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메스꺼움 없이도 살 뺄 수 있다…부작용 없애는 비만약 연구 활발 2024-07-11 16:52:27
계열 비만약의 부작용 중 하나다. 기존에는 이런 위장관 부작용이 정상적인 식사를 방해해 살이 빠지도록 유도한다고 여겨졌다. 그런데 이번 연구를 통해 식욕 감소와 메스꺼움이 서로 다른 신경 회로를 통해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연구진은 선행 연구를 통해 후뇌가 식욕 억제에 작용하는 주요...
비만치료제 확장 어디까지?…심혈관·뇌질환 등 가능성 무궁무진 2024-07-10 15:00:22
목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뇌 질환 영역에서도 비만 치료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슬기 디앤디파마텍[347850] 대표는 GLP-1 계열 약물이 미세아교세포를 타깃으로 해 신경 염증 반응을 차단하는 메커니즘이 밝혀진 점을 언급하며, 파킨슨병·알츠하이머 등에 대한 비만 치료제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이슬기 디앤디파마텍 대표, BIX2024서 'GLP-1 계열 비만약' 주제 발표 2024-07-04 15:23:39
및 비만 치료를 넘어 퇴행성 뇌질환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가능성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GLP-1 계열 약물은 당뇨 치료제로 처음 개발되었으며 비만 치료제, MASH 치료제, 심혈관계 질환 및 다양한 대사성 질환 영역으로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어 대규모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GLP-1 약물이 미세아교세포를 타겟하여...
강북삼성병원 "폐경전 유방암 위험, 정상 체중이 비만보다 높아" 2024-07-03 10:10:38
난소뿐 아니라 지방세포에서도 생성된다. 폐경 후 여성은 난소에서 에스트로겐 분비가 중단되지만 지방조직에서 에스트로겐이 분비돼 비만할수록 유방암 위험이 상승한다. 반면 폐경 전 비만인 여성은 월경주기 변화 등으로 난소에서 에스트로겐 생산이 줄어 유방암 위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장 교수는...
"비만·산후우울증 유발 유전자 결함 발견" 2024-07-03 06:28:15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이들의 어머니는 모두 비만과 출산 후 우울증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TRPC5 유전자가 두 소년과 그 어머니의 비만과 행동 문제, 산후 우울증 원인인지 알아보기 위해 이 유전자에 결함이 있는 생쥐 모델을 만들었다. 그 결과 이 유전자에 결함이 있는 수컷들은 체중 증가, 불안, 사회적...
[사이테크+] "비만·산후우울증 유발 유전자 결함 발견…새 치료법 기대" 2024-07-03 05:00:01
어머니는 모두 비만과 출산 후 우울증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TRPC5 유전자가 두 소년과 그 어머니의 비만과 행동 문제, 산후 우울증 원인인지 알아보기 위해 이 유전자에 결함이 있는 생쥐 모델을 만들었다. 그 결과 이 유전자에 결함이 있는 수컷들은 체중 증가, 불안, 사회적 상호작용 회피, 공격 행동 등...
삼성바이오로직스, 美 제약사로부터 역대 최대 1.5조 수주 2024-07-02 13:35:16
말한다. 항체치료제는 살아있는 동물 세포를 배양해 생산하기 때문에 상당히 까다로운 규제를 적용받는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세포주 및 공정개발 역량이 탁월한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생산을 위탁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 규모 면에서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업체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증가...
[사이테크+] "비만 주범 백색지방, 베이지색 지방으로 바꾸는 방법 찾았다" 2024-07-02 05:00:02
연구팀 "스위치는 KLF-15 단백질…새 비만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미국 연구진이 비만을 유발하는 백색 지방 세포(white fat cell)를 칼로리를 연소하는 베이지색 지방 세포(beige fat cell)로 바꾸는 방법을 찾았다. 이 결과는 관련 치료법의 임상시험 실패 원인을 설명해 주며 새로운...
[사이테크+] "노화·스트레스로 인한 간 손상 회복 가능…생쥐실험 성공" 2024-06-28 09:25:34
세포 사멸(ferroptosis.페로톱시스)을 촉진하는 유전적 특징이 다수 발견됐고, 이들 특징은 노화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면서 간세포 사멸, 즉 간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혔다. 또 비만과 대사 이상 지방간 질환(MALSD) 진단을 받은 사람들의 간 조직 분석에서도 증상과 질환이 심할수록 페로톱시스를 촉진하는 유전적...
SM 떠난 이수만, 100억 베팅…이 회사도 '먹는 비만약' 개발한다 2024-06-26 13:56:09
"2027년을 목표로 이중작용제 비만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먹는 약으로도 동시 개발할 계획입니다." 24일 서울 마곡 본사에서 만난 김종균 프로젠 대표는 핵심 비만·당뇨약으로 개발 중인 핵심 파이프라인 'PG-102'의 개발 목표를 설명했다. 프로젠은 이날 PG-102를 먹는 제형으로 개발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