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백두산 폭발은 영화적 상상력?…"언제든 가능한 과학적 현실" 2019-12-17 08:01:00
밀턴케인즈에서 열린 제4회 한·영 리서치 콘퍼런스에는 이례적으로 북한 학자가 나와 백두산 땅속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북한 지진국의 김혁 과장은 당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백두산 주변에서 모두 10회의 지진이 났다"고 발표했다. 실제 백두산이 분화하면 피해는 어느 정도일까. 일본의...
호주 LCC 젯스타, 인천~골드코스트 취항 2019-12-15 15:57:38
인천~호주 직항 노선은 2016년 진에어의 인천~케인즈 노선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젯스타의 골드코스트 직항 노선에는 보잉의 787-8 드림라이너(사진) 항공기가 투입된다. 제주항공과 공동운항(코드쉐어)하는 인천~골드코스트 항공편(JQ49)은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일요일 주 3회 운항한다. 인천국제공항에서 오후 10시...
한국, 가계부채에 이어 국가채무 논쟁…어떻게 봐야 하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19-07-08 16:19:40
사회간접자본(SOC)을 복구하는데 주력해 왔다. 케인즈 이론이 태동했던 1930년대 대공황 당시 루즈벨트 정부가 추진했던 정책과 유사해 ‘트럼프-케인즈언 정책’이라고도 부른다. 주목해야 할 것은 2020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미국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현대통화이론(MMT)에 트럼프 대통령이 매력을 느끼고 있는...
"백두산 지면 7cm 부풀어…땅 속 민감도↑ 심상찮다" 2019-05-30 21:03:05
김혁 북한 지진청 분과장은 29일(현지 시간) 영국 밀턴케인즈 치칠리홀에서 열린 `제4회 한·영 리서치 콘퍼런스`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백두산 주변에서 모두 10회 지진이 났다. 땅속 민감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땅속의 밀도, 중력과 자기장 변화 등을 면밀히 기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땅속 민감도는 백두...
"한국·영국 기초연구자 한자리에"…리서치 콘퍼런스 개최 2019-05-30 20:02:21
(밀턴케인즈·서울=연합뉴스) 공동취재단 신선미 기자 = 한국과 영국의 기초과학 연구자들이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과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영국 왕립학회와 함께 29일(현지시간) 영국 밀턴케인즈 치칠리홀에서 '제4회 한·영 리서치 콘퍼런스'를 열었다. '뇌과학'과...
北 과학자 "백두산 땅속 민감도 증가…심상찮다" 2019-05-30 19:05:24
분과장, 한·영 리서치 콘퍼런스서 발표 (밀턴케인즈·서울=연합뉴스) 공동취재단 신선미 기자 =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백두산 주변에서 지진이 3천여 회 이상 발생했지만 최근 횟수가 갑자기 줄어든 것에 대해 학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하 압력 변화 등 다양한 가설이 나오고는 있지만 이유는 불분명하다. 이런...
이제민 "대통령이 나서 재정확장해야" 2019-01-30 17:14:12
개인 돈으로 보면 주머니를 키우는 건 케인즈식으로 하고 쓸 때는 슘페터식으로 혁신적으로 하는 게 좋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어떤 가수는 주구장창 같은 노래만 부르는데 조용필은 끊임없이 한발씩 내딛는다"며 "그게 혁신"이라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이정동 특보가 쓴 책 `축적의 길`을 청와대 전...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외국인이 돌아왔다…韓 증시 재상승 국면 진입하나? 2019-01-14 09:55:28
-케인즈 이론, 유효수요 부족분 정부가 보전 -뉴딜 정책, 루즈벨트가 추진했던 정책 의미 -70년대말 2차 오일 쇼크 발생 직전까지 유효 -한국, 재정건전성 바탕으로 정부지출 늘여야 Q. 궁금한 것은 뉴딜 정책과 상반된 정책처방인 레이거노믹스도 왜 필요하다고 보는 것입니까? -뉴딜-총수요 진작, 레이거노믹스-총공급...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한국경제 ‘가짜 새벽’ 경계론…왜 월가에서 확산되나 2018-11-19 10:16:36
-케인즈 이론, 유효수요 부족분 정부가 보전 -뉴딜 정책, 루즈벨트가 추진했던 정책 의미 -2차 오일쇼크가 발생하기 직전까지 적절 평가 -한국, 재정건전성 바탕으로 정부지출 늘여야 궁금한 것은 총수요 진진책과 충돌이 불가피한 정책처방인 총공급 중시정책도 왜 필요하다고 보는지, 그만큼 한국 경제 상황이 심각한...
[오세성의 블로소득]블록체인이 만들 '완전경쟁시장' 2018-09-10 12:38:23
탓에 정부가 규제, 정책 등을 통해 시장에 개입해왔다. 케인즈주의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좀 더 ‘급진적인 시장’이 형성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저명한 예일대 법대 교수인 에릭 포스너와 프린스턴대 경제학 박사과정을 1년 만에 마친 천재로 유명한 글렌 웨일도 이 같은 주장을 제기한 바 있다. 가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