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뇌발달 조절 단백질 역할 규명…뇌질환 치료법 개발에 기여" 2019-07-02 12:00:10
이에 따라 뉴런 위치는 물론이고 뇌 크기까지 조절됐다. 연구진은 아녹타민1이 없는 유전자 변형 쥐의 경우 신경줄기세포 섬모 길이가 일반 쥐보다 짧은 것도 확인했다. 뉴런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않았고 뇌 크기도 일반 쥐보다 작았다. 오우택 소장은 "신경줄기세포에서 아녹타민1 이온 채널의 역할을 재조명해 동물의...
획기적 비만 치료제 개발 `코 앞에`?…"뇌 신경세포, 에너지 소모 제어한다" 2019-06-28 19:18:33
뉴런을 활성화하자 발열량이 급감해 갈색지방의 온도가 낮아지고, 운동과 대사 활동이 위축되면서 전반적인 에너지 소모량이 뚝 떨어졌다. 반대로 뉴런을 억제하면 발열량이 증폭하면서 생쥐의 공복감이 줄어들었다. 프리드먼 랩의 스크네베르헤르 파네 박사후과정 연구원은 "뇌간에서 발견된 뉴런들을 억제하면, 음식물...
비만 치료 열쇠, 뇌간 뉴런에서 찾았다 2019-06-28 17:01:07
뉴런을 활성화하자 발열량이 급감해 갈색지방의 온도가 낮아지고, 운동과 대사 활동이 위축되면서 전반적인 에너지 소모량이 뚝 떨어졌다. 반대로 뉴런을 억제하면 발열량이 증폭하면서 생쥐의 공복감이 줄어들었다. 프리드먼 랩의 스크네베르헤르 파네 박사후과정 연구원은 "뇌간에서 발견된 뉴런들을 억제하면, 음식물...
"파킨슨병, 장에서 뇌로 이동"…美 존스홉킨스대 최초 입증 2019-06-27 19:17:42
신경세포(뉴런)의 사멸로 운동, 사고, 감정조절 등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하지만 이렇다 할 치료법은 개발된 게 없다. 파킨슨병이 장에서 유래한다는 가설이 제기된 건 10년이 훨씬 넘었다. 마침내 이 가설이 과학자들의 실험을 통해 사실로 입증됐다. 원인 물질로 알려진 변이 단백질이, 장에서부터 신경을 타고...
"파킨슨병 원인 단백질, 신경 타고 장에서 뇌로 이동" 2019-06-27 15:02:20
뇌 신경세포(뉴런)의 사멸로 운동, 사고, 감정조절 등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하지만 이렇다 할 치료법은 개발된 게 없다. 파킨슨병이 장에서 유래한다는 가설이 제기된 건 10년이 훨씬 넘었다. 마침내 이 가설이 과학자들의 실험을 통해 사실로 입증됐다. 원인 물질로 알려진 변이 단백질이, 장에서부터 신경을...
정체불명 렘수면? 알고 보니 에너지 활용 '최적화 전략' 2019-06-21 11:33:59
바뀌면 모든 게 달라진다. 급속한 안구 운동과 함께 호흡이 불규칙하게 빨라지고, 팔다리도 자주 움찔거린다. 수면 중인데도 깨어 있는 것처럼 뇌 활동이 활발해 종종 악몽을 꾸기도 한다. 하지만 전체 수면시간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는 렘수면은 뇌의 기억 강화 등 긍정적인 기능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렘수면의 또...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외신 2019-06-04 08:00:06
뉴런 독성 지방산 배출, 성상교세포가 돕는다" 190603-0854 외신-010416:34 헝가리 유람선 침몰 현장 잠수 시작…선체 진입 가능성 점검 190603-0859 외신-010516:36 대만 총통, 톈안먼 30주년 앞두고 "中, 민주·자유의 길 가길" 190603-0862 외신-010616:39 국빈방문 맞춰 런던 하늘에 '트럼프 베이비' 다시 뜬다...
국내서도 '우주생물' 기초연구…우주정거장 갔던 선충이 대상 2019-04-12 03:00:01
것이다. 연구진은 샘플을 대상으로 운동 신경세포(뉴런)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운동뉴런은 외부 자극이나 뇌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아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세포다. 이 세포는 초록형광단백질로 표시해 모양을 관찰할 수 있는데, 우주에서 자란 선충이 지구에서 자란 선충과 운동신경세포 발달에 차이가...
베일에 싸인 '신비의 뇌'…올해 쏟아진 새롭고 흥미로운 뉴스들 2018-12-26 11:27:52
뇌 부위인 운동 피질(motor cortex)이 소리를 처리하는 청각 피질(auditory cortex)에 대해 청각 처리 신호를 발신하지 말라는 신호를 보내 청각 피질을 잠잠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사람의 뇌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과학자들은 믿고 있다. ▲ 장(腸)에 '제2의 뇌' 있다. 대장에는 뇌의 지시 없이 움직이는 수많은...
'불수능' 여파 수시논술에 수험생 몰려…"난이도 작년과 비슷" 2018-11-18 13:15:10
등과 관련된 문제, 생명과학에서는 뉴런, 염색체의 유전자형과 표현형, 단일·다인자 유전방식, 개체군과 환경저항의 개념, 군집 등과 관련된 문제, 물리논술에서는 중력과 빛의 굴절, 포물선 운동 등에 대한 문제가 나왔다. 다음 주에는 한양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중앙대, 숙명여대, 광운대, 세종대, 덕성여대, 부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