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경에세이] "무엇이 중한디" 2020-11-02 17:36:23
《삼국유사》와 《명심보감》을 보면 효성(孝誠)이 뛰어난 인물들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여러 이야기 가운데 신라시대 인물인 손순에 관한 이야기도 나온다. 나이 지긋한 사람들은 손순을 모르는 사람이 드물 정도다. 사람들을 만나면 손순이 바로 경주(월성) 손씨라는 것을 이야기하면서 은근히 가문 자랑도 하며 대화를...
倭의 침공 맞서 해양력 강화한 신라…삼국통일의 토대 쌓았다 2020-10-19 09:00:09
흙배를 타고 이즈모에 내려왔다고 한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신라계의 일본 진출 시마네현 이즈모의 고진타니 유적에서는 358개의 청동칼이 나왔고, 청동창, 동탁(제사용 방울) 등의 금속제품들이 출토됐다. 신라에서 제철(製鐵) 집단이 진출했고, 이들이 철광산을 발견하면서 대량으로 무기와 농기구를 생산했으며, 거대한...
한민족 역사의 맥, 단군사상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0-04 08:00:01
《삼국유사》 첫머리에 ‘고조선(왕검조선)’ 조항을 3부분으로 구성해 기록했다. 1부와 3부는 역사 서술의 형태이고, 2부는 “석유환인(또는 석유환국) 호왈 단군왕검”인데, 24개의 신화소를 이용해 치밀하게 논리를 구성했다. 나는 이 신화에 담긴 논리와 사상을 분석해서 3가지로 정리했다(윤명철,《단군신화, 또 다른...
1500년전 신라왕족 호화로운 식생활 눈길…돌고래·복어 등 먹어 2020-09-07 14:35:36
형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같은 기록에도 나오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특히 남분에서 발견된 큰 항아리들에서는 조개, 물고기 이외에 바다 포유류인 돌고래, 파충류인 남생이, 성게류가 확인됐고, 신경 독을 제거하지 않으면 먹기 어려운 복어도 발견됐다. 김대환 연구사는 "큰 항아리 속 동물 유체들은 신라 무덤 제사의...
神市에 강림한 환웅…캔버스에 불러낸 고대의 시공간 2020-08-31 17:33:20
‘삼국유사’를 뼈대로 인물화, 역사화, 풍경화로 담았다. 굴곡진 한국 현대사의 부조리한 현실을 고발하던 전작들과는 확 달라진 시도다. 서울 사간동 갤러리 현대 신관에서 열리고 있는 최씨의 개인전 ‘원스 어폰 어 타임(Once Upon a Time)’은 그가 1990년대 말부터 구상하고 20여 년 동안 치밀하게 준비해온 동명의...
[책마을] 구구단·소금 유통…목간에 새겨진 백제인들의 삶 2020-08-27 17:21:18
밝혀낸 내용을 보완하는 자료뿐만 아니라 삼국유사나 삼국사기에도 기록되지 않은 자료가 포함돼 있어 백제인의 생활상을 짐작하게 한다. 부여 쌍북리 출토 목간에서 확인된 ‘외경부(外部)’라는 명칭은 기존 사서와 문헌 자료에서는 보이지 않는 행정기구 명칭이다. ‘경()’은 창고라는 뜻. 외경부는 창고의 한 종류인 ...
인도서 현지인이 만든 첫 '허왕후 뮤지컬', 올해말 무대 오른다 2020-08-21 19:58:59
= '삼국유사' 속 2천년 전 인물인 허왕후가 인도에서 현지인들에 의해 뮤지컬로 탄생한다. 21일 주인도한국문화원에 따르면 허왕후 이야기를 토대로 한 뮤지컬이 조만간 제작돼 연말께 선보일 예정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이 뮤지컬의 주요 출연진은 물론 연출, 극본 등을 모두 인도인이 맡는다는 점이다. 허왕후...
눈부신 바다와 바람 벗삼으며 영덕 블루로드 품에 안겨볼까 2020-08-18 15:41:25
세속오계를 하고 일연 스님이 삼국유사 집필을 시작한 곳이기도 하다. 스님들의 수행공간에 있는 은행나무는 1년 중 은행잎이 노란빛으로 절정일 때 사흘만 개방한다. 찬란하게 빛나는 노란 은행잎을 만나기 위해 수많은 사람이 먼 길을 마다않고 달려온다. 운문사에 도착하면 천연기념물인 ‘처진 소나무’가 인사를 한다....
'미인도' '기사계첩' '강산무진도'…새 국보·보물 다 납시었네 2020-07-20 17:22:15
삼국유사’(국보 제306-3호),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472년의 역사를 기록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된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호) 등 다양한 역사기록물이 출품된다. 조선 시대 인쇄 문화의 발전상을 보여주는 ‘송조표전총류 권6∼11’(보물 제1989호), 왕실 행사 기록화인 ‘기사계첩’(국보 제325호), 사대부의...
'삼국유사 범어사본' 보물서 국보로 승격된다 2020-06-29 17:27:37
이르다. 1394년 판각한 목판으로 찍어낸 범어사 소장본은 동일 판본인 '삼국유사 권3~5'(국보 제306호), '삼국유사 권1∼2'(국보 제306-3호)와 비교했을 때 시기가 가장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서체, 규격, 행간 등이 이후 간행된 1512년 판본(국보 제306-2호)과 비슷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