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피오리나 "한국 리더쉽 선도..도전하라" 2014-05-30 14:07:39
<앵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여성 CEO 칼리 피오리나 전 휴렛팩커드(HP) 회장이 한국을 찾았습니다. 그녀는 진정한 리더가 되기 위해선 전통과 혁신의 균형을 통해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도전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인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포춘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C...
[2014제주포럼] 피오리나 "한국 리더쉽 선도, 도전하라" 2014-05-30 12:07:09
<앵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여성 CEO 칼리 피오리나 전 휴렛팩커드(HP) 회장이 한국을 찾았습니다. 그녀는 진정한 리더가 되기 위해선 전통과 혁신의 균형을 통해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도전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인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포춘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C...
"제주서 만나는 칼리 피오리나…여성 리더십, 특별한 기회 될 것" 2014-05-26 21:35:46
팔레스타인 총리, 칼리 피오리나 전 휴렛팩커드 회장 등 ‘빅샷’이 대거 참석한다.문 위원장은 이번 포럼에서 가장 볼 만한 프로그램으로 30일 피오리나 전 회장과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이 ‘기업가 정신과 여성 리더십’을 주제로 대담하는 특별세션을 꼽았다. ‘여성 대통령 시대’에...
일 잘하는 그녀, 스타일도 Good~ 2014-05-23 00:24:37
전 휴렛 패커드 ceo 칼리 피오리나, 성주 인터내셔널 김성주 대표, 미 국무장관 콘돌리자 라이스 look- 강하고 신뢰가 가는 이미지. 색감이나 질감보다 명암과 선을 강조하는 하이 콘트라스트 전략을 구사한다. 단순함과 강렬함의 미학을 표현한다. 빨강, 파랑, 노랑 등 자신감 있어 보이는 원색의 똑 떨어지는 정장풍이...
고려대, 피오리나 전 HP CEO 초청 강연 2014-05-15 05:26:30
연다. 피오리나는 이날 ‘위미노믹스 시대와 성공의 조건’을 주제로 강연하고 패널 및 청중과 토론할 예정이다. 1999년 hp ceo에 오른 피오리나는 컴팩과의 합병을 성사시키고 회사 내부 개혁을 이끄는 등 리더십을 인정받았다. 참가 신청은 고려대 경영대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받는다.
"잔반줄이기 앱·재능공유 몰·가방용 레인커버…여성의 섬세함 창업서도 통해요" 2013-11-01 06:58:46
칼리 피오리나 같은 여성 사업가를 꿈꾸는 세 사람의 사업 얘기를 들어봤다. ○이유미 엄청난벤처 대표, “실패가 보약이었어요” 이유미 대표는 스마트폰으로 단체급식 인원을 사전에 예측, 잔반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애플리케이션 ‘머글라우’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구내식당 이용자들에게 메뉴...
[CEO가 만난 모교 총장] "여성에게도 야망을 권하는 시대…소통 리더십으로 승부해야" 2013-10-01 17:40:23
남녀의 공동 책임이라는 의식 전환이 필요합니다. 칼리 피오리나 전 hp ceo는 1999년ceo에 오를 때 남편이 직장을 그만뒀다고 합니다. 몇 년 전 피오리나 전 ceo를 만나 ‘남편의 결정이 대단하다’고 했더니 ‘가족을 위해 남편도 당연히 가사를 담당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더군요. 하지만 국내 남성 육아휴직자는 전체...
[비즈&라이프] 침몰직전 야후, 부활 이끈 메이어 CEO의 2가지 비결 2013-09-24 17:37:02
피오리나는 새로운 전략적 방향으로 ‘new hp way’를 주창했다. 그러자 hp에 대해 대단한 자부심을 갖고 있던 조직 구성원들은 이를 ‘기존 hp way는 진부하고 오래된, 그래서 버려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이후 피오리나 ceo는 컴팩과의 합병 등 굵직굵직한 일들을 선보였지만 조직 구성원들과의 갈등 속에서 결국...
[맞짱 토론] 대기업 총수·임원 개인별 연봉 공개해야 하나 2013-03-01 16:27:15
칼리 피오리나 휴렛팩커드(hp) ceo도 주가 급락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2100만달러의 퇴직금과 스톡옵션을 포함해 2000만달러의 보상금을 챙겼다. 이같은 인센티브 체계는 미국 경제를 왜곡시키고 사회를 분노하게 만들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격노한 것도 단순히 임원의 보수가 많아서가 아니라 회사가 망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