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석경에이티, 新리튬이온 전도체 개발 성공에 '上' 2023-03-09 10:02:03
및 작업 공간 없이도 리튬 이온 전도도가 높은 전해질 합성을 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임형섭 석경에이티 대표는 "새롭게 개발한 '보라사이트 계열 전해질'의 우수한 리튬 이온 전도 특성을 더 잘 끌어내기 위한 첨가제 등의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라며 "20여년에 걸쳐 기반 기술로...
KIST, 전기 통하는 `슈퍼섬유` 개발…軍·우주 분야 활용 2023-02-23 14:05:09
소재에 쓰이는 아라미드 섬유에 전기 전도도를 추가한 복합섬유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전북 복합소재기술연구소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김대윤 박사 연구팀이 아라미드 섬유에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해 가볍고 강하면서 기존에 없던 전기 전도도까지 갖는 복합섬유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아라미드...
전기 통하는 실 나왔다…KIST "차세대 아라미드 섬유 개발" 2023-02-23 12:00:15
전도도를 추가한 복합섬유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전북 복합소재기술연구소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김대윤 박사 연구팀이 아라미드 섬유에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해 가볍고 강하면서 기존에 없던 전기 전도도까지 갖는 복합섬유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아라미드 섬유는 무게는 강철의 5분의 1이지만...
국내 연구진, '스핀구름' 응축 통해 새 양자물질 최초 발견 2023-02-07 01:00:01
전도도 측정을 통해 밝혀냈다.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극저온에서 보손 입자가 서로 응축되면서 양자역학적 특성을 가진 단일체처럼 보이는 상태다. 고체, 액체, 기체, 플라스마와 다른 제5 상태로도 불린다. 보손 입자는 자성을 만드는 물체의 고유 물리량인 스핀이 0 또는 정수인 입자를 뜻하는데, 스핀 구름은 자성이...
KIST "싸고 강한 탄소나노튜브 복합 탄소섬유 개발" 2022-12-14 12:00:00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신소재다.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탄소나노튜브로만 섬유가 이루어진 '순수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 물질이 첨가된 '탄소나노튜브 복합 탄소섬유'로 나뉜다. KIST 전북 복합소재기술연구소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구본철 박사 연구팀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채한기 교수 연구팀은...
[인하대학교 2022 초기창업패키지] 전기차용 이차전지 소재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레몬에너지’ 2022-12-14 09:04:41
수명 감소의 문제점을 해결한다”며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고 가스의 투과도가 극히 낮아 양극재의 산소 발생을 억제해 전기차 화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어떻게 창업하게 됐을까. “전기차의 주행거리 확대는 20년간 기술적으로 어려운 과제였습니다. 30년간의 산업계의 경...
국내 연구진, '초소형 로봇용 저전력 연성구동기' 개발 성공 2022-10-27 03:00:00
전극을 제작했다. 그랬더니 전기가 통하는 정도인 전기 전도도가 높아졌고 신축성도 좋았다. 연구팀은 나아가 이 전극을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진 구동기인 '연성 구동기'로 사용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연성 구동기는 1천V(볼트) 이상의 전압이 필요하지만, 이 연성 구동기는 3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도 작동했...
"차세대 기술로 배터리 주권 지킨다"…무섭게 크는 美 스타트업 2022-10-20 17:53:36
이온 전도도가 낮아 충전 속도가 느리고 충전 수명도 짧다. 이 고체 전해질이 다른 재료들과 맞물려 이온 활성도를 높여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치차오 후 SES 최고경영자(CEO)는 “지금 충전 수명에 관해 언급할 순 없다”며 “매우 어려운 기술”이라고 했다. 존 제이컵 솔리드파워 최고기술책임자(CTO)도 “용량이 큰...
이엔플러스, 탄소나노튜브 관련 특허 취득 소식에 ↑ 2022-09-21 13:45:51
사용할 경우 기존 카본블랙 소재보다 전기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사용량을 30%가량 줄일 수 있다”며 “줄인 도전재 무게만큼 양극재를 더 넣을 수 있어 배터리 용량과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물론 동일한 성능을 내는데 필요한 생산 단가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LG화학, 탄소나노튜브 공장 또 증설 2022-08-30 17:25:51
높은 전도도를 구현해 도전재 사용량을 약 30% 줄일 수 있다. 이만큼을 양극재로 더 채울 수 있어 배터리 용량과 수명도 크게 늘릴 수 있다. CNT 4공장이 완공되면 LG화학의 CNT 생산능력은 연간 6100t까지 늘어 국내 압도적 1위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기존 1·2공장 생산능력은 1700t, 증설 중인 3공장 생산능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