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최태원 "일석다조로 난제 돌파"…사회적가치 페스타 개최 2024-09-12 10:46:27
CSO의 사회로 이재열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조정훈 신한금융그룹 ESG본부장, 서종식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본부장 등 각계를 대표하는 전문가 그룹이 토론자로 참여해 사회적 가치를 바라보는 각계의 시선과 경험을 공유하고 이해관계자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올해 처음으로 막을...
일본 진출 스타트업 지원 나선 태평양…사단법인 올, 젠더법 아카데미 개최 [로앤비즈 브리핑] 2024-09-06 12:16:11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황필규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 장보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현미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등이 참여한다. 이영창 화우 변호사, 공정거래 전문가 'GCR 40 Under 40' 선정법무법인 화우의 이영창 변호사(변호사시험 4회)가 글로벌 경쟁법 전문저널...
대기업도 학벌보다 능력…"취업 더 어렵네요" 2024-09-05 17:39:45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15~29세 청년층 가운데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가 없지만 막연히 ‘쉬고 싶다’고 답한 인구가 전년 동월 대비 10.4% 증가한 44만3000명으로 2003년 조사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직무 경험을 쌓을 기회조차 갖지 못한 청년들의 무기력증이 커지고 있다”고...
한국 저출산, ‘욜로’ 때문?... "젊은층 설득 어려워" 2024-08-28 13:21:56
더 적게 저축한다고 분석했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들의 지출 습관은 정착하고 아이를 낳는 불가능한 목표에 집중하기보다 온라인에서 자신의 성공 상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지난 3년간 한국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도 청년층의 소비를 억제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中 최악 청년실업률에 고학력 백수 뜻하는 '란웨이와' 등장 2024-08-23 11:11:12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했다. 윈저우 미시간대학 사회학과 조교수는 "많은 중국 대학 졸업자들에게 더 나은 취업 전망과 사회적 상향 이동 가능성, 더 밝은 인생 전망 등 대학 학위가 약속했던 모든 것들이 점점 더 힘든 일이 돼가고 있다"고 말했다. anfou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책마을] 재택근무가 불러온 과로의 일상화 2024-08-16 18:30:34
경영대학원 교수와 필리스 모엔 미네소타대 사회학과 교수가 썼다. 미국 사회학협회의 ‘막스 베버 도서상’을 받은 책이다. 직장인은 일도 삶도 풍요로운 ‘워라밸’을 꿈꾼다. 그런데 책은 중요한 것은 워라밸이 아니라고 말한다. 워라밸을 따지기 전에 일의 양 자체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미국 대기업 직원 상당수는 ‘...
[부고] 김충휘 前 민정당 조직국장 별세 外 2024-08-16 17:53:49
발인 19일 오후 1시20분 02-3010-2000 ▶김태환씨 별세, 김백영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부친상, 조인혜 한국프롭테크포럼 사무처장 시부상=15일 부산대병원 발인 18일 오전 7시 051-240-7161 ▶설송웅 제16대 국회의원(前 용산구청장) 별세, 설민석 단꿈아이 대표 부친상=15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17일 낮 12시 02-2227-7...
새 국가인권위원장에 안창호 前 헌법재판관 2024-08-12 18:26:27
안 후보자는 대전고,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한 뒤 1981년 제23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이후 검찰에 들어와 대검찰청 공안기획관, 서울중앙지검 2차장검사, 광주·서울고검장 등을 지냈다. 검찰 내에서 기획통이자 학구파 검사로 꼽혔다. 성품이 온화해 조직 내 신망이 두터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공익법무관 제도는 그가...
'몸집불리기' 나선 삼성전자 전삼노…갈등 장기화 우려 2024-08-11 06:45:00
여전히 남기 때문이다. 중앙대 이병훈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삼성전자가 오랜 기간 무노조 경영을 이어온 만큼 노사 양측 모두 성숙한 방식을 보이지 못하며 협상이 순탄치 않게 전개된 부분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 명예교수는 그러면서 "사측이 노동조합을 인정하려는 태도가 우선 요구되며, 전삼노도 파업에 대한 학습...
조희연 서울교육감 "스스로 판단할 힘 기르게 양극단 생각 다 들려줘야" 2024-08-04 18:06:25
△1980년 서울대 사회학과 졸업 △1983년 연세대 사회학 석사 △1992년 연세대 사회학 박사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집행위원장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제20, 21대 서울교육감 △제9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 국가교육위원회 비상임위원 △제22대 서울교육감 ■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은 △1956년 경기 성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