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다시 입증된 '정크 DNA'의 힘, 생체시계도 조절한다 2021-01-06 15:48:08
연구해 왔다. 지금까지 이런 연구의 초점은 이른바 '시계 유전자(clock genes)'에 맞춰졌다. 시계 유전자의 코드로 생성되는 단백질은, 생리작용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일정한 생체 주기에 맞춘다. 그런데 비번역 뉴클레오타이드인 마이크로 RNA(miRNA)가 유전체 전반에서 생체시계 제어에...
생체 시계의 숨겨진 기능, 인슐린 분비 세포도 재생한다 2020-11-12 15:36:03
세포 수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 생체 시계가 고장나 생체 리듬에 이상이 생긴 실험군 생쥐는 베타세포 재생 능력이 결여돼 당뇨병 유사 증상이 심해졌다. 반대로 생체 리듬이 정상인 대조군은 베타 세포를 활발히 재생해 몇 주 만에 증상이 진정됐다. 재생하는 베타 세포는 생쥐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밤에 더 확연히...
해경, 피살 공무원 '월북' 근거로 '도박 빚' 제시…"2억 넘는다" 2020-09-29 13:43:51
남겨진 슬리퍼는 실종자의 것으로 확인되며 국과수에 유전자 감식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선내 폐쇄회로(CC)TV는 고장으로 실종 전날인 지난 20일 오전 8시2분까지 동영상이 저장돼 있었고 저장된 동영상 731개를 분석한 결과 실종자와 관련된 중요한 단서는 발견하지 못했다"며 "현재 정밀감식을 위해 CCTV 하드디스크...
해경 "北 피격 공무원, 월북 맞다…이름·나이 소상히 파악" 2020-09-29 10:54:39
반시계방향으로 돌면서 남서쪽으로 떠내려갔을 것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A씨는 소연평도에서 북서쪽 방향으로 38㎞ 떨어진 북한 등산곶 인근 해상에서 피격됐다. 해경은 A씨가 실종 전 탔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에서 발견된 슬리퍼는 A씨의 소유로 확인됐다면서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추가로 유전자 감식을...
해경 "피격 사망 공무원 월북으로 판단…다수 정황" 2020-09-29 10:43:30
A씨의 소유로 확인됐다면서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추가로 유전자 감식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무궁화 10호 내 폐쇄회로(CC)TV에는 A씨가 실종되기 전날인 지난 20일 오전 9시 2분까지 동영상 731개가 저장돼 있었지만 A씨와 관련한 중요한 단서는 나오지 않았다. 해경은 실종 시점도 21일 오전 2시부터 오후 11시 ...
반려견 한 살=사람 서른 살? '곱하기 7'은 틀렸다 2020-07-03 15:49:21
비활성 상태에 들어간다. 하지만 유전자가 완전히 꺼지지는 않는다는 게 메틸레이션 분석을 통해 나온 결론이다. 연구팀은 성장 정지 이후에 내연(內燃)하는 발달 유전자에 초점을 맞춰, 여러 다른 동물 종의 나이와 생리적 노화 단계를 한꺼번에 측정하는 일종의 '후성유전 시계'를 개발했다. 이 후성유전 시계는...
KAIST, 바이러스 감염병 빠르게 찾아내는 만능 진단기술 개발 2020-05-28 10:48:30
뒤 부터 시계방향으로) 김유식 교수, 구자영 박사과정, 김수라 박사과정, 리섕 교수 KAIST(총장 신성철) 생명화학공학과 리섕·김유식 교수 공동연구팀이 바이러스 특징을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만능 진단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기술은 바이러스의 특이적으로 존재한다고 알려진...
"말라리아 원충, 스스로 시간 읽고 유전자 발현 조절한다" 2020-05-15 15:54:20
섞인 말라리아 원충에선 모두 5천244개의 유전자 발현이 관찰됐는데, 80% 이상이 양쪽 환경에서 동일하게 주기적인 발현 패턴을 보였다. 이들 유전자는 같은 시간에 같은 수준의 최고 발현도를 보였다. 이는 숙주의 생체시계를 자극하는 빛 신호가 원충의 유전자 발현 리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걸 의미한다. 숙주의...
"오늘 발견한 암, 씨앗은 수십 년 전에 생길 수 있다" 2020-02-06 15:35:26
유전자 2천658개 분석 성공 유전체 '분자시계'로 '종양 발달 시간표' 만들어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나중에 암을 일으키는 초기의 유전적 변이는, 실제로 암 진단이 내려지기 수십 년 전에 생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래전에 뿌려진 암의 씨앗이 장구한 세월이 지나는 동안 서서히...
`미인은 잠꾸러기`, 과학적으로 입증됐다…"아름다움 유지에 `숙면` 영향 커" 2020-01-17 18:53:13
생체시계 유전자를 제거한 생쥐 모델에서 두 종류의 원섬유가 무작위로 합쳐지는 것도 관찰됐다. 캐들러 교수는 "직관적으로 몸 안의 세포외 기질 조직은 닳기도 하고, 찢기기도 해 점점 약해질 것 같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다"라면서 "생체시계가 어떤 요소(가는 원섬유)를 일단 희생시켰다가 다시 복원함으로써 기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