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공감 지능 시대, 차가운 AI보다 따뜻한 당신이 이긴다[신간] 2025-04-01 10:29:28
지냈다. 현재는 경영/AI 관련 강연 및 칼럼니스트와 롯데 글로벌 로지스 사외이사로 있다. 일에 대한 열정과 에너지가 비난받지 않고 성과만으로 평가받는 환경을 찾아 은행원에서 애널리스트로 변신했다. 임신과 출산 중에도 AICPA 시험에 도전했고, 그 과정이 담긴 잡지 기사를 우연히 읽은 증권사 리서치 센터장의 눈에...
[오늘의 arte] 독자 리뷰 : 야쿠프 흐루샤와 조성진 2025-03-31 17:18:25
빈 음악 전통의 정수를 보여줬다. - 음악칼럼니스트 박제성의 ‘서울 밖 클래식 여행’ 꼭 봐야 할 공연·전시● 음악 - 필하모닉 다스 콰르텟 ‘필하모닉 다스 콰르텟’이 오는 18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공연한다. 빈필하모닉 최초 여성 콰르텟으로 모차르트의 ‘현을 위한 디베르티멘토’ 등을 선보인다. ● 뮤지컬 -...
[오늘의 arte] 예술인 QUIZ : '사운드 오브 뮤직'의 주인공 2025-03-30 17:22:43
- 칼럼니스트 김선경의 ‘미술관이 던지는 질문들’ ● 음악으로 표현한 고야의 그림 작곡가 엔리케 그라나도스는 화가 고야의 강렬한 화풍에 매료돼 그의 작품 세계를 음악으로 풀어낸 피아노 모음곡 ‘고예스카스’를 완성했다. 고야의 그림 속 인물 ‘마하’와 ‘마호’의 사랑 이야기를 서정적이고 정교한 음악 언어로...
"이재명 고향이란다" "2찍 지역"…산불 재해 속 막말 '눈살' 2025-03-29 16:45:15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씨는 지난 27일 페이스북에 해당 이재민의 발언 장면을 캡처해 올리면서 "정치인은 타인의 억울까지 안고 살아야 한다"고 썼다. 이 게시물에는 "당신들이 찍어준 윤석열 검찰 횡포에 죽다 살아나느라 그랬다", "저런 머리를 가졌으니 윤석열이나 찍지", "무식해야 2찍이 되는 것" 등 이재민을 공격하는...
[아르떼 칼럼] 브로드웨이에 있지만 한국에 없는 것 2025-03-28 17:37:46
평론 분야가 있고, 공연 칼럼니스트 혹은 평론가까지는 들어봤다. 검색창에 ‘뮤지컬 평론가’를 검색하면 최승연, 원종원 두 사람 정도가 나온다. 뮤지컬 리뷰나 칼럼이 아니라 ‘평론’을 읽어본 적이 있는가. 매체에서도 리뷰, 칼럼, 평론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는다. 평론 글임에도 ‘리뷰’라는 이름으로 발행되는...
[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당신이 친절을 포기하지 말아야 할 세 가지 이유 2025-03-28 17:11:48
친절이 사라지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극단적인 정치적 분열과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도 친절을 포기하지 말 것을 제안한다. 어려운 상황 가운데 공감하는 마음으로 서로를 대할 수 있다면 우리가 기대한 것보다 훨씬 더 큰 선물을 친절이 가져다줄 것이기 때문이다. 홍순철 BC에이전시 대표, 북칼럼니스트
[특파원 시선] 美와 유럽 사이…英스타머 줄타기는 계속된다 2025-03-28 07:07:00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주재 대사를 지낸 이보 달더는 "어느 순간 유럽과 미국의 갭이 너무나 커서 양쪽 진영에 모두 발을 두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리 혹스테이더는 이 말을 전하면서 "칼날 위를 걷는 위험은 시간이 흐를수록 커진다"며 "스타머 총리에게 시간은 줄어들고 있다"고...
[오늘의 arte] 티켓 이벤트 : 록산느를 위한 발라드 2025-03-26 18:19:00
칼럼니스트 김현호의 ‘바벨의 도서관’ 꼭 봐야 할 공연·전시● 음악 - 이베타 압칼나 이베타 압칼나의 오르간 리사이틀이 오는 4월 2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다. 바흐의 ‘파사칼리아 c단조’와 야나체크의 ‘글라골리트 미사’ 후주곡 등을 선보인다. ● 연극 - 반쪼가리자작 연극 ‘반쪼가리자작’이 4월 4~20일...
"100년물 美국채, 동맹국에 강매"…'마러라고 협정' 현실화될까 2025-03-26 18:04:53
나온다. 마틴 울프 파이낸셜타임스(FT) 칼럼니스트는 달러 강세의 원인을 기축통화 수요에서만 찾아서는 안 된다며 미국의 고질적인 저축 부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저축 부족, 즉 미국의 과잉 소비로 무역적자가 늘어나며 미국 내 부족한 투자 재원을 해외에서 유입되는 자금으로 메우는 과정에서 달러 강세가 유발된...
유연하게 또는 날카롭게…韓 무대서 되살아난 '왈츠의 왕' 2025-03-26 17:17:04
점을 감안하면, 이 이상으로 잘하긴 힘들었을 것이란 생각이 들 정도로 성공적인 공연이었다. 한 음악회에서 슈트라우스 2세의 음악을 이처럼 다양한 관점으로 접하는 기회는 또다시 만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번 공연을 계기로 오페라 축소 버전 시리즈가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송주호 음악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