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불치의 파킨슨병, 치료약 개발 가능해졌다 2019-03-11 14:45:47
주요 증상은, 도파민을 생성하는 중뇌 신경세포(뉴런)의 퇴화에서 비롯된다. 지난 10여년간의 연구에서 뇌의 도파민 분비 뉴런은 퇴화하기에 앞서 도파민 생성을 먼저 중단한다는 게 밝혀졌다. 이를 근거로 도파민을 생산·보관하는 분자 경로(molecular pathway)상의 결함이 궁극적인 뉴런 사멸의 주원인이라는 이론이...
카이노스메드, 희귀질환 다계통위축증 치료제 개발 착수 2019-02-08 08:56:53
없는 상황이다. 다계통 위축증은 뇌의 중뇌와 기저핵, 그리고 뇌교와 소뇌의 신경계 및 아교세포에서 신경전달을 돕는 단백질인 알파시뉴클레인의 축적 및 응집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이노스메드는 이번 다계통 위축증 치료제 연구개발을 위해 서울아산병원 신경과의 이종식 교수를 책임자로 선임했다. ...
KAIST·구글 '차세대 뇌 기반 AI 설계' 주춧돌 놨다 2019-01-24 10:08:12
메타 제어' 이론을 제안했다. 중뇌 도파민·복외측전전두피질 네트워크에서는 외부 환경에 대한 학습 신뢰도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보상 예측 신호나 상태 예측 신호 같은 정보를 처리한다. 사람의 두뇌는 이 정보를 경쟁·협력적으로 통합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외부 환경에 가장 적합한 학습·추론 전략을 찾는다는...
김윤중 교수 '파킨슨병 최고 연구자상' 2018-10-02 18:20:05
교수는 지난해 mds 공식 학술지에 파킨슨병 환자의 중뇌에서 파킨슨병 발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규명한 논문을 발표한 성과를 높이 평가받았다.[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최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마지막 버스, 신용·미수·예담 대환하고...
김윤중 한림대병원 교수, 국제파킨슨병학회 최고연구자상 수상 2018-10-02 09:18:07
파킨슨병 환자의 중뇌에서 파킨슨병 발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규명한 논문을 발표한 성과를 높이 평가받았다. 김 교수는 이 논문에서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뇌신경세포의 기능장애 및 사멸과 관련된 다수의 유전자의 집합체 '파킨슨병 발병 원인유전자 네트워크'의 존재를 증명했다. 김 교수는 "파킨슨병 분야에...
원숭이도 "남의 떡이 커 보인다"…우울증 규명 기여 기대 2018-09-18 10:26:20
방출하는 간뇌((間腦))와 소뇌 사이 중뇌(中腦)의 도파민 세포와 다른 사람의 심리나 행동을 읽어들이는 역할을 하는 대뇌신피질 안쪽의 전두전야(?側前頭前野)에 주목했다. 마주 보고 앉은 일본 원숭이에게 6종류의 도형을 보여주고 도형별로 자신과 상대가 주스를 받을 확률을 달리하는 실험을 반복했다. 실험 결과...
"망막 검사로 파킨슨병 조기진단 가능성 확인" 2018-08-22 10:02:20
질환이다. 중뇌에 있는 '흑질'이라는 뇌 안의 특정 부위에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서서히 소실돼 발생한다. 주로 노년층에서 발병하며, 서서히 진행돼 발병 시기를 파악하기 힘들다. 발병 원인도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아 조기진단 방법을 찾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다. 이에 연구팀은 초기 파킨슨병...
"파킨슨병 = 자가면역질환…새 증거 나와" 2018-07-24 09:47:10
이 줄기세포를 배양, 도파민을 만드는 중뇌(mid brain)의 신경세포로 분화시켰다. 그다음 이 도파민 생산 신경세포를 같은 파킨슨병 환자와 정상인으로부터 채취한 Th-17 면역세포에 노출시켰다. 그러자 파킨슨병 환자의 도파민 생산 세포는 Th-17 면역세포의 공격을 받아 거의 대부분 죽었다. 그러나 정상인의 도파민 생산...
에스바이오메딕스,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개발 사업 국가과제로 선정 2018-05-10 14:53:22
임상시험에 들어갈 계획이다.파킨슨병은 중뇌 흑색질 부위의 도파민 신경세포가 소실돼 발생하는 질환이다. 떨림, 경직, 서동증(몸의 움직임이 느려지는 것) 등으로 행동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다. 손상된 도파민 신경세포를 재생하는 근본적 치료법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다. 최근 줄기세포를 이용해 파킨슨병을 치료하려...
분당서울대병원, 파킨슨병 진행 여부 예측법 찾았다 2018-01-23 15:46:23
사진에서 중뇌 흑질 부분이 하얗고 동그랗게 나타났다. 그러나 1~2년 뒤 파킨슨병에 걸리거나 증상을 보이기 시작한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 11명은 파킨슨병 환자 18명과 비슷하게 그 부분이 까맣게 됐다. 이들이 다른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보다 파킨슨병을 앓을 확률은 7.13배 높았다.김종민 교수는 "흑질 부위가 검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