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반대쪽으로 착륙했다면…무안공항 활주로 두 곳, 환경 달랐다 2025-01-01 18:19:59
인해 지난 10월께부터 2500m로 줄여 운영됐다. 무안공항은 하나의 활주로를 비행 방향에 따라 북쪽으로 운영하는 '01'과 남쪽으로 운영하는 '19'로 구분해 사용 중이다. 항공고시보(NOTAM)에 따르면, 활주로 확장공사에도 불구하고 01 활주로는 기존 이륙포기 항공기 정지구간(STOP WAY) 300m를 활용하면서...
국토부 "전국 공항 항행안전 시설 조사…규정 준수여부 재확인"(종합) 2025-01-01 13:02:46
마무리…비행자료기록장치 분석 방안 검토 (세종·서울=연합뉴스) 임성호 홍규빈 기자 =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의 피해 규모를 키운 것으로 지적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의 기반이 된 콘크리트 구조물(둔덕)과 관련해 항공 안전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가 전국의 공항 시설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국토부 "설계 때부터 콘크리트 둔덕…음성기록장치 자료 추출중"(종합2보) 2024-12-31 21:19:44
밖에도 국토부는 이른바 블랙박스라고 불리는 비행자료기록장치(FDR)와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의 분석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외형이 일부 손상된 채 수거된 FDR은 "추가적 기술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비행 기록 장치 케이블 분실 때문에 안의 데이터를 어떻게 추출할 수 있을지 기술적 검토가 진행되고...
로컬라이저, 안전구역 밖 맞나?…입장 번복해 논란 키운 국토부 2024-12-31 17:51:55
무안공항은 착륙대에서 로컬라이저와의 거리가 199m로 41m 부족한 자리에 설치돼 논란이 됐다. 재질도 문제다. 로컬라이저는 ‘항공장애물관리 세부 지침’상 장애물로 분류돼 장비 자체와 받침대 모두 ‘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설치돼야 한다. 지침에 따르면 무안공항처럼 정밀접근활주로가 있는 공항의 경우 통상적인 첫...
'콘크리트 둔덕' 문제되니 활주로 끝 안전 거리 논란…"규정 개정해야" 2024-12-31 12:15:18
구역이란 비행기가 활주로 앞쪽에 착륙하거나 종단(맨 끝)을 지나쳐 오버런하는 경우 장애물과의 충돌로 항공기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착륙대(활주로를 감싸고 있는 최소 60m의 포장도로) 종단 이후에 설정된 구역을 말한다. 이 종단 안전 구역은 공항마다 거리가 다른데 사고가 난 무안 공항은 199m라고 국토부는...
국토부 "무안 안전구역 기준 준수…한미 합동조사팀 19명 현장"(종합) 2024-12-31 11:55:29
길고 권고 기준보다는 짧은 거리에 설치됐다고 밝혔다. 항공 안전을 총괄하는 주무 부처인 국토부는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브리핑에서 "(종단안전구역은) 국제기준 등에서는 90m가 최소, 의무 기준이며 권고 기준은 240m"라고 설명했다. 국토부 고시인 공항·비행장시설...
해외 전문가들 "무안공항 설계는 최악" 2024-12-31 11:28:44
의견을 내놨다. 그는 BBC 인터뷰에서 항공기는 비행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가볍게 제작되기 때문에 강한 구조물이 아니라면서 "어떤 종류의 구조물이라도 (충돌 시) 동체는 산산조각 날 수 있고 이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활주로에서 일정 거리에 있는 장애물은 항공기와 충돌 시 부서져야 한다"면서 "그...
[제주항공 참사] 해외 전문가들 "특이 공항설계 많이 봤지만 최악"(종합) 2024-12-31 11:15:06
의견을 내놨다. 그는 BBC 인터뷰에서 항공기는 비행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가볍게 제작되기 때문에 강한 구조물이 아니라면서 "어떤 종류의 구조물이라도 (충돌 시) 동체는 산산조각 날 수 있고 이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활주로에서 일정 거리에 있는 장애물은 항공기와 충돌 시 부서져야 한다"면서 "그...
참사기 충돌 구조물이 피해 키웠나…국토부 "사고 관련성 조사"(종합3보) 2024-12-30 22:45:58
있다. 활주로 끝에서 로컬라이저가 있는 둔덕까지의 거리(251m)가 짧은 것이 피해 규모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인천과 김포 등 다른 국제공항은 이 거리가 대부분 300m 이상이다. 사고 당시 제주항공 여객기는 동체 착륙 후 활주로 1천600m 정도를 질주한 후 로컬라이저·둔덕과 외벽을 연이어 충돌했다. ...
참사 하루만에 제주항공 랜딩기어 또 고장…'LCC 불안감' 커져 2024-12-30 17:56:03
길었다. 국내 및 동남아시아 등 중·단거리 노선이 대부분인 LCC의 운항시간이 미국·유럽 등 장거리 노선이 주력인 FSC보다 길다는 건 그만큼 자주 비행기를 띄웠다는 걸 의미한다. 진에어의 올해 1~11월 항공기 대당 운송여객은 37만3000명으로, 같은 기간 대한항공의 대당 운송여객(13만6000명)의 세 배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