', 분위기 띄우는 NASA 2022-06-30 15:02:30
160만㎞ 떨어진 '제2 라그랑주 점'(L2)까지 가는 동안 주경과 테니스코트 크기의 열 방패막이를 펼쳤으며, 한 달여 만에 태양과 지구가 중력 균형을 이뤄 안정적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L2에 안착한 뒤에는 주경의 거울을 미세조정하고 근적외선카메라(NIRCam)를 비롯한 각종 장비를 점검하며 본격적인 관측 준비를...
우리 은하 3D지도 작성 '가이아'가 포착한 별 20억개 자료 공개 2022-06-14 16:26:59
제2라그랑주점(L2)에서 태양 궤도를 돌며 관측 임무를 시작한 이후 2016년과 2018년에 이은 3차분 자료다. 3차 자료 일부는 2020년 12월에 미리 공개된 바 있다. 앞선 1,2차 자료는 별의 위치와 이동 등에 관한 정보를 주로 담았으며, 이번에는 분광 관측을 토대로 한 별의 화학 성분과 온도, 이동 속도 등에 관한 새로운...
가슴 쓸어내린 NASA…웹 망원경 시작도 하기전 유성체 충돌 2022-06-09 10:07:52
발표됐다. 웹 망원경이 떠 있는 '제2 라그랑주 점'(L2)은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곳으로 먼지 크기의 입자가 초고속으로 지나가는 환경을 고려해 작은 입자의 충돌을 견뎌낼 수 있게 망원경을 제작했다. 하지만 주경 거울에 충돌한 유성체는 지상에서 시험했던 입자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웹...
"지구 중력장 벗어나는 7번째 도전"…한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 준비 완료 2022-06-06 12:00:04
라그랑주 포인트(두 개 이상의 천체에서 받는 힘이 같아지는 곳)까지 도달한다. 이후 다시 지구와 달의 중력장에 이끌려 반대쪽 지구와 달 방향으로 매듭 모양 궤적을 그리며 유영한다. 이 과정은 모두 4.5개월 가량 걸리며 최소 2회, 최대 9회의 궤적 수정 기동이 있을 전망이다. 한국시간으로 12월 16일 달에 가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