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소득 높을수록 낮은 출산율…아이는 열등재인가 2024-01-22 19:30:39
된다’고 말하는 사람을 종종 볼 수 있다. 자녀에게 풍족한 환경을 제공해 주지 못하는 사람은 부모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과연 돈이 없어서, 집값이 비싸서 아이를 안 낳는 것일까. 돈이 아니라 돈이 전부라고 생각하는 비뚤어진 가치관이 초저출산의 진짜 원인이 아닐까. 유승호 경제교육연구소 기자...
양극화 심하다는데…美 소득불평등은 줄어들었다? 2024-01-15 18:48:50
1990년대 초반부터 저출산·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희소한 자원은 가격이 오르기 마련이다. 특히 육체 노동자의 가치가 높아졌다. 고령화로 힘을 쓸 수 있는 젊은 인구가 줄었기 때문이다. 임금 수준이 낮은 육체 노동자를 중심으로 임금이 상승하면서 소득 격차가 감소했다는 것이다. 둘째, 주요국...
[총선, 경제통이 뛴다①] 안도걸 전 차관 "유능한 '정책 가공업자' 되겠다" 2024-01-09 17:06:48
전 차관은 "대한민국 지속성장과 저출산 문제 해결 같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키(key)를 국가균형발전에서 찾아야 한다"고 했다. 구체적인 아이디어도 제시했다. 그는 "해외나 수도권 지역에서 역량을 쌓은 고급 인력이 지방 기업이나 대학 연구소로 가면 무상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소득세도 10년은 완전 면제하는...
'청룡의 해' 희망찬 비상을 응원합니다 2024-01-01 18:18:06
저출산위원회 상임위원△1973년생 △서울대 경제학부 △시카고대 경제학 박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국민경제자문회의 민생경제분과장 △사회보장위원회 위원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위원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시카고대 인구경제학센터 선임연구원 이창원 한성대 총장△1960년생 △한국외국어대...
조선은 선종별 희비 교차…석유화학·철강 '흐림' 2024-01-01 16:10:16
정책으로 인해 정제 설비 증설에 제한이 생겼다”며 “경쟁국의 수출 여력이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한국의 경쟁력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 조선 - 발주량 감소에도 친환경 선박 '러브콜' 예상 올해 글로벌 조선 발주량은 전년보다 24%가량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선종별로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024전망] 발 묶인 '재정 버팀목'…경기반등·가계부채 난제 2023-12-26 07:11:09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가계대출의 신규 연체는 취약 차주와 비은행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가계와 기업 대출 규모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고금리 환경과 맞물려 향후 금융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리스크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커버스토리] '다인종국 한국'…인구위기에 도움 줄까 2023-12-11 10:01:01
정책 표어로 내걸고 가족정책을 핵심축으로 삼습니다. 두 나라 모두 국민 의식을 바꾸려는 노력을 앞세운 것이죠. 우리나라의 법정 육아휴직 기간은 남녀 모두 52주로 보장되지만, 남성의 실제 사용률은 여성의 절반도 안 되는 현실입니다. 제도만 잘 갖췄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NIE 포인트1. 저출산 문제가...
필리핀 이모님, 일본에서 '부유층 전유물'된 이유 [전민정의 출근 중] 2023-12-02 08:00:00
자체가 저출산 해소를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관련 연구를 진행한 조혁진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 외국인 가사노동자 도입의 주요 정책 목표로 여겨지는 '저출생 극복'과 '여성 경제활동참여율 증가'는 통계상 유의미한 관계를 찾기 어렵다"고 분석했습니다. 노동력...
엄마-아빠 허리 휜다…육아 물가도 '고공행진' 2023-11-13 06:20:15
고스란히 양육비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유치원·보육시설 비용을 제외하면 대부분 육아 상품·서비스 물가는 별도 모니터링도 이뤄지지 않고 있어 저출산 대책 차원에서 정부 차원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책연구기관인 육아정책연구소는 11개 육아용품의 가중치를 육아가구 중심으로...
'유아용' 꼬리표에 뛰는 가격…육아물가 연구는 예산 탓 중단 2023-11-13 06:15:06
아닌 실험적 통계에 그쳤다. 육아 물가는 저출산 정책 관련 부처인 보건복지부의 주요 업무도 아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난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저소득층을 상대로 기저귀·조제분유 등 지원 단가를 올린 적은 있지만 전반적인 육아용품에 대한 물가 관리는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의 물가 관리 노력이 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