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천자칼럼] 40년 만에 빛 보는 오색케이블카 2023-02-27 18:19:02
궤도 운송·환경·문화재·국토개발 관련 법령 10여 개를 통과해야 하는 난공불락의 규제에 가로막혀 있다. 그러다 보니 전국 22개 육상국립공원 중 케이블카가 설치된 곳은 설악산 내장산 덕유산 등 3곳에 불과하며, 그나마 1989년 덕유산 이후 34년간 추가 설치는 한 건도 없다. 우리와 비슷한 규제가 있는 일본이 31개...
일제 강점기 탱화에서 태극기 발견..."항일 운동의 일환" 2023-02-21 15:30:41
성보보존위원회 위원은 그림 제작이 1917년 11월 5일 시작됐고 같은 달 17일 완성돼 봉안됐다고 조사보고서에서 밝혔다. 그는 당시 주지인 기선스님이 진응스님의 증명을 받아 수화승 만총의 지휘 아래 상오·행은·봉인·명진·성열·법상 스님 등이 동참한 가운데 지장시왕도를 제작했다고 덧붙였다. 진응스님은 일제의...
"당시 시대상 투영"…사찰 불화에 숨겨진 '뜻밖의 그림' 2023-02-21 15:02:15
위원은 "일제강점기라는 시기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민족의 염원인 독립의지를 나타내기라도 하듯 태극기를 불화에 그려넣었다"며 "당시 시대상을 투영하고 있는 근대문화유산"이라고 했다. 태극기를 오래 연구한 송명호 전 문화재청 근대문화재분과 전문위원은 "불화를 통틀어서 태극기 그림이 발견된 것은 최초"라고...
[인사] 문화체육관광부 ; 인사혁신처 ; 방위사업청 등 2023-02-20 18:39:04
문화재보존국장 이종훈 ◈통계청◎승진▷경제통계기획과장 김대유 ◈국민권익위원회◎신규 임용▷중앙행정심판위원회 상임위원 최정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기획조정본부장 김은지▷여성미래연구본부장 정가원▷젠더폭력연구본부장 박복순▷감사실장 이현화▷연구기획센터장 최윤정▷연구평가센터장 직무대행...
동국대 새 이사장에 돈관스님 2023-02-07 20:42:00
학교법인 동국대는 7일 동국대 서울캠퍼스에서 이사회를 열어 돈관스님(64·속명 강환종·사진)을 제42대 이사장으로 선출했다. 임기는 오는 3월 1일부터 12월 7일까지다. 돈관스님은 제14·17대 중앙종회의원, 은해사 주지, 대구불교방송 사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학교법인 동곡학원 이사장 등을 지냈다.
14년 만에 문화재 말소된 '은 공예품'…알고 보니 日 시계점서 제작 2023-02-07 18:03:54
따르면 당시 문화재위원과 전문가들은 유물의 형태, 보존상태, 제작 기법 등을 현장 실사했으나 '고바야시' 압인에 대한 어떤 언급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두고 학계 안팎에서는 문화재 등록 과정에서의 조사 및 전문가 판단이 아쉽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문화재 등록은 말소됐지만, 은제이화문화병은...
NH투자증권 등 인사 2023-02-01 18:08:03
문화재청◎전보·임용▷기획조정관실 디지털문화유산팀장 유재걸▷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학처 교무과장 안호▷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장 김석희 ◈국민권익위원회◎전보▷혁신행정데이터담당관 김영희▷청렴정책총괄과장 정재일▷복지보조금부정신고센터장 유현숙▷환경문화심판과장 안문주▷청렴연수원장 김상년...
[신년 에세이] 다시 날자, 겨울나무도 언 땅에 뿌리 박고 꽃 장만 한창이니! 2023-01-01 17:52:42
황희(黃喜, 1363~1452)의 유물(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3호)과 역시 명재상인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의 벼루(중요민속문화재 제225호)가 모두 위원화초석일월연으로 보존되고 있는 것과 같다. 어찌하여 벼루의 종주국으로 불리는 중국의 당(唐) 송(宋) 명(明)의 어느 왕실 벼루도 조각이나 예술성에서 따라오지 못하는...
[인사] 신한금융지주 등 2022-12-30 21:21:13
문화재연구소 서해문화재과장 박종서 ◈통계청◎인사▷통계기준과장 박현정 ◈특허청◎전보▷상표특별사법경찰과장 박주연▷상표심사정책과장 남영택▷식품생물자원심사과장 이경열▷가전제품심사과장 김갑병▷국제특허출원심사2팀장 조지훈▷사물인터넷심사과장 송대종▷바이오헬스케어심사과장 손창호▷지능...
한국인삼협회, `2022 인삼 문화 심포지엄` 개최… 인삼 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에 박차 2022-12-21 10:15:06
좌장으로는 경주대학교 교수이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이 좌장을 맡았다. 기조 발표에는 `인삼의 세계사`를 집필한 연세대학교 설혜심 교수의 `세계 속 인삼 문화와 역사`, 전북대학교 홍태한 교수의 `인삼 재배와 약용문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의 의의와 가치`, 충남연구원 유학열 연구원의 `금산전통인삼농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