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인류 직립보행, 평지 아닌 나무 위에서부터 시작된 듯" 2022-12-16 09:54:24
"침팬지 직립행동 85% 나무에서 관찰…기존이론에 배치"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인류의 직립보행이 인류 조상이 숲을 벗어나 평지 생활을 하면서 시작됐을 것이라는 기존 이론과 달리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과정에서 발달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과 켄트대, 미국...
"자연에서 가장 무거운 새 '느시'도 구충식물 찾아먹는다" 2022-11-24 12:05:39
사실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지금까지 침팬지가 상처 치료를 위해 곤충을 으깨 바르거나 돌고래가 감염을 막기 위해 특정 종류의 산호에 피부를 문지르는 등 동물들의 자기치료 행동이 관찰된 적이 있지만 조류에서 이런 행동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티스타-소펠라나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느시들이 구충 ...
28억 그림 '얼굴 없는 화가'…정체 들통날 위기 또 넘겼다 2022-11-17 11:44:21
뱅크시의 '트레이드마크'인 침팬지 이미지의 상표권 취소 신청을 기각했다고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해 5월 EU 지적재산청(EUIPO)이 뱅크시의 회사 '페스트 컨트롤'이 출원한 유인원 이미지 상표권이 적합하지 않다고 한 판단을 뒤집은 것이다. 이 상표권 분쟁은 2019년 연하장 업체인 '풀...
[주목! 이 책] 차이에 관한 생각 2022-11-04 18:00:28
등의 책으로 유명한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이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문화에 기인하는지, 본성에 기인하는지 그 답을 영장류 연구에서 찾는다. 인간의 행동을 우리와 가장 가까운 진화적 사촌인 침팬지, 보노보와 비교해본다. (이충호 옮김, 세종서적, 568쪽, 2만2000원)
네안데르탈인 멸종 이유가…현생인류와 경쟁 아닌 '사랑' 때문? 2022-11-01 18:02:45
가장 가까운 동물인 침팬지의 경우 분리된 그룹이 만나면 두 가지 행동이 모두 벌어지는 것으로 연구돼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현생인류 조상의 유전자가 약 6만~4만년 전 네안데르탈인에게 섞인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사이에 태어난 2세가 호모 사피엔스와만 생식할 수...
현생인류와의 경쟁 아닌 사랑이 네안데르탈인 멸종 초래 2022-11-01 16:52:22
수도 있는데, 인간에 가장 가까운 동물인 침팬지의 경우 분리된 그룹이 만나면 두 가지 행동이 모두 벌어지는 것으로 연구돼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현생인류 조상의 유전자가 약 6만~4만년 전 네안데르탈인에게 섞인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사이에 태어난 2세가 호모 사피엔스...
'깃털 달린 유인원' 어치도 지능 높을수록 자제력 강해 2022-10-31 10:38:11
연구팀은 분석했다. 자제력은 인간과 침팬지 등의 높은 지능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가 최근에는 갑오징어에게서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진화적으로 멀리 떨어진 종에서 지능과 자제력 간 상관관계가 확인된 것은 이런 특성이 서로 독립적으로 진화해 왔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어치의 자제...
[책마을] 인간의 뇌에 '가짜 기억'을 심을 수 있을까 2022-10-14 17:39:43
이 뉴런을 침팬지 등 유인원에게 이식한다면 인간과 비슷한 지능을 갖게 되지 않을까. 저자는 영화 ‘혹성탈출’을 다룬 장에서 이에 대해 논한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와 ‘블레이드 러너’를 다룬 글에선 인공지능과 인조인간, 복제인간 등이 인간처럼 의식을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본다. SF영화가 던지는 철학적...
탈모·비만·당뇨의 고통, '이 사람들' 때문이었다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2022-10-08 09:00:04
나무 위에 사는 침팬지 비슷한 동물이 하나 있었습니다. 어느 날 그는 친구들에게 작별 인사를 한 뒤 나무에서 내려와 걸어 다니기 시작합니다. 인류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입니다. 지금 인류와는 여러모로 달랐지만, 이 종족은 대를 거듭하며 다양하게 진화해 나갔습니다. 그중 하나가 30만년 전쯤 우리가 속한 호모...
노벨생리의학상에 스웨덴 스반테 페보…게놈으로 '인류 진화 연구'(종합2보) 2022-10-03 20:01:57
및 침팬지 게놈과 비교해 네안데르탈인이 완전히 다른 인류의 조상 종족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의 연구는 특히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7만여 년 전 발생지인 아프리카를 떠나 세계 곳곳으로 이주하면서 당시 각 지역에 살던 호미닌과 만났으며 이들 사이에서 짝짓기를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