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간배아 유전자편집으로 유전병 치료 성공(?)…학계 의문 제기 2017-09-05 07:00:05
또 유전자가위에서 절단 역할을 하는 Cas9 효소가 바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단백질 형태로 직접 넣어줬다.이런 새 기법 덕에 유전자가위가 정확하게 작동하고, 난치병 유전자가 후손에게 이전되지 않을 확률을 획기적으로 높였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었다. 그러나 학계에서 이 설명에 의문 제기가 잇따랐다. 특히...
정수리 탈모엔 프로페시아가 효과적 2017-09-01 19:20:56
전예진 기자의 토요약국미국 fda서 치료제로 정식 허가 탈모 원인 제2형 5알파환원효소, 프로페시아가 선택적 차단 앞머리 등 모든 부위서 '효험' [ 전예진 기자 ] 인터넷에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프로스카’를 검색하면 ‘프로스카 절단기’ ‘프로스카 4등분 하는 법’이라는 ...
GMO 대체기술로 주목받는 '유전자가위' 2017-08-30 17:28:54
물질인 rna에 유전자 절단 효소를 붙여 만든다. rna가 원하는 유전자를 찾아가게 하기 때문에 이전 세대 기술보다 정확도가 높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1세대 징크 핑거와 2세대 탈렌은 rna보다 큰 단백질이 표적 유전자를 인식했다.특허 경쟁도 치열하다. 2012년 5월 uc버클리의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가 미국에서 처음...
아스피린과 이 약 함께 먹으면 `심혈관질환 예방` 2017-08-28 10:26:21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사지에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해 생기는 `팔다리 동맥경화`로 팔보다는 주로 다리에 발생한다. 방치하면 최악의 경우 다리를 절단해야 할 수도 있다. 이 결과를 종합하면 아스피린-리바록사반 병행 투여가 콜레스테롤 저하제 스타틴, 혈압강하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억제제, 베타...
"아스피린 + 자렐토 = 심혈관질환 예방효과 상승" 2017-08-28 09:28:26
다리에 발생한다. 방치하면 최악의 경우 다리를 절단해야 할 수도 있다. 이 결과를 종합하면 아스피린-리바록사반 병행 투여가 콜레스테롤 저하제 스타틴, 혈압강하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억제제, 베타 차단제 등 다른 약보다 훨씬 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PHRI 소장 살림 유수프 박사는 말했다. 그는 이 방법이...
[K바이오 리더 탐구②] 김종문 툴젠 대표 "몬산토의 선택…유전자가위 기술력 인정한 결과" 2017-08-27 18:18:35
rna에 유전자 절단 효소를 붙여서 만든다. 크리스퍼가 원하는 유전자를 찾아가게 하기 때문에, 이전 세대 기술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고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징크 핑거와 탈렌은 단백질이 표적 유전자를 인식한다. 이같은 장점 때문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둘러싼 특허 경쟁이 치열하다. 2012년 5월...
툴젠 '유전자가위' 기술 세계 1위 종자기업에 수출 2017-08-17 17:40:16
특정 부위를 절단해 나쁜 성질을 없애거나 좋은 성질을 강화하는 효소다. 동물의 성장 유전자 등을 끼워 넣는 gmo와는 다르다.김종문 툴젠 대표는 “유전자가위를 활용한 종자 개량을 합법화한 국가는 아직 없다”며 “최근 각국이 허용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몬산토가 미래 기술 확보 차원에서 선제 대응한...
[연합시론] '유전자교정' 인간 배아 연구, 이제 우리도 허용해야 2017-08-03 18:32:20
돌연변이 유전자를 찾아내 잘라냈다. 이후 수정란은 스스로 절단 부분을 정상 유전자로 복구했다. 유전자 가위의 Cas9은 세포에서 특정 DNA(디오시리보핵산)만 잘라내는 단백질 효소다. 실험 결과 이렇게 '유전자 편집'이 된 수정란이 분열해 생긴 배아 58개 중 42개(72.4%)가 제대로 교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전...
유전질환 치료 신기술…3세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2017-08-02 15:00:38
면역체계 응용…가이드RNA와 절단효소로 구성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기초과학연구원(IBS)과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OHSU) 등 국제연구진이 3일(한국시간) 발표한 유전질환 유전자 교정 연구에는 '크리스퍼'(CRISPR)라고 불리는 유전자가위 기술이 쓰였다. 유전자가위는 유전물질인 디옥시리보핵산(DNA) 중...
"사람배아서 질병유전자 교정 첫 성공"…유전병예방 길 찾다 2017-08-02 15:00:04
유전자가위에서 절단 역할을 하는 Cas9 효소가 바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단백질 형태로 직접 넣어줬다. 이렇게 '유전자 편집'이 이뤄진 수정란이 분열해 생긴 배아 58개 중 42개(72.4%)가 제대로 교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16개(27.6%)는 유전자가위가 정자에서 유래한 변이 유전자를 잘라내는 바람에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