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저성장 시대, '저가격·소포장' 소비 흐름 확산" 2024-12-16 09:57:59
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1월 113.17에서 11월 114.4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세는 둔화됐으나 고물가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한 만큼 일상생활에서 지출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크다는 것이 연구소의 분석이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소포장과 저가격 제품을 선호하며, 대형마트의 푸드코트, 균일가 매장...
"군만두 안 먹었는데요?"…짜장면 먹고 계산하던 손님 '깜짝' 2024-12-15 13:57:17
2.4% 상승해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덜했다. 외식 물가는 올해 내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 지역 기준으로 삼겹살은 지난 5월 2만원 시대를 열었고, 삼계탕도 지난 7월 1만7000원 문턱을 넘었다. 이러한 상승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수입...
"삼겹살 외식하려다 가격 보고 끝내 포기"…서민들 '비명' 2024-12-15 08:11:38
고물가 현상 속에 외식 물가도 올해 내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외식 메뉴 가운데 하나인 삼겹살(200g 환산)은 올해 5월 서울 기준 처음으로 2만원 시대를 열었고, 삼계탕도 지난 7월 1만7000원 문턱을 넘었다. 이러한 상승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내 주식만 빼고 올해 다 올랐다"…"이럴 수가" 2024-12-15 07:24:42
오르면서 수입 물가가 불안이 주요 이유로 꼽힌다. 수입 물가가 오르면 해외에서 들여오는 각종 식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시차를 두고 외식 물가를 밀어 올릴 수 있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한때 1,440원 선을 넘은 원·달러 환율은 1,430원을 오르내리고 있다. 이와 함께 외식 물가 외에 세탁, 숙박(여관), 이·미용, 목욕...
올해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김밥·자장면·비빔밥 2024-12-15 06:31:00
고물가 현상 속에 외식 물가도 올해 내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외식 메뉴 가운데 하나인 삼겹살(200g 환산)은 올해 5월 서울 기준 처음으로 2만원 시대를 열었고, 삼계탕도 지난 7월 1만7천원 문턱을 넘었다. 이러한 상승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尹탄핵소추] 비상계엄·소비침체·환율…내수경기 덮친 '3각파도' 2024-12-15 06:11:00
물가·고금리 속에 실질 가계 소득이 낮아진 탓이다. 지난달 통계청이 공개한 올해 3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100.6(2020년=100)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1.9% 감소했다. 2022년 2분기(-0.2%) 이래 10개 분기째 감소세다. 이는 1995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장 기록이다. 여행과 외식 등이 떠받치는 서비스 소비도 1.0% 증가에...
밀레이 개혁 힘 받나…아르헨 11월 물가상승률 4년래 최저 2024-12-12 07:52:05
담배(4.0%), 외식·숙박(3.6%), 교통(3.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밀레이 정부는 한 달에 2%로 고정해 놓은 크롤링 페그(기준 환율을 수시로 작은 폭의 범위 안에서 변경하는 제도) 구간을 1%로 하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라나시온은 보도했다. 아르헨티나 금융정책 당국은 지난해 12월 밀레이 대통령 취임...
aT, 제13회 '한국정책대상' 정책상 수상 2024-12-09 17:44:27
컨설팅 서비스로 외식업체 경영난 극복 지원 등 사업 전반에 걸친 디지털 혁신 등 농수산식품 분야 주요 현안 해소에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홍문표 aT 사장은 "aT가 보유한 농수산식품 산업 빅데이터와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장바구니 물가 부담 완화 등 국민 먹을거리 분야 현안 해소에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아...
"또 오르나"…밥상 덮친 정국 불안 2024-12-08 07:40:38
자리잡고 있다. 이 때문에 환율 인상은 국내 물가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식품 및 외식업계는 환율이 장기화되면 가격 인상을 검토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내수 경기 침체로 인해 가격 인상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경영 효율화와 원가 절감을 통해 대응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일부 업체는 최대한 많은...
'곡물자급률 20%' 한국, 고환율에 밥상 물가 더 뛰나 2024-12-08 06:30:03
올릴 수도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이미 물가가 많이 오른 데다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가격을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경영 효율화나 원가 절감으로 버텨볼 것이라는 업체들이 다수 있었다. 한 외식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불경기, 고물가 상황에서 외식 물가에 대한 정부와 언론이 관심이 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