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옛 인천 개항장에 터 잡은 한국근대문학관을 아시나요 2019-01-19 10:10:01
1·2권이 나온 지 2년 만이다. 정연학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이 쓴 '니하오, 인천차이나타운'은 연간 40만명이 찾는 인천시 중구 차이나타운의 태생 과정과 화교문화 등을 소개한 책이다. 인천 차이나타운은 1884년 중구 선린동 일대 구릉 지역에 청국 조계지(租界地)가 설정되고 1900년 화교 수가 2천명을...
중앙아시아 학술연구 워크숍·디비피아 올해의 논문 2019-01-09 15:48:41
학문 세계를 소개하고, 진정환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신라 능묘 십이지신상에 관한 연구 성과를 이야기한다. 부대행사로 아태무형유산센터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영상 상영회가 열린다. ▲ 학술논문 사이트 디비피아가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한 '2018 올해의 논문'에 이나영 중앙대 교수가 쓴 '여성혐오와...
김해 봉황동 유적서 4∼5세기 가야 집모양토기 출토(종합) 2019-01-09 09:32:21
완전한 맞배지붕이다. 강동석 연구소 학예연구관은 "가야 유적에서 출토됐거나 가야 유물로 알려진 집모양토기는 대략 9점인데, 봉황동 유적 집모양토기는 다른 곳에서 나오지 않은 독특한 형태"라고 설명했다. 가야계 집모양토기는 창원 석동 유적 외에는 창원 다호리 고분과 함안 소포리 유적에서 나온 바 있다. 지면식...
김해 봉황동 유적서 4∼5세기 가야 집모양토기 출토 2019-01-09 09:07:57
2014년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이 경남 창원 진해구 석동 유적에서 찾은 4∼5세기 집모양토기는 기둥 9개 위에 누각 같은 건물을 올렸고, 지붕은 완전한 맞배지붕이다. 강동석 연구소 학예연구관은 "가야 유적에서 출토됐거나 가야 유물로 알려진 집모양토기는 대략 9점인데, 봉황동 유적 집모양토기는 다른 곳에서 나오지...
국내 첫 수장형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문열었다(종합) 2018-12-26 17:21:07
그대로 만나는 느낌도 강하다. 현장을 안내한 박미화 학예연구관은 이를 두고 "기존 전시장이 백화점이라면 여기는 '코스트코'라고 할 수 있다"고 비유했다. 4층 특별수장고는 연구자들이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을 심도 있게 열람, 조사하는 공간이다. 임응식, 육명심, 김정숙, 서세옥 등 미술관에 작품이 30점 ...
사진작품 60여 점으로 생각하는 민주주의와 평화 2018-12-14 16:42:36
살핀다. 김수진 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전시 제목에서 안녕은 '반갑다'라는 뜻이기도 하고, '잘 있느냐'는 의미이기도 하다"며 "1987년 이후 지금까지 민주주의 변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전시 공간은 평화와 권위를 이야기하는 앞쪽과 애도를 중심으로 노동, 광장, 참여와 관련된...
"쇳덩이 두드려 철기 만드는 기술, 동해 통해 유입" 2018-12-13 17:59:16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함경도 일대 예(濊, 혹은 동예) 세력을 고고학적으로 해석하고, 신광철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강원도 말갈의 정체성과 고구려 남진(南進)에 대해 논한다. 홍형우 강릉원주대 교수는 함경도와 연해주 일대에 남은 여진 문화를 소개한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고고학계와...
함안서 길이 11m 아라가야 대형 오름가마 나왔다(종합) 2018-12-13 10:30:22
계단이 있는 등요를 발견했다. 강동석 연구소 학예연구관은 "기존 조사에서 확인한 가마터는 길이가 7m 이하인데, 이번에 확인한 가마는 규모가 월등히 크다"며 "형태도 이전 가마는 계단이 없는 등요였으나, 이번에는 계단이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강 연구관은 "대호(大壺·큰항아리)를 굽기 위해 조성한 가마로 추정된다...
30년만에 정식조사했지만…송산리 고분군 석축 성격 규명 무산 2018-12-05 10:06:41
안타까워했다. 이해문 백제왕도추진단 학예연구관은 "유적 자체는 석촌동 고분과 매우 흡사한데, 매장주체부가 없다"며 "이번 조사 성과를 두고 학계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백제 개로왕의 가묘(假墓·임시로 조성한 무덤)설에 대해 "가묘여도 매장주체부는 조성했을 듯하다"며 "추가...
세계에 흩어진 고려…1100년 견딘 찬란한 예술혼 2018-12-03 18:24:31
자아낸다. 전시를 기획한 정명희 학예연구관은 “고려는 강인하면서도 섬세한 나라였다”며 “고려가 이룬 창의성과 독자성, 통합의 성과와 예술성은 우리 안에 흐르는 또 하나의 유전자”라고 강조했다.하나 아쉬운 것은 사제 간의 만남으로 기대가 컸던 고려 태조 왕건과 희랑대사의 만남이 이뤄지지...