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몽펠르랭소사이어티 서울총회 개막] 창립 70년…사회주의로부터 세계 지켜낸 '자유이념 본진' 2017-05-08 18:52:28
본진(本陣)으로 평가받는다. 자유진영 내에서는 케인스학파와 라이벌 관계로 세계 경제학계를 양분해 온 큰 산맥이다. 19세기 고전적 자유주의와 비교해 신자유주의로도 불린다.미국과 영국의 제2 경제부흥을 이끈 로널드 레이건 정부의 ‘레이거노믹스’와 마거릿 대처 전 총리의 ‘대처리즘’은...
자유주의 경제 석학, 내달 서울에 총집결 2017-04-10 18:22:10
본진(本陣)입니다. 자유진영 내에서는 케인스학파와 라이벌 관계로 세계 경제학계를 양분해 온 큰 산맥입니다. 19세기 고전적 자유주의와 비교해 신자유주의로도 불립니다.서울총회에는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버넌 스미스 미국 채프먼대 교수, 2013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라스 피터 핸슨 시카고대 교수, 미국 재무부...
[경제논단] 한국 가계 소비, 신흥국보다 금리변동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 2016-12-04 17:58:52
총수요 측면을 강조한 케인스학파가 설명하지 못한 1970년대 석유파동과 1990년대 정보기술(it) 거품 붕괴 등을 분석해내는 데 위력을 발휘했다.경기변동이론을 통해 밝혀진 사실 중 하나는 대개 소비의 변동이 소득의 변동보다 완만하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현대 소비이론에 따르면 소비자(가계)는 일생 동안 효용을...
[책꽂이] 온라인 소비자, 무엇을 사고 무엇을 사지 않는가 등 2016-10-06 17:28:35
이상원 옮김, 갈매나무, 288쪽, 1만5000원)●포스트케인스학파 경제학 입문 신고전학파 등 주류 경제사상에 맞서 대안적 경제이론을 제시하는 포스트케인스학파 경제학을 소개한다. 임금 주도 성장 논의의 토대를 제공하며 ‘협력의 경제학’을 주장한다. (마크 리부아 지음, 김정훈 옮김, 후마니타스, 298쪽,...
[Cover Story] "번영은 시장에서 온다"…신자유주의 경제 지성들의 외침 2016-09-30 17:06:32
직후 확산되던 공산주의와 케인스학파에 맞서 자유주의 시장경제를 전파하는 것이 설립 목적이다. 몽펠르랭은 스위스 로잔 호숫가 인근의 지명이다. 내년 5월 서울서 몽펠르랭 총회몽펠르랭 소사이어티 출범은 자유주의 경제학자 하이에크의 책 《노예의 길(the road to serfdom)》 출판기념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1930년대...
[자유주의 경제학자 총회] "게으른 유럽? 근로시간 짧은 건 높은 세금 탓" 2016-09-21 19:08:08
과정으로 설명한다. 이는 총수요 측면을 강조한 케인스학파가 설명하지 못한 1970년대 석유파동과 1990년대 정보기술(it) 거품 붕괴 등을 분석해내는 데 위력을 발휘했다.예컨대 정부가 사회자본 확충을 위해 재산세율을 내리면 개인들은 저축을 늘리지만, 정부가 곧 세수 부족으로 세금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면 저축을 하...
[대한민국 국가 브레인이 없다] 미국 "파산기업 혈세 투입 안돼" 소신발언…한국은 왜 없나 2016-08-25 18:45:04
중”이라고 말했다.2009년엔 ‘신케인지언(케인스학파)’을 자처하는 폴 크루그먼 미 프린스턴대 교수가 논쟁을 걸었다. “재정지출 확대로는 경기를 부양할 수 없다”고 주장한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 등에 맞서 부양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2010년 이후엔 재정긴축이 필요하다는 케네스...
[책마을] 시(詩) '가지 않은 길'에서 미국 양적완화를 보다 2016-06-09 18:01:45
학파, 케인스학파, 신자유주의 등 경제사상사의 굵직한 핵심들을 다룬다. 세계 경제의 흐름과 변화, 소득불균형과 복지 문제 등 다양한 경제학의 기초지식을 쉽게 설명한다.저자는 “미국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아 이전까지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인 양적 완화라는 통화정책을 택했고, 이것이 미국 경제의...
[Cover Story] 고교생들이 읽을만한 경제·경영 서적, '경제학자의 생각법' '자본주의와 자유'… 2016-05-27 20:13:12
and freedom, 밀턴 프리드먼)‘시카고학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