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문화 2018-01-29 08:00:04
인기 180129-0087 문화-0008 07:30 "벼루야, 생사를 함께하자꾸나"…사대부가 기록한 기물 예찬 180129-0095 문화-0001 07:37 [박스오피스] '그것만이 내 세상' 1위…코코 250만 돌파 --------------------------------------------------------------------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주요 기사 1차 메모](29일ㆍ월) 2018-01-29 08:00:01
▲ "벼루야, 생사를 함께하자꾸나"…사대부가 기록한 기물 예찬(송고) ▲ 고건축 전문가가 정리한 '조선왕릉의 역사와 건축' 출간(예정) [동포ㆍ다문화] ▲ [한인사회당 100년] ① 독립운동사의 빈칸…잊혀진 역사(송고) ▲ [한인사회당 100년] ② 눈덮인 아무르강은 속절없이 흐르고(송고) [그래픽] ▲ 공공기관...
"벼루야, 생사를 함께하자꾸나"…사대부가 기록한 기물 예찬 2018-01-29 07:30:01
"벼루야, 나는 너랑 함께 돌아갈 것이니/ 죽는 것도 사는 것도 함께하자꾸나"라고 고백했다. 이 벼루는 물이 고이는 웅덩이가 비록 한 치(3㎝)에 불과했지만, 이규보는 "너의 작음은 수치로 여길 것이 아니다"라며 "나의 무궁한 생각을 쏟아내게 한다"고 예찬했다. 한국고전번역원이 펴낸 신간 '명(銘), 사물에 새긴...
'복과 장수' 소망 담긴 중국미술을 만나다…화정박물관 특별전 2018-01-20 11:00:02
문양 벼루 등이 공개된다. 사슴이 초원에서 뛰노는 모습이 그려진 접시는 '록'을 기원하는 유물이다. 사슴 록(鹿) 자와 녹봉을 의미하는 록(祿)은 중국어 발음이 같다. 다양한 화폐를 무늬로 활용한 화려한 부채, 중국어로 '관직'과 발음이 유사한 동물인 여치를 그려 넣은 접시도 나온다. 장수를 염원하는...
조선초 재상 맹사성 유품, 아산 '고불 맹사성'기념관에 보관된다 2018-01-19 17:26:28
벼루로, 포도 덩굴과 원숭이 등 여러 문양이 새겨졌다. 수정죽절비녀는 수정을 대나무처럼 다듬어 만든 비녀 몸통에 구리가 감겨졌다. 목칠도형배는 표주박으로, 해당화 뿌리를 깎아 옻칠해 만든 휴대용 물잔이다. 맹씨행단 유물전시관에 있던 이들 유물은 항온·항습 등 온전한 보존을 위해 2011년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이당 김은호가 모은 도장 84점, 국립중앙박물관 품으로 2018-01-13 11:00:03
소장품이 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해 이당이 사용한 붓, 벼루, 안료, 서랍장과 그가 모은 인장(印章·도장) 84점을 구매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당의 유품 가운데 눈길을 끄는 품목은 인장이다. 그가 남긴 인장 중에는 조선 후기 문인화가인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 운미(芸楣) 민영익(1860∼1914)의 인장도...
목간부터 터번 쓴 토우까지…경주 월성 발굴 성과를 만나다 2017-11-23 11:29:34
씨앗, 벼루 조각 등을 찾아냈다. 이번 전시에는 법흥왕 13년(526) 혹은 진평왕 8년(586)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는 '병오년'(丙午年) 목간과 터번 쓴 토우 등 유물 900여 점이 공개된다. 제1부 '천년의 왕궁'에서는 서성벽과 문이 있던 터인 문지(門址), 토기, 기와 등으로 월성의 시간적 흐름을 살피고,...
조폐공사 화폐박물관, 김윤식 전각전(篆刻展) 길을 찾다 열어 2017-11-22 14:35:19
벼루석(벼루를 만드는 돌판)에 글씨를 새긴 작품도 볼수있다. 조폐공사 관계자는 “김윤식 작가는 다양한 재료가 가진 특성을 잘 활용한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며 “전통 방식을 넘어 새로운 방식의 전각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옥천군 '버스요금 택시' 운행 마을 13→20곳 확대 2017-11-16 10:50:30
거흠·고당리 높은벼루·조천리 도내, 이원면 대동리, 군북면 막지리 맥기 7곳이다. 다람쥐 택시는 농어촌버스 노선이 닿지 않는 오지마을 주민의 교통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버스요금과 동일하게 어른 1천300원, 중·고생 1천 원, 초등학생 550원에 이용할 수 있다. 마을에서 택시회사(개인택시 포함)와 계약한...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11-01 15:00:08
도로에 기름 유출…11시간 만에 방제 나서 171101-0235 지방-0025 09:16 울산시, '벼루장·백양사 칠성각' 무형문화재·문화재자료 지정 171101-0236 지방-0026 09:17 심야에 순찰차 들이받고 2.8㎞ 도주극…잡고 보니 중학생 171101-0240 지방-0027 09:19 [충북소식] 충북지역과학기술혁신 심포지엄 개최 17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