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천문연-NASA 새 우주망원경 만든다…"102개 색깔로 전 우주관측" 2021-01-06 12:00:02
달하는 개별 천체의 전천 분광 목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PHEREx의 관측영상과 각 천체의 방출 스펙트럼을 재구성하면 우주의 3차원 공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는 빅뱅 직후 우주 급팽창에 의한 우주생성 이론과 은하 형성 및 진화의 정보를 담은 적외선 우주배경복사의 수수께끼를 푸는 실마리가...
[사이테크 플러스] "허블망원경, 20년새 쪼그라들고 어두워진 가오리성운 포착" 2020-12-05 10:29:18
공동연구자인 스페인 안달루시아천체물리연구소 마르틴 게레로 박사는 "허블우주망원경 광학 관측이 매우 안정적이어서 가오리성운의 밝기가 변한다는 것은 매우 확실하다"며 "가오리성운 주변과 배경의 다른 별들은 밝기가 똑같이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놀라운 현상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서는 성운의...
"우리은하 중심에 블랙홀 있다"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입증 2020-10-06 21:38:15
물리학상은 2년 연속 천체물리 분야에 돌아갔다. 천체물리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이 이어지는 이유에 대해 손봉원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가장 극단적인 천체인 블랙홀 주변에 나타나는 현상을 관측함으로써 아인슈타인에서 비롯된 양자역학의 타당성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양자역학은 반도체...
노벨 물리학상에 '블랙홀 연구' 英 펜로즈 등 3명(종합) 2020-10-06 19:44:43
노벨 물리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블랙홀 연구에 이바지한 공로로 이들을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겐즈는 여성으로 여성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것은 역대 4번째다. 노벨위원회는 펜로즈에 대해 일반상대성이론이 블랙홀 형성을 이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천리안위성 2B호 관측자료 신뢰성 높인다…국제 검증팀 운영 2020-10-05 12:00:13
20팀에는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센터, 벨기에 왕립우주항공 연구소와 네덜란드 왕립기상연구소,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 등이 참여했다. 또 정지궤도 환경위성 관측영역 내 지상관측망을 운영하는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와 중국 과학기술대학, 울산 과학기술원 등이 포함됐다. 이들 국제 검증팀은 올해 10월부터...
은하 중심 초대형 블랙홀 수수께끼 단서 '중간' 블랙홀 첫 관측 2020-09-02 21:01:01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물리학회 저널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와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회보'(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두 편의 논문으로 발표됐다. eomn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첫 외계 인터스텔라 천체 오우무아무아 "수소 얼음 아니다" 2020-08-18 11:03:18
태양계 도달 거리와 시간 등을 감안하면 현재 물리이론으로는 도저히 설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티엠 황 연구원은 "수소 얼음덩이가 거대분자운에서 만들어지는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천문학의 난제인 '암흑물질'의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이번 연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공저자인 로브 교...
초신성 폭발이 인간 뼈 포함한 우주 칼슘 절반 형성 2020-08-07 15:53:48
국제 연구팀이 이른바 칼슘 방출형 초신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발표했다. 미국 '천문학연구 대학연맹'(AURA)과 노스웨스턴대 등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지난해 4월 아마추어 천문가가 지구에서 약 5천500만 광년 떨어진 머리털자리에 있는 ...
'초신성 폭발 임박설' 베텔게우스 광도 급감은 항성흑점 영향 2020-06-29 17:01:00
'천체물리학 저널 회보'(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밝은 베텔게우스의 광도가 급감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서브밀리미터파 복사를 측정할 수 있는 '아타카마 패스파인더'(APEX)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JCMT)의 기존 관측자료와 새...
중력파 통해 중성자별도 블랙홀도 아닌 '애매한' 천체 확인 2020-06-24 11:37:37
기존 모델에서 벗어난 태양 질량 2.6배의 천체를 발견했다고 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회보'(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중력파가 지구에서 약 8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태양 질량 23배에 달하는 블랙홀이 문제의 천체를 병합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 천체가 지금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