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초여름 별미 병어, 서해로 돌아왔다…한 상자 최고 60만원 2018-05-20 08:00:13
병어는 남해를 거쳐 산란을 위해 서해로 돌아온다. 4월 말부터 신안 임자, 비금도 해역에서 보이기 시작해 7월 초까지 이어진다. 식도락가의 사랑을 독차지하는 가장 맛있는 병어는 5월 말에서 6월 중순까지 잡힌다. 이 시기 병어는 미네랄이 풍부한 신안 바다에서 몸집을 키우고 빠른 물살에서 운동량이 많아 살이 꽉...
"월동 없이 산란에서 생산까지"…참조기 '단년 생산' 관심 2018-05-20 07:01:02
양식장에서 5개월 키운 참조기를 위판해 한해에 산란부터 출하까지 마치기도 했다. 자연 상태에서는 5월 무렵인 산란 시기를 2월 말∼3월 초로 앞당긴 결과였다. 올해는 이 기술을 적용해 유휴 간척지를 활용한 축제(築堤)식 양식에 도전한다. 지난 3월 생산한 어린 참조기 10만 마리를 6∼7㎝까지 키워 영광 백수읍에...
이마트, 서포터즈 추천상품 '이마터즈 Pick' 매장서 소개 2018-05-20 06:00:00
장점을 소개하고 가격표시기 옆에는 ' 이마터즈픽(pick)'이라고 표시해 고객들의 쇼핑을 돕는다. ‘이마터즈픽’의 선정 기준은 창의성과 풍부한 정보다. 첫 이마터즈픽 상품으로 선정된 상품은 ‘피코크 더 노란 통통란(10입/15입, 3880원/5480원)’, ‘러빙홈 옥수수 스탠 도시락(2종,...
[팩트체크] 서울시 미세먼지 지난 7년간 더 나빠졌나? 2018-05-10 07:00:01
25㎍/㎥로 소폭 높아졌다. 전임 이명박·오세훈 시장 재직 시기의 미세먼지 농도와 비교해도 박 시장의 미세먼지 행정을 실패작으로 규정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서울시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이명박 시장 재임(2002년∼2006년) 때 58∼76㎍/㎥, 오세훈 시장 재임(2006∼2011년) 당시 47∼61㎍/㎥의 분포를 보였다. 이...
뱀장어 치어, 대만 근해서 체형변화 기다리며 '휴식'? 2018-04-16 11:34:04
양식하는데 치어 어획량은 해마다 잡히는 양과 시기가 크게 다르다. 수산청에 따르면 올해 1월까지의 3개월간 치어 어획량은 지난해의 13%에 그쳐 역대 최대 흉어로 기록됐다. 그러나 이후 어획량이 서서히 회복돼 2월에는 지난해와 거의 같은 수준이 된데 이어 지난달에는 잠정치로 지난해 수준을 웃돌았다. 치어가 일본까...
충주 호암 저수지 생태조사…수질 관리·외래어종 파악 2018-04-15 08:00:09
9개월이다. 시는 계절별로 저수지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류와 산란 시기, 특성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한다. 이를 통해 외래어종 개체 수를 파악, 토종 어종 보호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용역 결과를 분석, 외래어종 관리 방안과 토착 생물 보호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vodcast@yna.co.kr (끝)...
국립수산과학원 '대황어' 초기생활사 국내 첫 규명 2018-04-10 14:53:03
알 속의 영양성분인 난황을 흡수하는 데 10일이 걸렸으며, 이 시기부터 먹이를 먹고 성장했다. 부화 후 125일 만에 몸길이 3.9~7.1㎝까지 성장했고 236일 후에는 4.5㎝∼7.9㎝로 자라 어미와 비슷한 형태와 몸 색깔을 보이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대황어는 1952년 일본의 모리 다메조 박사에 의해 처음으로 두만강과 함경북...
성남시, '생태계 교란' 배스 인공산란장 만들어 퇴치 2018-04-10 09:08:40
배스 산란 시기인 6월 29일까지 지속한다. 효과적인 배스 알 제거를 위해 인공산란장을 그늘 망이 달린 바구니 꼴(65㎝X58㎝X38㎝)로 제작하고 돌을 담아 놨다. 배스가 그늘진 곳을 선호하고 수심 1m 정도의 물가나 수초지역의 모래와 돌이 섞인 바닥에 알을 낳는 습성을 고려했다. 인공산란장이 설치된 곳은 지난해 탄천...
경남에도 작은빨간집모기 확인…'일본뇌염' 주의 2018-04-04 16:23:52
연구원은 지난해보다 모기 출현 시기가 빨라지고 일본뇌염모기 개체도 빨리 확인되는 것은 그동안 집중적으로 모기 개체를 감시한 데다 봄철 기온상승과 잦은 봄비 영향으로 월동모기 활동이 빨라졌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시·군 방역담당기관에 일본뇌염 모기 발견 정보를 제공하고 모기 방역활동을...
[천자 칼럼] 진화의 반전 '역(逆)종분화' 2018-04-03 00:34:49
먹이, 짝짓기 시기가 다르다. 아가미갈퀴가 성글고 몸집이 큰 흰송어는 호수 가장자리에 알을 낳는다. 아가미갈퀴가 촘촘한 작은 흰송어는 깊은 물에 알을 낳는다.호수가 오염되면서 깊은 물속의 산소 농도가 낮아지자 알을 낳을 수 없게 된 작은 흰송어는 점차 사라졌다. 대신 큰 흰송어는 아가미갈퀴가 성글어지는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