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화학연 '유연·저가' 구리 전극 제조 기술 개발 2016-08-18 11:02:30
개발한 구리합금 전극 제조 기술은 대기 중에서대면적으로 저온 급속 광소결이 가능해 저가 유연 투명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이 인쇄산업전자 신규소재를 개발하고자 진행하는 '글로벌연구실사업'과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했다....
KAIST·성균관대, 효율 높은 반투명 태양전지 개발 2016-08-01 10:51:22
페로브스카이트를 기반으로 양면에 자체 개발한 투명 전극을 사용해 반투명한 태양전지를 구현했다. 연구팀은 수십 나노미터(㎚, 10억분의 1m) 두께의 얇은 박막에 빛의 반사를 줄일 수 있도록 굴절률이 높은 절연층을 쌓아 투명한 전극을 개발했다.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대역은 투과시키고, 눈에 보이지 ...
"여러 힘 동시 인식" 투명 3D 터치센서 개발 2016-07-21 12:00:34
연구팀은 상·하판 투명 전극 사이에 부드럽고 투명한 유전체(젤 필름)를 넣어여러 지점에서의 힘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촉각센서를 제작했다. 센서를 누름에 따라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 세기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적게는 50g에서 많게는 1천g의 힘을 인식할 수...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성능 높여…수분 취약성 개선 2016-07-10 12:01:06
되는데, 정공을전극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정공 전달 물질과 첨가제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정공 전달 물질로 널리 사용되는 '스파이로 엠이오테드'와 그에 사용하는 첨가제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태양전지의 성능을 떨어뜨리는문제가 있었다. 스파이로 엠이오테드 자체도...
기초과학연구원 루오프 단장, 미국탄소학회 'SGL 카본상' 2016-07-07 12:18:32
카본상'(SGL Carbon Award)을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독일 전극·탄소섬유 생산업체인 SGL 카본이 후원하는 SGL 카본상은 과학기술발전에 기여한 과학기술자에게 주는 상으로, 미국탄소학회가 3년마다 열리는 '국제카본 콘퍼런스(World Conference on Carbon)'에서 시상하고 있다. 루오프 단장은 탄소...
'꿈의 신소재' 그래핀 3차원 합성 성공 2016-06-29 14:37:17
이를 3차원으로만들면 다시 평면으로 돌아가 3차원 전극소자에 활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란타늄을 촉매로 사용해 제올라이트 내 미세한 기공들에 탄소 결정을주입하는 데 성공했다. 제올라이트는 무수히 많은 초미세한 구멍 구조를 가진 일종의 광물로, 지름 1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의 구멍에서...
"심부전 치료" 부작용 없는 심장 자극기 개발 2016-06-22 15:28:29
전극으로 된 심장 자극기를 이용해 심장에 전기 자극을전달, 수축을 돕게 된다. 하지만 기존 심장 자극기는 전극이 닿는 부분만 자극해 심장 박동을 불규칙하게함으로써 심장마비나 부정맥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심장 재동기화(심부전으로 좌우심실이 동시에 수축하지 못하던 것을...
태양광 흡수율 높인 차세대 태양전지 재료 개발 2016-06-20 13:34:26
외부 전기장 없이도 전자와 전극이 스스로 분극할 수 있는 광전환물질로,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전이원소는 산소와 쉽게 반응해 산화물이 될 수 있고, 쉽게 합금을 만들 수 있는 소재이다. 강유전체는 실리콘을 대체할 차세대 태양전지 재료로 주목받고 있지만, 빛 에너지에 반응할 수 있는...
"1만번 써도 수명 그대로"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개발 2016-06-20 09:28:46
수 있었다. 기존 탄소계열로만 돼 있는 전극의 저출력 문제를 해결하고, 유기 접착제와 전도성 재료 없이도 전기전도성이 높은 전극을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높은 출력과 긴 수명을 가진 배터리가 요구되는 전기자동차나 휴대용 기기 등에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정구 교수는...
울산과기원, 효율 높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재료 개발 2016-06-17 18:26:51
전극의 제조 비용이 비싸고 전해질과의 산화 환원반응 과정에서 부식되는 단점이 있어 효율이 낮고 안전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에 이종원소 중 하나인 셀레늄(Se)을 결합함으로써 백금을 대체할 수 있는 상대전극 재료를 개발했다. 탄소로만 구성된 그래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