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포천시, 경기북부 디지털무역종합지원센터 '포천 덱스터와 해외 시장 진출' 지원 2025-02-10 14:41:38
누리집을 통한 예약 신청 후 유선 또는 전자우편으로 택배 발송 정보를 포천 덱스터에 전달하면 된다. 서비스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포천 덱스터로 문의하면 된다. 백영현 시장은 “1인 기업체와 소공인 기업체까지 어려움 없이 무역에 나설 수 있는 디지털무역시대가 열린 것”이라며, “포천의 기업들이 제약 없이 해외...
트럼프-이시바 회담 이후…‘복합 환율전쟁’ 일어나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5-02-10 07:39:25
<그림 2> 중국 수출입 동향과 무역수지 추이 자료 : 해관총서, 한국은행 미국 재무부는 매년 4월과 10월에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환율 보고서를 발표한다. ‘2015 교역 촉진법’에 따라 새롭게 적용된 BHC(베넷-해치-카퍼) 요건으로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되려면 △대(對)미 무역흑자 200억 달러 이상...
미국發 비관세 전쟁도 본격화…韓 전기전자·화학 타격 불가피 2025-02-09 15:53:03
전기전자와 화학 분야에 대한 기술규제가 급증했는데 한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대표 업종인 만큼 국내 타격이 예상돼서다. 무역기술장벽이 높아지면 기업들은 그 기준을 맞추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1월 세계무역기구(WTO)에 78건의...
트럼프 관세전쟁 여파는…"美 보편관세 부과로 韓 총수출 132억불 감소" 2025-02-09 14:54:20
무역협정(FTA) 체결 여부, 추가 관세를 적용받는 중국·캐나다·멕시코와의 산업 경합 구조 등에 따라 각국의 대미 수출 영향이 달라진다고 내다봤다. 한국의 수출 분야 중 미국에서 중국·캐나다·멕시코 제품과 경합도가 높은 수송기기(11억7000만달러)와 전기·전자 제품(5억5000만달러) 등은 가격 경쟁력이 상승해 대미...
올해 더 높아진 무역기술장벽…미국 규제 2배 늘며 '사상 최대' 2025-02-09 11:24:45
많이 늘어난 산업군이었다. 화학 세라믹(15.9%)과 전기전자(9%) 분야에서도 많은 기술규제가 통보됐다. 전기전자의 경우 미국을 중심으로 가전기기에 대한 에너지 효율 규제가 는 영향이 컸다. 15대 중점국은 아니지만 전체 국가별로 보면 미국(78건)에 이어 르완다(68건·2위) 케나(51건·3위) 등 동아프리카 공동체(E...
무협 "미, 보편관세 부과 시 한국 총수출 132억달러 감소" 2025-02-09 11:23:46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여부, 추가 관세를 적용받는 중국·캐나다·멕시코와의 산업 경합 구조 등에 따라 각국의 대미 수출 영향이 달라진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의 수출 분야 중 미국에서 중국·캐나다·멕시코 제품과 경합도가 높은 수송기기(11억7천만달러)와 전기·전자 제품(5억5천만달러) 등의 가격 경쟁력이...
1월 무역기술장벽 598건 '역대 최고'…15대 중점국 중 미국 최다 2025-02-09 11:00:00
전기 전자 분야(9.0%) 등 순으로 기술규제가 통보됐다. 산업부는 "현재까지 추세를 분석했을 때 올해는 무역기술장벽 증가세가 더욱 가파를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는 산·학·연·관의 협력을 강화하고, 기업과 긴밀한 협력을 구축해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wi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인도, FTA 오용했다며 기아에 200억 과세…기아측 이의제기 2025-02-08 13:00:54
세금을 더 내라고 요구한 가운데 이보다 앞서 기아가 자유무역협정(FTA)을 잘못 이용했다며 200억원이 넘는 세금을 청구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기아 측은 이의를 제기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인도 당국은 2023년 7월 101페이지 분량의 세금 고지서를 발송했다. 이 고지서에 따르...
홍콩도 WTO에 美 제소 방침…"中과 별도 세관 지위 무시" 2025-02-07 20:29:19
같은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저렴한 중국산 제품이 면세로 미국에 쏟아져 들어온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중간 무역분쟁이 첨예해지고 있지만 협상을 위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통화 소식은 아직 전해지지 않고 있다. su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한국, 美 플랫폼기업 규제 움직임에…USTR 후보자 "용납 못해" 2025-02-07 17:47:48
공정거래위원회가 추진 중인 플랫폼법은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으로서 미국 기업을 차별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는 것”이라며 “이 법안은 한국과 미국 간 주요 분쟁을 부활시키고 무역 긴장을 다시 고조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미국 재계를 대변하는 미국상공회의소는 이 법안이 애플, 구글, 아마존, 메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