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매달 통장에 '따박따박'…"건물주 된 기분" 요즘 뜨는 재테크 [일확연금 노후부자] 2024-05-09 07:30:02
될 ‘연금 재테크’의 모든 것을 다루는 ‘디지털 온리’ 콘텐츠 [일확연금 노후부자] 시리즈를 매주 화·목요일에 연재합니다. 서울 대기업에 다니는 서 모씨(43)의 꿈은 ‘월세의 왕’이었습니다.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등 부동산을 보유해 은퇴 후 따박따박 월세를 받는 것이 그의 노후 플랜. 하지만 4년 전 투자했던...
상반기 중 실거주 요건 완화…추가되는 주택연금 혜택은? [신용훈의 일확연금] 2024-04-07 06:00:00
연금 지급이 정지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같은 요건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한 사유가 있으면 다른 주택에 살더라도 연금을 받을 수가 있는데, 질병 치료나 요양이 필요해 병원이나 요양소에 입원하거나 자녀 주택 등 다른 주택에 체류하는 경우, 또는 관공서의 명령에 따라 격리나 수용, 수감됐을 경우, 특별한...
두 개로 압축된 국민연금 개혁안…정년 연장 논의 불씨 [신용훈의 일확연금] 2024-03-16 06:00:00
65세 미만까지로 높이는 방안도 채택했다.국민연금 가입연령을 수급 개시 연령과 맞춰 기금의 안정성을 꾀하겠다는 취지이다. 의무가입 기간 연장, 정년 연장과 함께 논의돼야 하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이 60세 정년을 채우고 직장을 그만두는 상황에서 과연 보험료를 더 납부할 여력이 있을지 의문이다. 보험료 납부를...
직장 문 닫아도 퇴직금·퇴직연금은 살아있다 [신용훈의 일확연금] 2024-03-10 06:00:00
때문이다. 오늘은 직장 폐쇄 시 퇴직금과 퇴직연금을 받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 퇴직금 도입 회사, 대지급금 제도 활용 금융기관에 적립금을 쌓는 퇴직연금제도가 아닌 회사가 퇴직금을 직접 주는 기존 퇴직금 제도를 운용하는 회사는 문들 닫으면 퇴직금을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에는 퇴직 후 14...
국민연금 세대분리, 기금고갈·세대갈등 해법 부상 [신용훈의 일확연금] 2024-02-24 09:00:00
내야 하는 보험료가 늘어나고, 기금 운용 수익률에 따라 받는 연금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 연령별 기금을 별도로 운용하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는 점 등 좀 더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큰 숙제인 '국민연금의 영속성'과 '뒷 세대 부담 전가' 문제...
25세&19세…국민연금, 같은 자녀 다른 기준 [신용훈의 일확연금] 2023-12-17 06:00:01
것이다. 정부와 국민연금공단은 19세 이상 성년이 된 뒤에도 소득이 일정치 않은 젊은층의 수급권을 확대하고 자녀와 손자녀간 형평성을 기하기 위해 이번에 손자녀의 유족연금 지급 기준을 자녀와 같은 25세 미만까지로 늘렸다는 입장이다. 같은 차원에서 유족연금과 부양가족 연금간 수급권 차별에 대한 고민도 이뤄지길...
공적연금 연계…군인·별정우체국 연금은 서자취급 [신용훈의 일확연금] 2023-12-10 06:00:00
하면 각 연금의 지급기준에 맞춰 연금이 지급된다. 기간만 합산해 연금을 받는 자격을 주는 것이지 연금 지급기준까지 합산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연계신청은 연금관리기관 어디에서나 할 수 있다. 내가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에 가입한 이력이 있다면 공무원연금공단이나 국민연금공단 어디서든 연계신청을 할 수...
성과에 따라 달라지는 퇴직연금 수수료...금융사 선택은? [신용훈의 일확연금] 2023-11-26 06:00:00
퇴직연금을 잘 운용하는 금융사들에게는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잘 운용하지 못해 수익률이 낮은 금융사들에게는 수수료도 조금만 받도록 한다는 것이 골자다. 현재 금융사들이 받고 있는 퇴직연금 수수료는 적립금의 규모에 따라 다르다. 적립금 규모가 크면 덜 받고 적립금 규모가 작으면 많이 받는...
더 커진 연말정산 혜택…연금저축·개인형 IRP [신용훈의 일확연금] 2023-11-19 06:00:00
있는 것이다. 올해도 역시 공제 한도 이상으로 납입한 금액이 있으면 내년으로 이월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공제액 이월은 최대 5년까지 가능한데 만약 2022년 공제를 못받은 금액이 있다면 올해를 포함해 2027년까지 이월공제가 가능하다. 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의 늘어난 세금 혜택을 올해 연말정산에서...
퇴직금, 상황별 절세효과 높이는 법 [신용훈의 일확연금] 2023-11-12 06:00:00
퇴직연금 수익률 관리 센터장 ('월급 200만 원인데 1억 어떻게 모으지?' 저자)과 함께 살펴보자. 1. 퇴직 후 모든 금액을 일시에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퇴직금 3억 원에 대한 퇴직 소득세(7%)는 21,000,000원으로 일시금으로 인출하는 경우는 세금을 제외하고 279,000,000원을 수령하게 된다. 만약 연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