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ESS 추가화재 원인 '배터리 이상' 지목…"배터리가 발화지점"(종합) 2020-02-06 16:32:36
전압과 방전 시 하한전압의 범위를 넘는 충·방전 현상을 발견했다. 이때 배터리 보호 기능도 동작하지 않았다. 유사한 ESS 사업장에서 수거한 배터리에서는 양극판 내부손상이 확인됐고 분리막에서 구리 성분이 검출됐다. 경북 군위는 폐쇄회로(CC)TV와 운영기록에서 배터리가 발화지점임을 확인했고 현장 조사에서 수거한...
ESS 추가화재 원인 '배터리 이상' 지목…반년전 조사결과와 달라 2020-02-06 15:00:02
전압과 방전 시 하한전압의 범위를 넘는 충·방전 현상을 발견했다. 이때 배터리 보호 기능도 동작하지 않았다. 유사한 ESS 사업장에서 배터리를 수거해 해체·분석한 결과에서는 양극판 내부손상이 확인됐고 분리막에서 구리 성분이 검출됐다. 경북 군위는 폐쇄회로(CC)TV와 운영기록에서 배터리가 발화지점임을 확인했고...
10월 디데이 우승은 ‘알바체크’ 2019-11-01 16:33:18
체계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상금 500만원의 은행권청년창업재단 상임이사상을 차지한 라이칸스로프는 각 회사의 제품마다 배터리와 충전기를 연결하는 모양이 다르다는 불편함에 주목하고 하나의 어댑터로 전압이 다른 모든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프리전압 충전기를 개발했다. 상금 300만원의 중견련...
[현장르포]삼성SDI 미션! 불붙지 않는 배터리를 증명하라 2019-10-24 11:00:00
안전성 조치와 강화된 화재 방지 등 ‘투 트랙 체계’ 구축 □ ESS 생태계 복원 위한 실질적인 대책 가능성 삼성SDI는 23일, 울산사업장에 위치한 안전성 평가동에서 화재 확산 차단용 특수 소화시스템을 적용한 ESS 모듈 화재 테스트를 시연했다. 특별히 출입기자단 50여 명을 꾸려 이들이 직접 보는 앞에서 에너지...
"한전, 설비관리 소홀로 5년간 58억원 손해배상" 2019-10-08 10:13:24
전선 등에 이상전압 유입이 749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설비고장으로 고객 설비나 자산에 악영향을 끼친 사례가 385건, 작업자의 과실 51건, 설비접촉 48건 등의 순이었다. 배상액 규모가 가장 많은 사례는 이상전압 유입에 따른 28억6천600만원으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했다. 사고 1건당 배상규모가 가장 큰...
현대차그룹, OCI와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신사업 추진 2019-09-09 14:01:55
확장하기 위해 포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OCI는 현대차그룹이 자체 개발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ESS를 한국 공주시와 미국 텍사스주 태양광발전소에 설치한다. 양사는 함께 실증 분석과 사업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ESS는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만들어진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압력 감별하는 '전자피부' 소재 개발…촉각세포 원리 모사 2019-09-05 18:00:00
1mV의 전압으로도 외부 자극을 감지해 냈다. 김도환 교수는 "촉각세포의 이온 전달 체계를 매우 근접하게 모사해 촉각 기능을 극대화했다"며 "새 전자피부 기술은 차세대 소프트 디바이스의 핵심 소재 기술로 터치스크린, 피부부착형 건강 진단 패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sun@yna.co.kr (끝)...
[사설] "전기료에도 원가 반영과 이용자 부담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2019-06-23 17:52:23
뻔하다. 땜질식 처방이 반복되면서 전기요금체계가 누더기가 돼 버렸고, 가격 기능도 고장 난 지 오래다. 근본적 개편이 불가피한 이유다. 방안들은 이미 다 나와 있다. 연료비 연동제 도입, 용도별 요금제를 전압별 요금제로 전환, 선택형 요금제 확대는 물론이고, 전력 판매시장 자유화 등 중단된 전력산업 구조개편을...
"ESS 화재는 설치·관리 부실 탓"…정부 '태양광 과속'이 화 불렀다 2019-06-11 18:02:46
화재 원인은 배터리 보호시스템 부재다. 전류와 전압이 한꺼번에 흐르는 전기 충격이 가해졌을 때 보호체계(랙 퓨즈)가 단락 전류를 차단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절연 성능이 저하된 직류 접촉기가 폭발하면 순식간에 불이 붙을 수 있다는 게 조사위 설명이다.조사위 관계자는 “국내산 배터리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80...
정부·조사위 "ESS 화재, 배터리제조·설계시공사도 복합책임" 2019-06-11 15:32:31
아닌가 ▲(김정훈 위원장) 외부 전압으로부터 보호체계가 제대로 안돼 있어 화재가 발생했다는 측면에서 배터리 제조사, SI 등 복합적으로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책임 공방은 그쪽에서 알아서 할 문제이다. 특정업체 책임을 묻는다면 결국 법정에서 가려져야 한다. (박정욱 국장) 배터리시스템 보호문제는 퓨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